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Home Service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33초

미래 교육 콘텐츠 구성요건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스마트홈서비스 환경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Grounded Theory Study on Content and Structure of Future Education in Smart Home Services)

  • 원종서;이정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32-448
    • /
    • 2018
  • 4차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교육도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될 것으로 예견된다. 본 연구는 미래의 교육이 어떻게 변화하여야 하는 지를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래형 스마트홈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기대하는 교육콘텐츠의 내용과 구성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근거이론분석을 하였다.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코딩 결과의 부분적인 검증을 위해 빅데이터분석 결과와 대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스마트홈서비스 교육콘텐츠 활용의 맥락을 11개의 범주들로 정의할 수 있었다. 스마트홈서비스 교육콘텐츠 활성화를 위해서는, 필요성을 강조하여 가치 창출(중심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콘텐츠 차별화를 통해 햄릿증후군을 극복(인과적 조건)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내용의 다양성과 각 콘텐츠 요소들 간의 연결성(맥락적 조건)을 확보해야 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일 수 있는 연구(중개적 상황)가 선행되어, 콘텐츠는 큐레이션되고 즉시성(상호작용전략)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선택 코딩에서는 사용자들이 근미래 스마트홈서비스에서 제공되기 바라는 교육콘텐츠의 유형은 자기계발, 살림고수, 건강관리, 마음치유의 네 가지로 대별되었다.

위협 모델링을 이용한 국내 스마트 홈 보안 분석에 대한 연구 (Threat-Based Security Analysis for the Domestic Smart Home Appliance)

  • 홍바울;이상민;박민수;김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3호
    • /
    • pp.143-158
    • /
    • 2017
  • 스마트 홈은 집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를 집 밖에 있는 사람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 및 서비스로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사람과 가장 밀접한 장소인 집 내부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공격자에 의한 악의적인 기기제어, 사생활 침해와 같은 보안 사고가 있는 경우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해외 제품의 경우 가전기기의 취약점들이 매년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으며 이러한 취약점들은 사용자의 안전과 개인 자산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의 스마트 홈 서비스를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체적인 위협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협 모델링을 사용하여 스마트 홈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협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스마트 홈 환경의 보안을 분석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안한다. 제안한 체크리스트의 실효성을 위해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여 스마트 홈을 분석한다.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Empirical Analyses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Intention to Use Smart Home Services)

  • 이일구;김상훈
    • 서비스연구
    • /
    • 제9권2호
    • /
    • pp.55-76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인 분석과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서비스의 서비스특성이 스마트 홈 서비스 사용자들의 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고, 서비스특성에 관한 구성변수로서 편재접속성, 신뢰성, 상황인식성, 보안성 등 네 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기술수용에 관한 이론적 모형들인 기술수용모형(TAM) 및 수정된 기술수용모형(Updated TAM), 이성적 행동이론(TRA)과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서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용이성과 주관적 규범 등 세 변수를 도출하고, 조절 변수로서 사용자 혁신성을 포함하여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모형과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스마트홈 서비스를 현재 사용자이거나 사용예정자인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중 분석 가능한 436명의 응답결과에 대해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신뢰성, 상황인식성, 보안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편재접속성은 지각된 용이성에만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용이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주관적 규범 모두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인 사용자 혁신성은 편재접속성과 지각된 유용성 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과 지각된 용이성 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인 스마트 홈 서비스 사용자보다 혁신성이 강한 사용자일수록 편재접속성이 스마트 홈 서비스의 유용성에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며, 또한 스마트 홈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이 높을 때 스마트 홈 서비스 서비스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모바일 환경에서 스마트 홈 프로비저닝 시스템 OWL 모델링 (OWL modeling of smart home provisioning system in a mobile environment)

  • 표혜진;정훈;김난주;최의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229-237
    • /
    • 2014
  • 오늘날 스마트폰의 다양성과 성능의 발전은 스마트폰 사용자 수를 급증하게 하였으며, 다시 모바일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보급을 확산시켰다. 현재 모바일 환경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구현하기에 부적합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여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스마트 홈 프로비저닝 시스템 OWL 모델링을 제안한다.

고령자 행위 패턴 기반 욕실의 지능형 서비스 패턴 개발 (Smart Services of the Bathroom Reflecting the Behavior Patterns of the Elderly)

  • 이현수;정지예;박성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56-264
    • /
    • 2013
  • A bathroom in house has been stressed not only as a space for physiology and hygiene but also leisure and healthcare. However, the bathroom is the most likely space where an elderly person can have an accident and it is uncomfortable space for them because of their deteriorating physical abili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elderly use their bathroom conveniently by providing smart service. Therefore, we carry out 18 smart service patterns that contain assistive devices and sensors for bathroom. Considering applicability and frequency, from among these service patterns, we suggest 4 service patterns. First is a fall prevention service. This service helps elderly use the bathroom safely at night. Second is a getting ready to go out service. This service helps the situation that elderly use the bathroom after getting up in the morning. Third is a security service in daily life especially before or after meals. And final is a service regarding personal hygiene service after returning home. This service helps to shower or bathe after return home. These services have positive influence in medical expense reductions, good health care and self-reliance of elderly.

AWS IoT 와 MQTT 기반 스마트 홈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System based on AWS IoT and MQTT)

  • 정인환;황기태;이재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12
    • /
    • 2022
  • 본 논문은 AWS IoT 서비스 및 MQTT 기반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현 사례를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온도와 습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에어컨 난방 등을 수동 혹은 자동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카메라로 방문자를 확인하고 도어록을 원격으로 제어 할 수 있다. 구현된 스마트홈 시스템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도어록, 난방, 전등 및 에어컨을 제어하며 수집된 데이터와 제어정보는 AWS IoT 서비스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원격에서 IoT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였으며, 앱과 AWS IoT 서버 및 아두이노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및 제어를 위해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또한 센서 및 기기들을 추가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갖는 AWS IoT 서비스 기반으로 구현되었다.

IoT 기반 스마트 홈카메라 이용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에 관한 연구: 사용경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ivacy Paradox in the IoT-based Smart Home Camera Usage Environment: Focusing on a Comparative Study of User Experience)

  • 루진단;권순동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6호
    • /
    • pp.145-161
    • /
    • 2021
  • Recently, as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devices such as Io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earable devices that focus on the individual have spread, privacy violations are also increasing. However, the privacy paradox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o enjoy services while worrying is getting stronger. However, there are still preliminary studies on this. In this study, an intelligent home camera based on IoT technology was selected as a research object, and whether privacy paradox exists in the IoT environment, including smart home camera, was studied. To this end,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 benefit factor of smart home camera use, and privacy concern, a risk factor, on intention to use was verified.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use diff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 experienc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eople with and without experience in using smart home cameras, and a total of 298 data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concer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proving that privacy paradox exists in the IoT-based smart home camera environment.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fact that privacy concerns have different effects on usage intentions depending on the user experience, it was verified that those with experience have a strong privacy paradox and those without experience have a weak privacy paradox.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strategic implications to improve service and business performance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attitudes and behaviors of IoT service providers, including smart home cameras.

실내외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고려한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 (Smart Home Service System Considering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and User Behavior)

  • 김재정;김창복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73-480
    • /
    • 2019
  • 스마트 홈은 가정의 가전제품, 에너지 소비 장치, 보안기기 등 모든 사물을 통신망으로 연결해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스마트 홈은 자동제어 뿐 아니라 상황과 사용자의 취향을 학습하고, 이에 맞는 결과를 스스로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쾌적한 실내 환경 제어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전체 시스템 구성은 센서와 와이파이를 탑재한 ESP8266,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인 firebase, 스마트 폰 어플로 구성된다. 본 모델은 사용자가 가전기기 작동시의 학습모드, 학습 결과를 통한 학습 제어, 실내와 실외 센서의 값을 이용한 자동 환기 등의 기능으로 구분된다. 학습은 에어컨, 가습기, 공기청정지 등 가전기기 제어시의 온도와 습도에 대한 이동 평균을 이용하였다. 본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다양한 기계학습과 딥 러닝을 통해 사용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예측하여 보다 고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홈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가상화 프레임워크 (Device Virtualization Framework for Smart Home Cloud Service)

  • 김경원;박종빈;금승우;정종진;양창모;임태범
    • Telecommunications review
    • /
    • 제24권5호
    • /
    • pp.677-691
    • /
    • 2014
  • 최근 네트워크와 연동된 스마트 단말들의 개발과 보급이 거세다. 이런 트렌드는 홈 가전 디바이스들에도 반영되어 스마트 기능을 탑재한 TV, 오디오, 전등, 냉장고, 세탁기 등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이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들의 공유와 소비가 그 어느 때보다 편리하고 유연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홈 내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이 상호공유되고 협력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더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서비스 구성이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디바이스 가상화 프레임워크 기술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홈 내에서 UPnP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의 서비스 정보 및 제공하는 기능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서 자동으로 분석 및 처리하여 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디바이스 서비스 및 제공 기능정보를 분류하고 정의된 규칙에 의해 홈 내 스마트 디바이스들을 가상화된 자원으로 등록하고 검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디바이스 가상화 처리를 통해 독립적으로 제공되었던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이 상호 협업이 가능한 단위 기능들로 분해되고 이를 조합하여 클라우드 기반 신규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디바이스 가상화 프레임워크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제시하여 그 실효성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