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Online Classe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since COVID-19

COVID-19 이후 물리치료과 학생의 온라인수업 실태 조사 연구

  • 정은정 (안동과학대학교 물리치료과)
  • Received : 2022.06.16
  • Accepted : 2022.08.22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ctual situation of online classe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after COVID-19.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act-finding survey on how physical therap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es think about the online class method, what are the overall problems, and to what extent they are satisfie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2 students in the 3rd year of physical therapy at University A, and the survey period was from June 10 to June 23, 2020, and the perception and use of online class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investigated. Design: Cross-section study. Results: The perception of online lecture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after actual online classes was better than the perceptions before watching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was generally hi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ades in self regulated learning. The data value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dows version 12.0 statistical program.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each class compared to onlin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I. 처음으로 초중고특 신학기 온라인 개학 실시(코로나19). 교육부보도자료. 2020.03.31.
  2. 교육부II.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교육부보도자료. 2020.03.27.
  3. 교육부III. 학습공백 방지를 위한 원격수업 기반 준비 시작(코로나19). 교육부보도자료. 2020.03.26.
  4. 구봉오, 김현주, 최기환. 물리치료 단독 개원 법률 제정의 필요성.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8;25(1):75-84. https://doi.org/10.26862/jkpts.2018.06.25.1.75
  5. 구봉오, 심제명, 이경순, 등. 우리나라 물리치료학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0;17(3):41-9.
  6. 김진경. 온라인 수업을 위한 과정중심평가 음악 수업지도안 개발: 고등학교 창작영역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7. 김상미. 코로나-10 관련 비대면 수업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020;21(6):1091-100.
  8. 김상우, 이병희. 물리치료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0;27(2):48-62. https://doi.org/10.26862/jkpts.2020.09.27.2.48
  9. 김석태. 중학생의 EBS교육방송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2005.
  10. 김윤아. 코로나-19로 인한 중학교 온라인 음악 수업의 학생 만족도 조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2021.
  11. 박영란. 사이버대학에서 수업환경과 학습 관련변인이 학업성취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2014.
  12. 박중열.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기계저널. 2020;60(7):32-6.
  13. 이용상, 신동광.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020;23(4):39-57.
  14. 이인숙.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자 수업참여도가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건강학회지. 2021;11(1):47-55.
  15. 이종문. 대학생 대상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강의 콘텐츠 운영 실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1;32(4):5-24.
  16. 임경희. 코로나-19 전후 대학생의 수업만족 및 학생상담 실태. 현장수업연구. 2021;2(2):29-58. https://doi.org/10.22768/JFLS.2021.2.2.29
  17. 장미경. 인문계 고등학생의 온라인 수업이용에 관한 만족도 조사[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18. 정수람. COVID-19 이후 재택근무 및 온라인수업 실태조사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19. 정영식, 박종필, 정순원, 김유리, 송교준. 온라인수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분석.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2.
  20. 최영미. 고2 학생들의 EBS 온라인 수능 영어 강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1. 최현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2021;15(1):273-86.
  22. 황요한, 김창수.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강의 인식조사: 대학생의 만족도와 불안도를 중심으로. 언어학 2021;29(1):71-91. https://doi.org/10.24303/LAKDOI.2021.29.1.71
  23. Kim JH, Lee WH. The effects of online team project-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ooperative self efficacy and cooperative self regulation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J of Kor Phys Ther Sci. 2021;28(3):1-10. https://doi.org/10.12674/ptk.2021.28.1.1
  24. Pintrich PR, De Groot EV.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 Educ Psychol. 1990;82(1):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