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Evaluation

검색결과 1,421건 처리시간 0.028초

스마트 의류 Newness와 혁신성 평가 (The Evaluation of Newness and Innovativeness of Smart Clothing)

  • 강경영;진현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93-49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newness and product innovativeness of smart clothing, and to examine the evaluation of newness and innovativeness of smart clothing according to the consumer innovativen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subjects aged from 17 to 50. A total of 338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evaluation of smart clothing newness consisted of five items: 'novel', 'modern', 'original', 'fresh' and 'up-to-date'. The evaluation of smart clothing innovativeness consisted of two dimensions. One is the evaluation of innovativeness as clothing and the other is the evaluation of innovativenss as electronic devices. The validity of two dimensions were verif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ANOVA and Duncan test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newness and smart clothing innovativenss according to consumer innovativeness.

스마트안전 리빙랩 환경에서의 사용자경험 평가를 위한 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a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ology for Smart Safety Living Lab)

  • 최재림;류도현;김광재;윤정민;김민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7-143
    • /
    • 2021
  • Purpose: Smart Safety Living Lab is a Living Lab facility, constructed and operated by KITECH in Korea, to support the user experience(UX) evaluation, planning and certification of smart safety products and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UX evaluation methodology that accommod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Lab and smart safety products and services for a systematic and efficient UX evaluation in the Smart Safety Living Lab. Methods: A generic model of UX evaluation was first derived based on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n, the generic model is revised to accommod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Safety Living Lab and smart safety products and services, resulting in the UX Evaluation Methodology for Smart Safety Living Lab (SSLL-UXEM). Results: The developed SSLL-UXEM consists of a structured process for UX evaluation, a guideline for conducting each step of the process, and a set of forms for recording the major evaluation results in each step. Conclusion: SSLL-UXEM can help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UX evaluation process and the consistency of the UX evaluation results. SSLL-UXEM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UX evaluation in various living lab environments in the future.

센서 기반형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척도 개발 (The development of Usability Evaluation Criterion for sensor based smart clothing)

  • 조하경;이주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73-478
    • /
    • 2008
  • Since the late 1990, "Smart clothing" has been developed in a various way to meet user centered design and human engineering that considered usability, wearability with clothing. Under this circumstanc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mart clothing has been demanded usability and wearability test. But, Study of the usability evaluation for sensor based smart clothing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suggest criterion of usability evaluation for sensor based smart clothing that evaluate on the point of view such as wearability of clothing, interaction of clothing and devices, interaction of body and devices. we perform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st with developed smart clothing to present usability evaluation criterion for sensor based smart clothing. As a result, total 7 categories such as 'usefulness', 'wearability', 'appearance', 'riskness', 'facility of management', 'perceived change', were extracted as the usability and wearability criterion. Additionally, 28 factors of evaluation criterion for sensor based smart clothing were indicat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is study have meaning to indicate usability evaluation criterion for sensor based smart clothing.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에 대한 연구: IFEZ 스마트시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Focusing on Case Analysis of IFEZ Smart City)

  • 이상호;조희연;민윤홍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3-97
    • /
    • 2023
  • 프로젝트의 평가란 프로젝트의 진행상황과 결과물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들은 시스템 구성요소별(인프라, 서비스, 플랫폼)로 프로젝트가 나뉘기도 하고, 여러 가지 서비스별로 프로젝트들이 동시에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추가 프로젝트를 통하여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확장되기도 한다. 이렇게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스마트시티가 목표 및 전략에 맞추어 진행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기적인 프로젝트 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이 제안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는 스마트시티의 기획, 설계, 구축 및 운영의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프로젝트에 대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평가체계로부터 도출된 지표는 의사결정자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개발 방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의 종료 이전에도 프로젝트의 성과를 중간 평가하고 이로부터 얻은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의 적용 방법을 소개하기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사례에 개발된 평가체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항목별 개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종합적인 계획 및 관리가 가능할 것이며, 프로젝트의 우선적인 개선 요소를 파악하는 데 본 연구가 참고가 될 것이다.

스마트안전 리빙랩에서의 스마트 조명 사용자경험 평가 (Evaluation of Smart Lighting User Experience in Smart Safety Living Lab)

  • 조은지;류도현;김광재;이기현;윤정민;조정현;전광식;이지연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679-700
    • /
    • 2022
  • Purpose: Smart lighting adjusts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according to weather, the user's activity, mood, etc. This study performed user experience(UX) evaluation of smart lighting in a living lab. The purpose of evaluating UX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s is to improve user-friendliness and market competitiveness of smart lighting Methods: A living lab is a virtual or physical space where various stakeholders participate to develop, verify, and evaluate products, services, or systems in a real-life environment. In this study, an environment of using smart lighting was established in the Smart Safety Living Lab. Subjects performed UX evaluation after interacting freely with smart lighting in the Smart Safety Living Lab. Results: As a result of UX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UX was overall excellent and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setting a desired indoor mood through smart lighting. However, operating the switch of smart lighting may be difficult due to its complexity, and it is needed to improve some functionalities such as the brightness range provided by smart lighting.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way of UX improvement of smart lighting.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smart lighting as a high-quality product by reflecting the subjects' needs and UX derived in a real-life environment.

스마트 의류의 지각된 위험과 제품혁신성 평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erceived Risk and Product Innovativeness Evaluation of Smart Clothing)

  • 강경영;진현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618-624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perceived risk of smart clothing, to classify consumers by risk perception of smart clothing,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the segmented groups in regard to the evaluation of newness and innovativeness of smart clothing.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risk, evaluation of newness and innovativeness of smart clothing were examine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38 male and female subjects aged from 17 to 50. Analysis was perform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risk of smart clothing was composed of 4 factors: economic risk, social risk, functional risk and physical risk.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high risk perception group, low economic risk perception group, low functional risk perception group, and low social risk perception group.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regard to the evaluation of newness and innovativeness of smart clothing. High risk perception group most highly evaluated the newness and innovativeness of smart clothing.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perceived risks, the evaluation of the newness and innovativeness of smart clothing.

스마트 홈(Smart Home) 앱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Usability Evaluation of Smart Home App Design)

  • 이만;김맹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49-258
    • /
    • 2019
  • 현재는 스마트 홈 사업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홈 시스템에 대하여 연구가 중요해지고 있다.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중요한 구성 부분인 스마트 홈 앱은 지속적으로 관심을 위해서는 사용성을 고려한 평가지표 개발이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스마트 홈 앱을 대상으로 스마트 홈 앱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지표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3차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평가 영역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내용타당도 비율(CVR) 값을 분석하여 적절한 영역 8개를 선정하였다. 1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선행연구와 사용자 인터뷰 조사를 통해 총 38개 평가 항목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38개 평가 항목은 2, 3차에서 평균(M), 표준편차(SD), 내용타당도 비율(CVR), 합의도(H), 수렴도(QD) 등을 분석하고 최종 8개 영역 하위에 포함된 27개 항목을 선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 홈 앱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워터그리드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mart Water Grid Key Performance Index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City)

  • 정승권;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5-39
    • /
    • 2020
  • 현재 스마트시티는 전 세계적인 추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워터그리드 조성을 위한 기준이 부재하여 이들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워터그리드의 요건과 목표를 설정하고 기존 스마트워터그리드의 한계와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고 개선할 필요성은 분명하며, 이를 위해 스마트워터그리드 목표에 적합한 인덱스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터그리드의 목표측정과 달성정도 평가가 가능하고, 향후 스마트워터그리드 구축을 위한 이행계획에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워터그리드 성과평가지표(SWG KPI)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스마트워터그리드 성과평가지표(SWG KPI)를 통해 지속적인 스마트워터그리드의 역량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평가결과로 인한 영향력 확보를 통해스마트워터그리드 성과평가지표(SWG KPI)의 신뢰도 향상과 스마트워터그리드 역량평가를 위한 평가 테이블를 제공하여 계획 중인 스마트워터그리드에 대한 성과평가카드(Challenge Evaluation Card) 작성 및 사전평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웨어러블 컴퓨터에 대한 사용성 평가 연구 -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자켓 디자인을 위한 평가척도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or Wearable Computer : Evaluation Scale for User-Centered Smart Jacket Design)

  • 육형민;전명훈;오창영;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7권3호
    • /
    • pp.7-13
    • /
    • 2004
  • 사용자 중심의 일상 생활용 스마트 자켓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네 유형의 스마트 자켓 사례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스마트 자켓은 내장되는 기기의 종류와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네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척도 구성을 위하여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60개의 사용성 평가문항을 구성하였다 각 스마트 자켓 유형에 대한 사용성 평정 결과 10개의 대표 범주 요인이 추출되었고, 각 유형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범주 요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켓 유형별 중요 요인이 서로 달랐으며, 이 결과는 사용성 평가 척도 개발 시 디자인하는 스마트 자켓 유형에 따라 고려해야 할 중요 사용성 요인이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성 평가 척도에서의 우선 순위도 서로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을 통한 스마트폰 사용이 항행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uses smart phone is ship navigation safety through Ship Handling Simulation)

  • 신대운;박영수;박진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3-105
    • /
    • 2016
  • 신(2015) 등이 발표한 선박 당직 중 스마트폰 사용이 당직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선박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항해 중 36%)이 마련되었음을 확인하였고, 항해사들의 위험도 조사 설문에서 스마트폰 사용이 사용 전보다 약 2배 위험하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일정기간 항해사로 승선 경험을 가진 자들을 실험 대상자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해상교통안전진단상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 평가 분석 항목인 선박의 근접도 평가, 선박의 제어도 평가, 조종자의 주관적 평가를 기초로 스마트폰의 사용이 항행안전에 미치는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 유무에 따른 위험 상황 인지 시간을 측정하여 스마트폰의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