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Focusing on Case Analysis of IFEZ Smart City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에 대한 연구: IFEZ 스마트시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이상호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조희연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민윤홍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Received : 2023.05.24
  • Accepted : 2023.06.12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Project evaluation is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progress and results of a project. Smart city projects can be divided into system components (infrastructure, services, platforms), or projects can run simultaneously for multiple services. In addition, services are developed and expanded through additional project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smart city, which is composed of various projects, proceeds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and strategies, periodic project evaluation is required during the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Th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is designed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indicators by reflecting various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for projects occurring in all stages of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mart cities. The indicators derived from the evaluation system can be used by decision makers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smart city project development. In addition, it is designed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can be evaluated interim before the end of the project and the feedback obtained from it can be reflected. To introduce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smart city project case of Incheon Free Economic Zone (IFEZ).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items that can maximize the improvement effect of each smart city project item were presented, and the direction of smart city project implementation was suggested. By utilizing a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city projects that are composed of multiple projects, comprehensive planning and management of smart city projects will be possible, and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identifying priority improvement factors for projects.

프로젝트의 평가란 프로젝트의 진행상황과 결과물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들은 시스템 구성요소별(인프라, 서비스, 플랫폼)로 프로젝트가 나뉘기도 하고, 여러 가지 서비스별로 프로젝트들이 동시에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추가 프로젝트를 통하여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확장되기도 한다. 이렇게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스마트시티가 목표 및 전략에 맞추어 진행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기적인 프로젝트 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이 제안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는 스마트시티의 기획, 설계, 구축 및 운영의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프로젝트에 대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평가체계로부터 도출된 지표는 의사결정자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개발 방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의 종료 이전에도 프로젝트의 성과를 중간 평가하고 이로부터 얻은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의 적용 방법을 소개하기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사례에 개발된 평가체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항목별 개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종합적인 계획 및 관리가 가능할 것이며, 프로젝트의 우선적인 개선 요소를 파악하는 데 본 연구가 참고가 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RS-2022-0015362)

References

  1. OECD, 국토교통부. (2020). "Smart Cities and Inclusive Growth," Technical Report, Building on the outcomes of the 1st OECD Roundtable on Smart Cities and Inclusive Growth
  2. 국토교통부. (2019).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2019-2023)"
  3. 이면성, 임춘성. (2019). "스마트시티 실증 서비스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44, no.10, pp. 1992-2002
  4. 박소임, 장수정. (2020). "정부-주민주도형 ICT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성과지표에 관한 연구: 경기도 고양시 화정2동 ICT 스마트 리빙랩 실증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vol.24, no.4, pp. 89-110. https://doi.org/10.18397/KCGR.2020.24.4.89
  5. 박정현. (2023). "스마트시티 사업의 사업계획 평가체계와 사업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을 대상으로," 박사학위 논문, 부동산학과,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6. 김재환, 심희철. (2023). "프롭테크 기술수요에 따른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사업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vol.21, no.1, 통권 59호 pp. 207-216.
  7. 김은지, 박영일. (2022). "지방도시재생 리빙랩 프로젝트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전주물왕멀 사례를 중심으로," 휴양및경관연구, 제16권 제4호 pp. 67-75.
  8. Mulder, I., & Velthausz, D. & Kriens, M. (2008). The living labs harmonization cube: Communicating living labs' essentials. The Electronic Journal for Virtual Organizations and Networks.Vol. 10, pp. 1-14.
  9. Robert, P., Lee, J. H., Lee, S. H. (2013). "An Integrated Service-Device-Technology Roadmap for Smart City Develop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 80, Issue 2, pp. 286-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