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Job Program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1초

잠재디리클레할당 분석을 이용한 '노인일자리' 관련 신문기사 토픽분석 (Topic Modeling of Newspaper Articles on Government 'Senior job program' vi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 이소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537-546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적 논의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인 대중매체인 신문기사에서 다루어지는 노인일자리 관련 주요 토픽들과 시계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뉴스 통합 데이터베이스인 빅카인즈에 수록된 11개 중앙지와 8개 경제지의 노인일자리사업 관련 기사 1107개에 대해 잠재디리클레할당 방법을 이용한 토픽분석을 실시해 언론 기사에 내재된 노인일자리사업의 잠재토픽을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일반적 정보전달, 지자체 사업 홍보, 노후생활, 고용효과, 시장연계 등 5개의 잠재토픽이 추출되었는데 2015년까지 대부분의 언론기사가 일반적 정보전달과 지자체 사업홍보에 국한되어 있어 노인일자리사업의 정체성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형성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던 반면 2015년 이후부터 노인일자리사업의 소득, 안전 등 노후생활 효과 관련 주제가 다루어지는 비중이 증가했으며 특히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고용효과와 관련된 기사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의 질적측면 및 고용효과 측면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과 고용프레임 이외의 대안적 프레임 제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Performance by Participants'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 박용두;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16-226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 전남, 전북, 제주지역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로 총 15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Versio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통해 직무성과가 극대화 된다고 나타났다. 이를 위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자연적보상전략과 의미성, 역량, 영향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Performance of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Coordinators)

  • 박경순;박영란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059-1075
    • /
    • 2010
  •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들의 직무성과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노인 일자리사업의 지속적인 양적 성장에 발맞춰 질적인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노인일자리사업 담당자들의 업무 역량과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들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무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그들이 속해있는 조직구조의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인천지역의 노인일자리사업 수행기관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251부의 자료를 실무자의 개인적 특성과 조직구조에 따른 직무성과 수준에 대한 기초통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특성에 있어서는 자신감, 노인일자리 사업에 대한 이해, 노인에 대한 인식이, 조직구조 특성에서는 조직의 공식화수준이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들은 자신감이 높을수록, 노인 일자리사업에 대한 이해가 높을수록, 노인의 일과 사회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강할수록 그리고 실무자가 속한 조직의 공식화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무자들을 위한 지속적인 임파워먼트와 사업에 대한 지식과 기술 습득 및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제고를 위한 전문화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아울러 노인일자리 담당 실무자의 직무 및 업무처리과정에 대한 통합적 매뉴얼의 필요성도 시사해주고 있다.

시니어 기술창업을 위한 CBI 추진방안 연구 - 핀란드 브릿지 프로그램 기반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CBI, senior technology entrepreneurship promotion - Based on Finland Bridge Program-)

  • 유순덕;최광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0
    • /
    • 2015
  • 본 연구는 고용 없는 성장과 고령화로 진입하는 국내경제 환경에 따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니어 기술창업을 위한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정부와 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시니어 창업지원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핀란드의 브릿지 프로그램의 성공요인을 파악하였다. 브릿지의 성공요인은 기업 주도형 시니어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시니어들의 창업성공에 중심을 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창업기업과의 적절한 교류 기회 확대와 민간기업의 사회환원 마인드 확산이다 국내 시니어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는 CBI(Corperate Business Incubator)를 통한 방안을 제언 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 정책의 발전방향을 파악하고 정부정책 및 산업 활성화 방안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향후 연구는 여러 국가 사례 비교를 통한 분석을 통해 기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Participants)

  • 박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113-126
    • /
    • 2013
  • 본 연구는 일자리특성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직무만족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로는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내용, 근로환경, 교육 및 서비스환경의 네 일자리특성 변수들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급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직무만족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의 생활만족도 증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덧붙여, 사회적 지지(자녀지지와 외부지지)는 일자리특성과 직무 만족 및 직무만족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니어클럽의 현황 및 정책과제: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of Senior Clubs: With Focus on Senior Employment Programs)

  • 원영희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525-54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클럽의 현황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시니어 클럽의 정책과제를 모색함에 있다. 시니어클럽의 현황에서 법적 근거, 조직, 사업 유형, 재원, 사업 성과, 그리고 운영상 어려움(낮은 수익 산출, 높은 노동 강도와 저임금, 부족한 예산 지원, 사업수행의 법적 근거 미약)에 대해 살펴 보았다. 향후 시니어클럽의 정책과제로 1) 시니어클럽의 역할 정립(지역노인일자리사업의 거점, 지역특성에 적합한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 수행 주체, 노인인식 증진 및 노인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사회 변화의 구심체), 2) 노인일자리의 질적 향상(욕구반영 및 지속 가능한 노인일자리 창출, 노인일자리사업 교육의 내실화, 실무자의 근무여건 향상, 민·관 지원연계 및 파트너십 구축), 3) 노인일자리사업 관련 법 제·개정 등을 제시하였다.

노인일자리 사업의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Impact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신계수;권승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05-115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사업에서의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참여자 교육 만족도가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처 궁극적으로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수행된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업유형, 지역규모, 시도 등을 고려한 비비례층화표본 추출방법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에서 세종시는 제외하였으며, 이들 중 본 연구 문제와 관련한 문항에 무응답 또는 응답 비해당자를 제외시킨 2,0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육 만족도가 노인일자리 사업의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만족도가 노인 일자리 사업의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중 심리적 효과에는 교육내용의 흥미도와 교육의 직무 활용도 모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사회적 효과에는 교육내용의 흥미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적 효과에는 교육의 직무 활용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자리 참여자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전담 인력을 배치하여 교육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자리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참여자 스스로 일에 대한 자부심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한다면 사업효과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시니어클럽 관장의 리더십과 종사자의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Directors' Leadership and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enior Clubs)

  • 이병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9-20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클럽 관장의 리더십과 조직헌신의 관계, 그리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충청도와 대전 지역에 소재한 시니어클럽의 종사자 288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모형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부트스트랩검정 등이다. 분석결과, 시니어클럽 관장의 리더십과 종사자의 조직헌신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분석되었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시니어클럽 종사자들의 조직헌신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시니어클럽 관장들의 리더십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훈련과 프로그램의 개발, 자발적인 참여의 유도, 시설평가에 리더십프로그램의 참여 실적 포함 등이 제시될 수 있다. 둘째, 시니어클럽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료들과의 다양한 교류프로그램과 동료모임의 운영, 감정노동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멘토링과 휴식지원 서비스의 제공, 전문적인 직무교육과 슈퍼비전의 제공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시니어클럽의 효과적인 노인 일자리사업의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취업률 향상을 위한 졸업 학년 취업 대상 인원에 대한 탐색 연구 (A Preliminary Exploration Study on the Survey Analysis about the Senior year students for the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Rate)

  • 장은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22-1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취업률 향상을 위한 취업 대상자에 대한 2개 항목 23문항의 설문 지문 개발과 연구자 소속 대학의 취업 대상자 289명에 대한 응답 결과에 대한 설문지 분석을 통해 취업에 임하는 취업 준비 자세와 면담 및 상담과 관찰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효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지역적 특성과 현실을 고려한 바람직한 취업률 향상 방안을 정성적으로 제안한다.

  • PDF

경기도 가족계획 요원의 가족계획사업 수행에 필요한 지식이해에 관한 조사연구 (Study on Need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Family Planning Workers in Kyonggi-Do, Korea)

  • 이광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9-174
    • /
    • 1971
  • The Family Planning Program has teen intensively implemented in Korea by the national policy since 1962. However, the desired effective results were not fully obtained by many reasons such as the shortage of qualified workers, lack of eligible women's coope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family planning etc., The field family planning workers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along the governmental personnel order; the senior field worker and the assistant field worker. The former is qualified licensed nurse and the latter same as the former of a certified nurses-aid. These family planning worker's roles are somewhat in change not only in field education, distribution of contraceptions, administrating mother's class of assistant field workers but also responsible for the senior field workers such as recording, reporting and keeping statistics. Therefor, the desired success of family planning programming in Korea depends on family planning worker's professional abilities and activities in the field. In aiming to study on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above two kinds of family planning work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 field survey with question airs done as of October, 1970 in Kyonggi-Do. 1. Working term of the family planning workers in average were less than two years. The younger the assistant Field workers were, the earlier they left job. 2. The assistant field workers selected their job in order to the superficial rather than implementing job itself. 3. Most of the workers either in the health center or in the Up-Myun had a better understanding concerning with their job ; contraceptive methods, maintenance of equipment and drug keeping, and other administrative procedures, etc., 4. They had relatively better understanding and sufficient knowledge about contraception itself and application of it's methods and side effects in detail too, but less knowledges for the care after. 5. It was hard to Find out any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knowledge and demographic understanding. 5. It is fully agreed upon that the longer the worker have experienced with the program, the more skilful she applied. 7. The worker who had training whether pre-service or insertive are working more effectively than the untrained. 8. The fundamental demographic knowledge is recommended to obtain for the workers in Kyonggi-D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