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ho are Identified through the Teacher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in the Aspects of Intelligence, Career Patter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관찰-추천제는 어떤 특성의 영재를 선발하는가?: 선발시험 vs. 교사관찰추천으로 본 영재들의 지능, 진로유형, 자기조절 학습능력

  • Received : 2014.06.10
  • Accepted : 2014.06.25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paper and pencil test utilized to identify gifted students so far to the recently introduced teacher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intelligence, career patterns, and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ose two different identification system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newly introduced teacher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overall IQ score. However,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e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at some subscores of intelligence test, such as vocabulary application, comprehension, and schematization. In the aspects of career patterns, about 72% of gifted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revious paper and pencil test belonged to the 'investigative' category of Holland. But more diverse career patterns such as enterprising, social, realistic, conventional including investigative categories were found in those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by the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단계 선발방법에 의해 선발된 영재들과 새로운 전형인 관찰추천제도로 선발된 영재아동의 지능, 자기조절 학습능력, 진로유형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특성비교를 통하여 영재 선발 방식의 대안으로서 교사 추천 방식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지능은 기존의 3단계 전형에 의해 선발된 영재(IQ=129.82)들과 관찰 추천제에 의해 선발된 영재들(IQ=130.54)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영역별로 살펴보면, 어휘적용력이나 이해력, 도식화 능력 등은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유형의 경우는 선발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존 선발전형의 영재들은 탐구형(72%)이 월등히 많은 반면,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은 탐구형을 포함하여 기업형, 사회형, 실제형, 관습형 등의 유형분포가 기존의 선발시험제도 영재들 보다 넓게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에서는 과제인식, 학습신념의 통제가 기존 선발시험제도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한 차이로 높았으며, 시험불안, 시연, 정교화, 조직화, 동료학습에서는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윤환, 박성선 (2013). 초등학교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을 위해 도입된 교사 관찰 .추천제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영재와 영재교육, 12(3), 27-51.
  2. 김명숙, 한기순(2008).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18(1), 23-52.
  3. 김성연, 한기순 (2013). 관찰.추천제에 의한 수학영재 선발 시 사용되는 교사추천서와 자기 소개서 평가에 대한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활용. 영재교육연구, 23(5), 671-698.
  4. 박병기, 송정화(2008). 변화신념,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및 주관적 안녕의 인 과구조 탐색: Dweck 모형의 확장. 교육심리연구, 22(2), 333-350.
  5. 박숙희 (2009). 소외계층 영재교육. 영재와 영재교육, 8(3), 5-21.
  6. 방미선, 김용권 (2013). 과학 영재 관찰․추천 선발 방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및 개선 방안. 초등과학교육, 32(2),169-184.
  7. 신동준, 이춘식 (2013). 발명영재의 관찰추천제 선발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1), 141-156.
  8. 안창규 (1996). 진로탐색검사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8(1), 169-199.
  9. 유미현, 강윤희, 예홍진 (2011). 과학영재교육원 관찰.추천 방식의 영재선발 분석. 과학영재교육, 3(2), 27-38.
  10. 윤은정, 박윤배 (2012). 관찰.추천제에 의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서 심사결과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929-942. https://doi.org/10.9722/JGTE.2012.22.4.929
  11. 윤초희, 박희찬 (2013). 관찰추천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영재학생 판별기준과 추천요인 분석. 영재교육연구, 23(5), 771-791. https://doi.org/10.9722/JGTE.2013.23.5.771
  12. 윤초희, 우성조 (2013). 관찰추천 영재선발의 실제에 대한 질적 탐구: 영재교사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12(2), 141-168.
  13. 이귀연, 이길재 (1999). 생물적 요인과 환경 요인이 지능에 미치는 영향 및 지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2), 151-160.
  14. 이신동, 안수경 (2006). 영재판별을 위한 지능검사의 타당성 고찰. 영재와 영재교육, 5(1), 89-108.
  15. 이종구, 현성용, 최인수 (2007). KMIS-E 다중지능검사 실시요강. 한국가이던스.
  16. 정덕호, 김영미, 이준기, 박선옥 (2013). 일반담임교사와 영재담당교사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차이. 영재교육연구, 23(2), 161-175. https://doi.org/10.9722/JGTE.2013.23.2.161
  17. 정현민, 진석언 (2013). 예측타당도를 중심으로 한 관찰.추천 영재판별용 행동특성 평정척도의 유용성 탐색. 영재교육연구, 23(5), 835-855. https://doi.org/10.9722/JGTE.2013.23.5.835
  18. 조선미 (2011). 영재의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대한 종단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0(3), 33-52.
  19. 조현철(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33-60.
  20. 지영해 (1997). 지능, 학업성취, 대학 수학 능력 시험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최은주, 유미현 (2013).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 분석을 통한 관찰.추천제의 영재 판별 효과성 탐색. 과학영재교육, 5(1), 22-32.
  22. 최호성, 박후휘, 김일 (2011). 교사 관찰.추천제를 활용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식에 대한 부산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과 태도. 영재교육연구, 21(2), 407-426. https://doi.org/10.9722/JGTE.2011.21.2.407
  23. 한기순, 이정용 (2011). 영재교사들의 지각하는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중요도, 실행수준 분석: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영재교육연구, 21(1), 107-122.
  24. Brown, A. L., & Campione, J. C (1984). Three faces of transfer: Implications for early compet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instruction. In M. Lamb, A. Brown, & B. Rogoff (Eds.), Advance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3, pp. 143-192). Hillsdale, NJ: Erlbaum.
  25. Campione, J. C, & Brown, A. L. (1984). Learning ability and transfer propensity as sourc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lligence. In P. H. Brooks, C. McCauley, & R. Sperber(Eds.), Learning and cognition in the mentally retarded (pp. 265-294). Hillsdale, NJ: Erlbaum.
  26. Dweck, C. S. (1999). Self-theories: Their role in motiv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hiladelphia: The Psychology Press.
  27. Feldhusen, J. F. (1986). A conception of giftedness. In K. A. Heller & J. F. Feldhesen (Eds.), Identifying and nurturing the gifted: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pp. 33-38). Toronto: Huber.
  28. Fredrickson, R. H. (1986). Prepar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for the world of work.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4, 556-557. https://doi.org/10.1002/j.1556-6676.1986.tb01201.x
  29. Holland, J. L. (1997). Making vocational choice: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3r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30. Prieto, L., Parra, J., Ferrándiz, C., & Sanchez, C. (2004). The role of the teacher with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Leeds, UK: University of Leeds.
  31. Reis, S. M., & Renzulli, J. S. (1982). A research report on the revolving door identification model: A case for the broadened conception of giftedness. Phi Delta Kappan, 63, 619-620.
  32. Renzulli, J. S. (1986).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and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Staw, B. M.(1995). Why no one really wants creativity. In C. Ford & D. A. Gioia (Eds.), Creative action in organizations: Ivory tower visions and real world voices.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 Inc.
  34. Tannenbaum, A. J.(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Macmillan.
  35. Zimmerman, B. J., & Schunk, D. H.(1989).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Springer 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