•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addiction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 박영주;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3-51
    • /
    • 2015
  • 목적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형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scale),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의 관계,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중독군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은 감각처리특성 중 등록저하와 감각예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감각찾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감각찾기 성향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해 체계적인 조사와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부모양육태도 및 적응유연성과의 관계 -G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ITs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Addiction,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on Adolescents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 city-)

  • 김경하;노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82-590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부모양육태도 및 적응유연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자료는 G 광역시 중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독립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acute{e}}$ 사후검증,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부모양육태도와 적응유연과의 사이에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는 성별, 스마트폰 사용시간, 부모 양육태도, 적응유연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21.9% 설명하고 있으며, 이 중 부모양육태도(${\beta}=-.241$, p<.001)가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성별, 스마트폰 사용시간, 적응유연성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이 부모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적응유연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의과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척도와 사회심리학적 요인들과의 관계 (Association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ociopsychological aspects in medical school students)

  • 김혜인;천성희;강화정;이근미;정승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55-61
    • /
    • 2017
  • Background: Smartphone addiction, academic stress and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are increasing gradually;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se factors in medical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ssociation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ociopsychological aspects in medical schoo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31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tud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n March 2017. Gender, school grade, type of residenc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s of the students were surveyed. The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each Korean version scale were used to assess socio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loneliness, stress and anxiety. Results: There was a direct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loneliness, stress of negative perception, anxiety and smartphone addiction scales. There was also a negativ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stress of positive percep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scales. There was a higher level of anxiety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dditionally, there was a higher level of stress associated with negative perception and anxiety among medical students in the first grade than other students. Moreover there was a higher level of loneliness, stress of negative perception and anxiety among students who live with friends than students who live with their own family. Conclusion: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ociopsychological aspects significantly correlated. Moreover, the results suggest that female medical students in the first grade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their family need more att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iness, stress and anxiety to avoid smartphone addiction.

군사학과 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llitary lesson students' self-control and stress coping behavior are related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 정순철;이영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3_1호
    • /
    • pp.63-7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군사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결과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기간이 1일 기준 사용시간이 1시간 이상자가 95.3%로 스마트폰이 개인 일상생활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의 차이도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스마트폰 중독 간에도 유의미한 결과로 나왔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사용기간과 사용시간에 대하여 자기통제력이 필요하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문제 지향적 대처방식이 요구된다는 것을 실증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논의 하였으며, 추후 연구과제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Level by Demographic Features)

  • 이수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8
    • /
    • 2014
  •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우선 각 요인별 중독군의 분포 차이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의 분포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과 성적에 따라 가장 큰 중독 사용자군의 분포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 학년, 성적에 따라 사용기능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독 사용자군별 사용기능의 분포 차이도 유의하다고 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로짓회귀분석과 결정트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는데, 학년, 성적, 부모의 맞벌이 여부, 거주지역 순으로 영향이 컸다.

  • PDF

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과다사용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예비효과연구 (Development and Preliminary Outcome Study of Smartphone Over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of Middle School)

  • 김명식;최은미;이신후;배재홍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7-318
    • /
    • 2013
  • This study developed th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f smartphone overuse for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and testified its outcome. Finally the 4-sess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smartphone overuse was developed. 1st session was composed of psychoeducation about smartphone overuse and its side effect by quiz question. 2nd session smartphone addiction and brain change, 3rd session motivational enhancement program for smartphone overuse, 4th session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for it. The outcome was testified by internet addiction scale,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chool adaptation scale for 2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experimental and control class). 2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martphone addiction total score and cyberworld orientation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i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The difficulty of daily living and abstinence symptom due to smartphone overuse of them tended to reduce. Second, internet addiction total and all subscores of them were not changed. Third, class adaptation of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nd school adaptation total score and teacher adaptation of them tended to increase. Its meaning,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일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iatric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 임경자;황순정;최미아;서남례;변주나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4-13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iatric symptoms and the difference in severity of psychiatric symptoms by the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in order to raise awareness of mental health problem.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wo hundreds and thirteen university student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5th to 9th of 2011 in South Korea using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ion that was translated with korean for the psychiatric symptoms. Results: Respondents were classified as upper addicted (25.3%) and lower addicted group (28.1%). Addicted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iatric symptom scores. Obsessive-compulsive score was the most highly correlated with addiction sco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t in psychiatric symptom scores by the groups. Upper groups was 1.76 times higher than lower in total psychiatric scores. The addicted group used smartphone significantly longer per day and more satisfied with than lower addicted group. Conclusion: Although the smartphone was first introduced not so long ago, the addiction rate is exponentially increasing in students. The results proved that there is an inevitable correlation between the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severity of psychiatric symptoms.

  • PDF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

  • 주현정;전호선;박미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395-407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시와 P시에 재학중인 대학생 440명으로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통제력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스트레스 순이었으며, 두 변인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설명력은 34% 였다. 둘째, 자기통제력에 자기효능감은 정적 영향을 미쳤고 스트레스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인 모두 자기통제력을 통한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4시간미만 사용집단과 4시간이상 사용집단 간의 조절효과에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경로계수와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경로계수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모색이 중요하며, 특히 개인별 상황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맞춤식 교육중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관련성 분석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healthcare related university students)

  • 김설희;최예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3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som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20 health major students in D area. The study was conducted for 2 weeks, in June, 2016.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wareness toward stress, stress-coping pattern, and smartphone addiction.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18.0 program. Results: In the analysis of stress level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female group showed higher experience compared to male group (high group 46.10, subgroup 44.38) (p<0.05). Male group and higher stress group showed higher experience in problem solving,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stress coping (p>0.05). Stress and stress coping (r=0.322),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r=0.299)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e significant fa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were average daily using time (${\beta}=0.477$, p<0.001), study stress (${\beta}=0.177$, p<0.05), social stress (${\beta}=0.323$, p<0.01), problem solving (${\beta}=-0.320$, p<0.001), social support (${\beta}=0.064$, p<0.05), and emotional stress coping (${\beta}=0.264$, p<0.001). These factors explained 30.8% of the variance in smartphone addi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stress had a negative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s in subjec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for stress management.

치위생과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personal relationship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이성숙;전수경;김동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75-782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addiction on personal relationship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75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from May 9 to June 10, 2016. Except incomplet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instrument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martphone addic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 Results: The percentage of smart phone was 23.0% in a risk group and 77.0% in a general group. The level of smartphon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ersonal relationship(p<0.05). Smartphone addiction resulted in bad personal relationship. Conclusions: Smartphone addiction problem interrupts personal relationship.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smart phone addiction through a variety of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