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8초

COVID-19 이후 물리치료과 학생의 온라인수업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Online Classe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since COVID-19)

  • 정은정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4-64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ctual situation of online classe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after COVID-19.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act-finding survey on how physical therap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es think about the online class method, what are the overall problems, and to what extent they are satisfie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2 students in the 3rd year of physical therapy at University A, and the survey period was from June 10 to June 23, 2020, and the perception and use of online class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investigated. Design: Cross-section study. Results: The perception of online lecture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after actual online classes was better than the perceptions before watching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was generally hi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ades in self regulated learning. The data value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dows version 12.0 statistical program.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each class compared to onlin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효과적인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웹 기반 이-러닝 시스템 (Web-based E-learning System Supporting an Effective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 김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524-535
    • /
    • 2011
  • 성공적인 이-러닝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지원이 전제돼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이-러닝 시스템들은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들을 부분적으로만 적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극대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학습방법, 평가방법 및 학습내용수준, 다양한 측면에서의 학습동기 유발 전략을 제공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보다 향상된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웹기반 이-러닝 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교 자료구조 교과목에 적용한 후 수강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력을 향상시키며 효과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자기조절 인지전략과 공교육 수업제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위계적 선형모형의 적용 (Effects of Individual Self-Regulated Cognitive Strategies and Public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 Application of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 이주리
    • 아동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7-97
    • /
    • 2009
  • This study us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self-regulated cognitive strategies and public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nts were 6389 (boys 3287, girls 3102)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2005 data of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schools i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e. 20% of variance in English achievement and 15% of varian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were explained by school differences. (2) Students' elabor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y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3) Predictor variables by ability grouping, supplementary class, and/or self-learning clas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PDF

초기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도와 자기조절학습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성별 간 다집단 분석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 Between Early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 홍예지;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7-29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idirectional relation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y (MPD) and self-regulated learning (SRL) of early Korean adolescents in $4^{th}$, $6^{th}$ and $8^{th}$ grade, while taking into account gender differences. Methods: The study made use of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and thre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2,264 adolescents were analyzed by means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PD and SRL were consistently stable for adolescents in $4^{th}$, $6^{th}$ to $8^{th}$ grades. Secondly, a bidirectional relations between MPD and SRL were confirmed. In other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f a high level of MPD on a subsequent low level of SRL, and the high level of SRL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ower level of MPD across time.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lations between two constructs during the studied period. Conclusion: Findings highlighted not only the necessary media usage education but also parenting intervention strategies may help early adolescents to be prevented from negative effects of media usage and to enhanc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more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과학의 탐구능력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 특징 분석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순옥;서혜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307-323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을 측정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이 어떻게 되는가?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정의적 영역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의 탐구영역,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검사지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정현철 등, 2004) (2) 과학의 탐구능력검사 중 문제발견능력검사(정현철 등, 2004) (3) 과학의 정의적 영역설문(서혜애 등, 2008).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소재의 7개 학교 3개 학년 재학생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총704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은 3.02였으며, 둘째, 과학의 탐구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도 높게 (p<.05)나타났다. 셋째,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자기 효능감을 나타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의 정의적 영역은 감소(p=.048)하였다. 특히 자기 효능감에서 가장 큰 유의한(p=.002)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p=.000) 상관이 있었다. 이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생은 과학의 탐구능력이 높고, 과학의 정의적 영역도 높다고 볼 수 있다.

  • PDF

초등수학에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수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in a Constructive View)

  • 최창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29-24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wo different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mathematics in the traditional method and in the constructive view. To do so, the actual class in the constructive view has been made for about four months using a class of 45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After the class was finished, we collected diverse data from the class, such as the responses from the children(self-evaluation, mathematics diary, observation by the investigator, daily report), class evaluation report by other teacher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class reaches at the goal of learning in a unit time because the class is guided by the teacher but the class in the constructive view is a little flexible because it is contextual. Second, in the constructive process of mathematical knowledge we knew that small group activities or discussion without intervention of teacher was often ended in exhaustive argument without arriving at valid social consensus. Third, the attitude in mathematics was changed from the passive one to the self-regulated ones. Fourth, the class in the constructive view could extend not only the ability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but also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of children. Fifth, it was a considerable change the role of teacher, that is, guide of instruction instead of unique specialist in the classroom. Sixth, finally, the evaluation was made after finishing a unit class in the traditional instruction but it was integrated in a class in a constructive view.

  • PDF

자기평가가 학습자의 수학 학습 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reported Evaluation on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Styles)

  • 이선재;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457-485
    • /
    • 2017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기평가 도구는 학습자 스스로 평가할 세부 내용을 결정하여 자신의 학습을 점검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자기평가 결과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자기평가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자의 수학 학습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자기평가가 수학학습 자신감을 향상시키며, 수학학습 자기 전략을 세우고, 메타인지 능력 신장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평가지의 질적 분석을 한 결과 학생들은 자기평가지를 통해 그 날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 인지적 활동과 더불어 학습습관이나 태도,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개선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교사는 자기평가지를 통해 개별 질문 및 피드백을 함으로써 학생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었다.

관찰-추천제는 어떤 특성의 영재를 선발하는가?: 선발시험 vs. 교사관찰추천으로 본 영재들의 지능, 진로유형, 자기조절 학습능력 (Who are Identified through the Teacher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in the Aspects of Intelligence, Career Patter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 한기순;양태연;박인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445-46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단계 선발방법에 의해 선발된 영재들과 새로운 전형인 관찰추천제도로 선발된 영재아동의 지능, 자기조절 학습능력, 진로유형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특성비교를 통하여 영재 선발 방식의 대안으로서 교사 추천 방식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지능은 기존의 3단계 전형에 의해 선발된 영재(IQ=129.82)들과 관찰 추천제에 의해 선발된 영재들(IQ=130.54)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영역별로 살펴보면, 어휘적용력이나 이해력, 도식화 능력 등은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유형의 경우는 선발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존 선발전형의 영재들은 탐구형(72%)이 월등히 많은 반면,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은 탐구형을 포함하여 기업형, 사회형, 실제형, 관습형 등의 유형분포가 기존의 선발시험제도 영재들 보다 넓게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에서는 과제인식, 학습신념의 통제가 기존 선발시험제도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한 차이로 높았으며, 시험불안, 시연, 정교화, 조직화, 동료학습에서는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과 수업에 증거집(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지식,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rtfolio Assessmen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Knowledge, Inquiry Ability and Science Attitudes)

  • 김혜정;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8
    • /
    • 1999
  •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증거집(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할 때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지식,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생들의 증거집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비교집단은 충북 청원군 미원면의 M초등학교 4학년 45명이며, 실험집단은 대전광역시 G초등학교 4학년 36명이다. 사전 검사로 과학지식 검사1, 과학탐구능력검사, 과학 태도 검사를 두 집단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증거집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약 6주 동안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사후 검사로 과학지식 검사2, 과학 탐구능력검사, 과학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증거집 평가에 대한 인식 검사지를 실험집단에 실시하였다. 결과는 SPSS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비교집단이 실험집단보다 과학 지식 검사에서 높은 성취를 보였다.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 태도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하위 영역 분석 결과 과학적 태도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를 보였다. 학생들의 증거집 평가에 대한 인식은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증거집 평가에 대한 흥미, 학습 참여도, 자기 주도적 학습, 고차적 사고, 앞으로 참여 의사 등과 같은 대부분의 하위 영역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PDF

C 영재교육원을 통해 살펴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al Program: The Case of C Gifted Education Center)

  • 한기순;양태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7-155
    • /
    • 2009
  • 영재교육은 효과적인가? 영재교육은 그 지향하는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했다고 평가할 수 있는가? 영재 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는 동안 학생들은 인지적, 비인지적 측면에서 어떻게 달라지며 영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과 어떠한 측면에서 차별화되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질문들은 매우 민감하지만 중요한 이슈임이 틀림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부설 C 과학영재교육원 재학생 153명과 교사가 추천한 과학적 흥미와 능력이 과학영재교육원 학생과 유사한 수준의 우수학생(비교집단) 131명을 대상으로 과학에서의 문제 발견력, 학습 동기와 자기조절능력, 과학 관련 태도, 과학 불안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에서의 문제 발견력에서 영재집단은 정교성과 독창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탐구동기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우수집단은 정교성, 탐구동기, 탐구수준, 독창성 등 과학에서의 문제 발견력이 전반적으로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 능력에서 영재집단은 인지전략 사용 부분에서 유의하게 높아졌고 내적가치는 유의하게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우수집단의 경우 자기효능감, 불안테스트, 자기조절 등 전반적으로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 능력이 감소하였음 알 수 있었다. 과학 관련 태도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투입된 영재집단의 경우, 사전 사후 값의 변화가 없었지만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투입되지 못한 우수집단의 경우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 불안도에서 영재집단의 경우, 사전 사후 값의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우수집단은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각 변인들에 대하여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실시된 공변량분석 결과,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과학적 관련 수행, 탐구동기 제외), 과학에서의 문제 발견력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영재집단에서 각 변인들에 대하여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우수집단에서 전반적으로 큰 폭의 점수하락이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