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education program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4초

초등학교 급식에서의 비빔밥식의 식단유형분석 -부산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enu Patterns of Bibimbab meals in the School Lunch Program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s)

  • 이명화;이희정;김석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91-49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vide into a few groups of Bibimbabs with distinctive menu patterns and accompaniments from 484 Bibimbab menus of 360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around Busan city and Gyeongnam province. The menus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net(http://www.kdclub.com) and the home page of elementary schools from December, 2004 to September, 2005. Moreover, Bibimbabs with high frequency were analyzed by seasons and regions to give informations for menu planing and developing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The serving frequency of Bibimbab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asons,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winter. Kongnamulbibimbab and Bomnamulbibimbab were highest in frequency in rural areas meanwhile, Sanchaebibimbab, and Chamchibibimbab were frequently served in Busan. The basic structure of Bibimbab meal based on main dish, soup, kimchi and one or two accompaniments consisted of 'side dish', 'fruit & beverage', or 'starchy food & dessert'. Thus, most of the Bibimbab meals were composed of 4${\sim}$5 dishes. Five groups of Bibimbabs were suggested by the menu patterns and kinds of soups. Soups, fruit & beverage, and kimchi were included in the menu patterns of nearly all groups of Bibimbab. However, side dishes and strachy foods & desserts were included of excluded according to the groups of Bibimbabs. Some kinds of soups and side dishes were different among the groups of Bibimbab.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st, avaliable labor and seasonal constraints contributed mainly to the numbers and kinds of accompainments in the Bibimbab meals. However, taste and sensory balance were also considered in the Bibimbab menus in the School Lunch Program.

아동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감각통합치료 중심으로 (Job Analysis of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Focused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 최정실;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직무기술서를 도출하며 아동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각 책무별 과제와 과제요소의 중요도, 빈도, 난이도 인식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직무분석을 하였다. 1단계에서 직무분석을 위해 1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DACUM 위원회를 조직하였고, 워크숍 및 메일을 통해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직무기술서를 완성하였다. 2단계에서 141명의 아동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완성된 직무기술서로 설문조사하여 과제와 과제요소의 중요도, 빈도, 난이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 직무의 정의는 '아동 청소년에게 작업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일상생활 및 놀이를 포함한 작업수행과 사회참여를 지원한다'이었다. 직무기술서를 통해 9개의 책무(상담, 평가, 치료계획, 치료, 기록, 교육, 자기개발, 관리, 행정), 28개의 과제, 169개의 과제요소가 도출되었다. 중요지수가 가장 높은 과제는 '안전유지하기'와 '치료실행하기'이었고, 과제요소는 '아동과 도구, 주변의 안전 확보하기', '안전한 환경 준비하기'이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직무범위를 정의하고, 관련 교육과정을 개발 및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tudents' Experiences of Flipped Learning-Based Clas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 이나핼;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0-92
    • /
    • 2017
  • 목적 : 플립드 러닝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을 받은 작업치료 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수업 후 학습자의 요구와 성찰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7년 1학기 K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전공필수과목인 '감각통합치료 및 실습'을 수강한 3학년 학생 중 10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이용하였고, 녹음한 면담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의미단위 20개, 중심의미 8개, 주제 3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오프라인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플립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와 성찰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온라인 수업은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학습할 수 있다는 편리함과 반복학습의 만족감을 가져왔다. 하지만 교수와의 면대면 수업의 부재로 소통과 집중력의 문제를 호소하였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다양한 감각통합 실습수업에 흥미를 보였고, 적극적인 실습태도의 변화가 있었다. 결론 : 실습이 요구되는 감각통합 수업에 플립드 러닝 기반 수업은 시간의 확보와 실습 몰입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다른 작업치료교과목도 플립드 러닝으로 수업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었으며, 플립드 러닝 수업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 자세가 필요하다는 성찰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치료 교육 분야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시도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Effects of a Bilateral upper Limb Training Program Using a Visual Feedback Method o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 Pilot Clinical Trial

  • Kang, Dongheon;Park, Jiyoung;Choi, Chisun;Eun, Seon-D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7권2호
    • /
    • pp.20-31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pilot test a newly developed bilateral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upper limb function of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using a visual feedback method. The doubl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ilot study included 10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ge >50 years). The intervention (four weekly meetings) consisted of five upper limb training protocols (wrist extension; forearm supination and pronation; elbow extension and shoulder flexion; weight-bearing shift; and shoulder, elbow, and wrist complex movements). Upper limb movement function recovery was assessed with the FuglMeyer Assessment of the Upper Extremity,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the Trunk Control Test, the modified Ashworth Scale, and the visual analog scale at baseline, immediately after, an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e Fatigue Severity Scale was also employed. The Fugl-Meyer Assessment of the Upper Extremity and Wolf Motor Function Tes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upper limb motor function. The Trunk Control Test results increased slightly, and the modified Ashworth Scale decreased slightly,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visual analog scale score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nd the Fatigue Severity Scale scores were moderate or low. The bilateral upper limb training program using the visual feedback method could result in slight upper limb function improvement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TEMPS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Growth of Learners through the Changemaker TEMPS Program)

  • 김남은;허영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91-116
    • /
    • 2019
  • 이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가정과 수업에 맞는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적용한 학습자의 성장에 관한 사례를 통해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체인지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체인지메이커 교육이란, 실생활 속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들에 대해 생각하고(Thinking), 배우고(Education), 만들고(Making), 참여하고(Participation) 즐기며(Play)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서로 공유(Share)하여 변화(Change)시키는 교육을 말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방향을 "폭넓은 메이커 활동을 통해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고 타인과 공감, 협업하여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과 직업생활을 주도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고 내용의 범위를 "아동 가족,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의 5개의 영역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교육할 수 있는 세부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 방법으로 "주제별로 TEMPS 단계를 통해 교과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로 제안하였다. 셋째,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의 설계는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5가지 핵심 아이디어 중에서 TEMPS를 단계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T(Thinking)는 문제에 대해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생각하는 단계이고, E(Education)는 다음 단계(Making)를 위한 배경지식을 얻는 단계이다. M(Making)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목표물을 만드는 단계이고, P(Participation)와 P(Play)는 참여하고 즐기는 단계이다. S(Share)는 결과물 전시, SNS공유, 수업 발표회 등을 통해 교육적으로 확산을 시켜 궁극적으로 사회를 변화(Change)시키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TEMPS 단계를 기본으로 하여 중학교 12개 프로그램, 고등학교 15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 당 각각 2차시~12차시로 중학교 총 68차시, 고등학교 총 68차시 분량이다.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에 1년 간(2018년 3월 2일~2018년 12월 31일) 참여한 학습자들은 삶과 교육의 연계, 실천 능력의 향상, 자기 주도 학습, 자존감 향상, 성취감과 자기 성찰, 비판적 인식 향상, 감각적인 관찰 등에서 긍정적인 성장을 보여주었다.

국내 임상에서 실시된 아동간호중재 연구논문(2000-2011년) 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Pediatric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in Korea, 2000-2011)

  • 방경숙;강현주;김미영;민수정;이수진;이해인;임지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4-3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research trends of pediatric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in Korea form 2000 to 2011.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from the databases. RISS and 'Infant', 'Toddler', 'Preschooler', 'Schooler', 'Adolescent', 'Child', 'Effect', 'Program', 'Intervention' and 'Nursing' were used for keyword searches to find relevant studies. A total of 37 published articles and dissertations in Korea from 2000 to 2011 were reviewed using a structured analytical frame. Result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more common at 91.9% with a true experimental design at 2.7%. The portion of studies in which theoretical framework was suggested was 27.0%. Only 8.1% mentioned International Review Board (IRB) approval and 78.4% received only the participant's agreement. The participants' developmental stage was mostly preschool stage, and 37.0% of the child's health problem was a chronic disease. Sensory interventions made up 45.9% of the types of intervention and most of the sensory interventions were distraction interventions. The contents of intervention outcomes were physiological (54.0%) and psychological (28.0%) categories mostly. Conclusion: This study will help in identifying current research trends of pediatric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in Korea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developing pediatric nursing interventions.

Effect of core training on dynamic posture control, lower extremity injury, and joint position sense in ski athletes

  • Jong-Yual Kim;Woo-Young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95-10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코어 훈련이 스키선수의 동적자세조절, 하체 손상 및 고유수용성 관절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스키선수 20명으로 무작위로 코어 운동군 10명과 통제군 10명으로 분류하였다. 코어 훈련프로그램은 벤치, 사이드웨이 벤치, 프랜크, 사이드 브리지 및 서파인 브리지로 구성하였고, 8주간 주 3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동적자세조절 검사는 좌·우측 후방안쪽 뻗기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하체 손상 준거 검사는 좌·우측 종합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고유수용성 관절위치감각은 왼발 15°과 왼발 45°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코어 훈련은 스키선수의 동적자세조절 능력, 하체 손상 감소 및 관절위치감각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리(不利)한 환경(環境)의 학령전(學齡前) 아동(兒童)을 위한 보상교육(補償敎育)에 관(關)한 연구(硏究) - 미국(美國) 및 일본(日本)의 보상교육(補償敎育)·프로그램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ompensatory Education for the Disadvantaged Children in Preschool Age (Focussed on the Programs of Compensatory Education in the U.S.A. and Japan))

  • 정영숙;이희자
    • 아동학회지
    • /
    • 제1권
    • /
    • pp.65-81
    • /
    • 1980
  •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mpensatory education which was already implemented or is being implemented in the U.S.A. and Japan; and at studying the types of program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at sounding out the possibilities of the application of such programs in family and social conditions is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mentioned objectives, the established item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1) Various types of early children's education (2) Programs of compensatory education for the disadvantaged Children (3) Head Start Program, Early Training Project and Montessori School (4) Integrated Preschool Programs (5) Day-Care Center for employed mothers We investigated the various compensatory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eschool children who are in economically, socially, culturally disadvantaged conditions. Head Start Programs were federally supported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and opened as summer programs in 1965 for the first time. The purpose of Head Start has been to give preschool children the kinds of experiences they need in preparation for school. The Head Start childre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better prepared for school than the normal children. However, after six to eight months, their initial advantages had virtually. disappeared and then the simple problem with Head Start and other such programs was that little long-term good could be evidenced unless the high 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was maintained.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three other programs were funded as part of the overall Head Start. These three programs are the Parent-Child Center, Home Start, and the Child and Family Resources Program. The Early Training Project for disadvantaged children was implemented by Klaus and Gray of Peabody College in 1962. The program was a field research study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ver time of procedures for improving the educability of young children from low income homes. Its major concern was to study whether it was possible to offset the progressive retardation observed in the public schooling careers of children, living in deprived circumstances. Children, who were trained through the Early Training Project were superior to control groups in the test of IQ and vocabulary as well as linguistic abilities, and preparation for reading. This project showed the possibilities which could prevent preschool children from being disadvantaged socially, culturally and mentally. In 1907, Montessori School was established by Maria Montessori in Italy and her school program has been introduced at present to several countries in the world as one compensatory educations. She first began her experimental methods with retarded children, followed by disadvantaged children from the tenements of Rome. The Montessori approach futures a prepared environment and carefully designed, self-correcting materials. The Montessori curriculum presents tastes that feature sequence, order, and regularity, in addition to those that develop motor and sensory skills. She was interested in children's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in developing good work habits. One of the latest developed programs for disadvantaged children is "Integrated Preschool Program" which has successfully integrated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Several studies have showed that handicapped children in integrated school environments are accepted by and interact with their nonhandicapped peers. In fact, this program provides a number of potential, and perhaps opportunities for nonhandicapped children to serve as valuable resources in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their handicapped peers. Next we turn to Japanese programs which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types. One is Day-Care Center which was established by Child Welfare Law and the other is kindergarten organized by School Education Law. The kindergarten opened in 1876 and it has been part of school systems since 1947 by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law, and the Day-Care Center which started in 1890 for the employed mothers. was changed into Day-Nursery by the enactment of child welfare law in 1947. The laws and operational regulations for the Day-Nursery were set up and were put in effect by the establishment standard acts of children welfare facilities, and the Day-Nursery has been operated in various types by the increasing demand, chiefly because of the socio-economical changes of family structures in both urban and suburban areas. Nursery education for physically and mentally disadvantaged children is for those who are blind, deaf and dumb, mentally retarded; physically disadvantaged by accidents or diseases. Montessori education in Japan was started in 1968 and many research groups for studying Montessori were organized. In 1977, Montessori remedial education society was also organized in which they started a number of studies; a study for developing materials; in-service training for the remedial education; and seminars and lectures, etc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we study the early educations that are being implemented in Japan and a variety of compensatory educations that were already implemented in the U.S.A. and modify them for the organization of our own model and properly accommodate them to our social needs.

  • PDF

산림 걷기 운동이 노인의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Walking Exercise on Functional Fitness and Gait Pattern in the Elderly)

  • 최종환;신창섭;연평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503-509
    • /
    • 2014
  • 이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산림 걷기 운동이 어떻게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37명의 노인들이 참여하였으며 산림 걷기 운동 집단(n=19, $66.34{\pm}4.31$세)과 실내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n=18, $67.18{\pm}2.78$세)으로 구분되어, 12주간 주에 3회 80분 씩 각각 산림 걷기 운동과 실내 트레드밀 걷기 운동에 참여하였다. 기능적 체력(근력, 지구력, 유연성, 민첩성/평형성, BMI)과 보행형태(보행박자, 보행속도, 보행안정성) 검사는 12 주간 프로그램 전과 후에 측정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가 이용되었으며, 독립 t-test와 반복 이원변량분석이 이용되었다. 그 결과, 12주간의 산림 걷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이 실내에서 트레드밀 걷기 운동한 집단보다 하지 근력, 허리 유연성, 민첩성/동적 평형성, 그리고 심폐지구력에서 더 크게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상지 근력, 견관절 유연성, BMI에서는 두집단 모두 똑같은 향상을 보였다. 둘째, 12주간의 산림 걷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이 실내에서 트레드밀 걷기 운동한 집단보다 보행박자, 보행속도, 보행안정성에서 더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각-운동신경의 기능적 통합에 기초한 산림 걷기 운동이 노인들의 기능적 체력과 보행형태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고, 나아가서 생활을 더 역동적으로 만들며, 낙상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장애인의 치과진료 현황과 치과의사의 교육 및 훈련 정도에 대한 조사연구 (DENTAL CARE AND THE STATE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DENTISTS FOR THE HANDICAPPED)

  • 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7-94
    • /
    • 2001
  • 장애인에 대한 치과의사의 치과진료 현황과 장애인 치과치료를 위한 치과의사 교육 및 임상훈련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와 경인지역의 치과의원 각각 300곳과 600곳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한달 평균 한 명 이상을 치료하는 치과의원은 44%이었다. 장애유형은 지체장애자, 정신장애, 감각장애, 자폐증 순이었다. 63%의 치과의사가 친절히 대했으며 51%가 치료 후 만족스러웠다고 응답했다. 치료시의 문제점으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시간의 지연이 가장 많았다.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교육과 임상 실습에 대한 경험은 각각 49%, 19%이었다. 치과의사의 93%가 장애인 치과치료를 위한 훈련과정이 필요하며, 81%가 장애인을 위한 전문의료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효율적인 장애인의 치과치료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치과대학 학과과정과 졸업 후 보수교육에 장애인 치과치료를 위한 교육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내 국가 차원의 장애인 전문의료기관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