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과학의 탐구능력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 특징 분석

  • Received : 2011.11.08
  • Accepted : 2011.12.1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RLA) of students and analyze its relationship to their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n middle schools in Korea. For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what level is SRLA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how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SRLA and science inquiry skill look like? Third, how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SRLA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look like? A research method employed in the study is the survey utilizing three questionnaires: a) a questionnaire of SRLA (Jung et al., 2004); b) a questionnaire of problem finding ability of the science inquiry skill (Jung et al., 2004); and c) a questionnaire of science affective domain (Seo et al., 2008, adopted from 2006 PISA Student Questionnaire). Responses to three questionnaires by 704 students from seven middle school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in Korea were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ean average scores of SRLA is 3.02 (${\pm}0.63$) in 5 Likert scale (1 = strongly disagree; 5 = strongly agree). Second, students with higher scores in science inquiry skill showed significantly (p<.05) higher scores in SRLA than others. Third, boys scored higher on self-efficacy scale than girls. As students advance their grade level, their affective domain levels of science significantly (p=.048) decreases, in particular, their self-efficacy level most significantly (p=.002) decreases. Fourth, SRLA was significantly (p=.000) correlated with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n conclusion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SRLA level of students in middle schools is, the higher level of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을 측정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이 어떻게 되는가?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정의적 영역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의 탐구영역,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검사지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정현철 등, 2004) (2) 과학의 탐구능력검사 중 문제발견능력검사(정현철 등, 2004) (3) 과학의 정의적 영역설문(서혜애 등, 2008).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소재의 7개 학교 3개 학년 재학생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총704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은 3.02였으며, 둘째, 과학의 탐구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도 높게 (p<.05)나타났다. 셋째,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자기 효능감을 나타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의 정의적 영역은 감소(p=.048)하였다. 특히 자기 효능감에서 가장 큰 유의한(p=.002)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p=.000) 상관이 있었다. 이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생은 과학의 탐구능력이 높고, 과학의 정의적 영역도 높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