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tting time

검색결과 2,501건 처리시간 0.038초

포졸란 혼화재의 입자 크기 및 비표면적에 따른 응결시간 발현 및 압축강도 특성 평가 (Experimental Study on the Setting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Nano-Micro Pozzolanic Binders as Cement Composites)

  • 김원우;양근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69-2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포졸란 혼화재 혼입에 따라 응결시간과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응결시간 발현 특성은 포졸란 혼화재를 사용하였을 때 감소되는 효과와 압축강도가 증가되는 특성을 평가하였다. 포졸란 혼화재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 실리카가 초결 및 종결시간 단축 및 압축강도 발현에 효과적이였다. 두가지 이상의 혼화재를 사용하였을 때는 실리카흄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소량의 나노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OPC 대비 응결시간이 62~64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강도 수준이 약 1.17배 증가로 성능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나노 실리카가 소량의 혼입량으로 응결시간 감소 및 압축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은 포졸란 반응을 일으킴과 동시에 작은 입자크기로 상대적으로 큰 입자로 구성되어있는 실리카 흄과 시멘트 사이의 공극채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나노 소재의 경우 높은 비표면적으로 흐름성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배합 설계 시 화학혼화제의 첨가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I 기반 콘크리트 마감 자동화 시스템용 응결추정계의 Mock-up Test (Mock-up Test of Setting Estimation System For AI-based Concrete Finishing Automation System)

  • 한수환;임군수;한준희;김종;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9-130
    • /
    • 2022
  • This study is conducted to identify improvements in the setting time estimation system through the Mock-up test of the finishing automation system and the setting estim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pring strength of the setting time estimator and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estimation needle so that the value of the hardness can be measured from 15HD to around 40HD.

  • PDF

OrthoMTA, ProRoot MTA 그리고 Portland cement의 경화 팽창과 경화 시간 비교 (COMPARISON OF SETTING EXPANSION AND TIME OF ORTHOMTA, PROROOT MTA AND PORTLAND CEMENT)

  • 강지예;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9-236
    • /
    • 2011
  • 현재 시판되고 있는 ProRoot white MTA(Dentsply Tulsa, U.S.A)는 portland cement와 비슷한 성분으로 수분의 첨가로 인하여 경화 팽창하는 성질이 있고, 긴 경화 시간을 갖는다.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OrthoMTA(BioMTA, Korea), 기존의 ProRoot white MTA(Dentsply Tulsa, U.S.A) 그리고 White portland cement(Union, Korea)를 대상으로 2008년에 개정된 치근관 충전재(KS P ISO 6876)의 요구 사항 중에서 경화 팽창과 경화 시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OrthoMTA의 경화 팽창률은 $0.08{\pm}0.02%$이었고, ProRoot white MTA, White portland cement는 각각 $0.28{\pm}0.06$, $0.80{\pm}0.25%$였다(p<0.05). 경화 시간은 각각 $307.78{\pm}3.83$분, $150.44{\pm}2.35$분, $235.33{\pm}9.07$분으로, ProRoot white MTA가 가장 짧았고, OrthoMTA가 가장 길었다(p<0.05).

고무경도계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추정 가능성 분석 (Estimation of Setting Time of Concrete Using Rubber Hardness Meter)

  • 한민철;한인덕;신용섭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58-366
    • /
    • 2019
  • 본 연구는 현재 작업자의 경험과 감각에만 의존하고있는 표면 마감작업시간 판정을 Durometer 측정치와 Proctor 관입저항 시험치를 비교하여 응결시간 판정에 듀로미터를 활용함으로써 실무 구조체의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표면 마감시간의 추정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로 Durometer 측정치와 Proctor 관입저항 시험치는 상관성이 높다고 판단되어 콘크리트의 경우 초결 측정시에는 Durometer C type으로 42HD전후 일 때 표면 마감작업 개시가능 시간결정에, 종결 측정시에는 Durometer D type으로 10HD 전후일때 표면마감 한계시간, 양생개시 시간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치과용 경석고의 사용방법에 따른 경화팽창과 표면상태 비교연구 (The comparison research of the setting expansion and surface condition by using method of dental stone)

  • 박수철;남상용;정인호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3-27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compare a degree of setting expansion of dental stone by time depending on the mixing methods and mixing ratios of dental stone, to compare the surface state of each specimen with the use of an optical camera with microscope, and thereby to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for making dental prostheses. Methods: The test on setting expansion of dental stone is based on ISO 6873. With two different mixing ratios and three kinds of stone mixing methods, test groups were created, and a total of six types of specimens (N=30) were made. Based on the specimens, the setting expansion rate of each one was measured in each time slot of 24 hours, and the surface of the set stone was measured.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setting expansion rate of stone, the setting expansion of the specimen that was created in the way of vacuum mixing at normal mixing ratio was 0.1944% at 120 minutes; the setting expansion of the specimen that was created in the way of vacuum mixing at the mixing ratio which was 40% higher than normal mixing ratio was 0.195% at 120 minutes; the setting expansion of the specimen that was created in the way of mixing with hands at normal mixing ratio and then removing bubbles in vacuum mixer was 0.196% at 120 minutes. Conclusion: The setting expansion rate of each dental stone specim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lapse of time up to 24 hours(p<.001).

초음파법에 의한 콘크리트 응결시간 측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tting time of Concrete Using Ultrasonic Test)

  • 구본창;강민호;이대근;김종우;하재담;박석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논문집(II)
    • /
    • pp.707-711
    • /
    • 1998
  • Ultrasonic test usually was used for defect detection, crack depth measurements and strength estimation of hardened concrete. The essence of the pulse velocity method is that the transition time of an ultrasonic longitudinal pulse is measured in concrete. Ultrasonic velocity was propagated to the age of concrete, made a radical change at that time when concrete was setted. This study which monitored the change in a concrete by ultrasonic test was performed to estimate initial setting and final setting.

  • PDF

세티메타를 이용한 초지연 모르타르의 응결시간 추정 (Estimation of Setting Time of Super Retarding Mortar Using Settimeter)

  • 정영진;현승용;한준희;김종;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73-68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모르타르 조건하에서 초지연제 혼입률, 양생온도 및 강도수준 변화에 따른 응결지연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세티메타를 이용하여 공사현장의 다양한 외기조건 및 재료배합 조건하에서 초지연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을 효율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객관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비선형 회귀모델의 추정식 및 세티메타을 이용하여 초지연 모르타르의 응결시간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초결은 45 ST, 종결은 80 ST 전후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를 통해 초지연 콘크리트의 응결시관과 관련한 효율적인 품질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기 임피던스 분광법을 이용한 시멘트계 재료의 응결 특성 평가 (Setting Characteristic Assessment of Cementitious Materials using Electrical Impedance Spectroscopy)

  • 이준철;박인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74-4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기 임피던스 분광법을 이용하여 시멘트계 재료의 응결 시점을 평가하였다. 시멘트 페이스트 시편을 제작한 후 전기노드를 매립하여 전기 임피던스 응답 스펙트럼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간이단열시험을 통한 수화온도측정과 비카트침 시험을 함께 수행하였다. 전기 임피던스 분광법에서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와 동시에 컨덕턴스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후, 특정시점에 이르러 컨덕턴스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후 또다른 특정시점에서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특정 시점은 간이단열시험 및 비카트침 시험에 의해 측정된 응결시점과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기 임피던스 분광법을 이용하여 시멘트계 재료의 응결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매입형 센서를 활용한 시멘트 풀의 응결 시간 측정 (Setting Estimation of Cement Paste Using New-type Embedded Sensor)

  • 신경준;이도근;서동완;유철민;임민혁;임성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483-48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풀 및 모르타르의 초기재령 변형률 거동을 측정할 수 있는 경제적인 매입형 링센서를 고안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시멘트 풀 및 모르타르의 응결시간을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W/C가 0.30, 0.35, 0.40, 0.45인 배합들에 대하여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비카침과 관입저항침에 의해 측정된 응결시간과 제안된 방법에 의한 응결시간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개발된 링센서는 초기의 팽창거동이 수축거동으로 변화하는 수축의 시작시점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수축 시작 시점을 응결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으로 간주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존 방법의 초결시간과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혼화재 사용 콘크리트의 응결 및 강도발현에 미치는 온도의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mperature Dependency Affecting Setting and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Using Mineral Admixtures)

  • 주은희;손명수;전현규;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7권2호
    • /
    • pp.707-710
    • /
    • 2005
  • This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 temperature dependency affecting setting and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using mineral admixtures such as CKD, FA and BS. For the properties of setting at $5^{\circ}C$, setting time of concrete with mineral admixture was delayed about $3\~14$ hour compared with that of plain concrete. Use of CKD had a desirable effect on reducing setting retard under $5^{\circ}C$ because of $CaCO_3$ of CKD while use of FA and BS retarded setting time greatly. For compressive strength under $5^{\circ}C$, concrete with CKD had the most compressive strength in early age compared with the other mineral admixtures but exhibited slight strength loss in $-5^{\circ}C$ at 28days. Especially, concrete with FA and BS was observed in early stage at low curing temperature because of strength loss remarkably in $-5^{\circ}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