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6초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통합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Family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 홍달아기;채옥희;이남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89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egrat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special needs and situations into family living and Korean social groups. Nowaday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re are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such as cultural conflicts, domestic violenc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bad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members because of misunderstandings. These social problems can be alleviated by a family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is program was developed in order to help immigrant women in their initial settlement and to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on mutual culture of family liv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 of how to live a harmonious, understanding and hopeful family life. The method of evaluation is to survey the immigrant women's self esteem and conduct an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re to promot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Also the family agreed to promote favorable sentiments toward each other. The program also had meaningful conseque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mmigrants' realistic expectation of marriage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I am hopeful that more elaborate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developed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with appropriate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신중년의 긍정심리자본이 재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Middle Ag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Reemployment)

  • 이한석;이영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33-40
    • /
    • 2019
  • 신중년은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무엇보다 재취업은 자신의 삶에 새로운 자신감을 갖게 되고 정신건강을 향상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정부는 신중년 자본의 활용을 통해 재정 부담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이런 시각에서 본 연구는 신중년의 긍정심리자본이 재취업의지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의정부시에 거주하고 있는 신중년 은퇴시기를 전후한 성인남녀를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신중년의 교육수준은 재취업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관계가 있었다. 이런 관점에서 신중년의 재취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신중년에게 적합한 직종의 개발과 더불어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2)신중년의 긍정심리자본은 재취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중년의 재취업을 고양하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자신감, 구직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극적인 자세,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려는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

전통춤프로그램이 가정위탁아동의 대인관계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raditional Danc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Foster Care Children)

  • 배나래;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42-247
    • /
    • 2017
  • 가정위탁제도는 일반적으로 친부모로부터 적절한 보호와 보살핌을 받을 수 없는 아동이 위탁가정에서 친부모를 대신하여 규정된 시간 안에 계획 하에 구성된 필요한 보호를 받으면서 가정의 기능을 보완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이다. 위탁보호아동들이 겪게 되는 정서적 어려움 중 큰 부분은 대인관계 부적응이다. 긍정적이지 못한 대인관계로 인해 낮은 자아존중감이 나타나며, 사회적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위탁아동들을 대상으로 전통춤 프로그램을 통해 가정위탁아동의 대인관계를 향상 시키며 이를 통한 대인관계 효과를 검증하여 전통춤프로그램이 대인관계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통춤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아동들의 대인관계에 대한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프로그램 후 대인관계 점수가 상승하였다. 아동간의 친밀감 형성 및 의사소통 등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참가자들은 초기에는 프로그램에 적극성이 떨어졌으나 프로그램 중반으로 갈수록 흥미를 느끼고 적극적인 모습이 자주 관찰 되었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중반부로 갈수록 친밀감이 형성되면서 의사소통 횟수가 증가 하였으며, 또래 관계에 있어서 자신감이 향상 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전통춤을 활용한 대인관계 향상에 대한 기초연구로 추후연구에서는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된 전통춤프로그램을 장기간에 걸쳐 적용함으로서 가정위탁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문화적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대인관계능력이 향상 될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도시민의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동기, 여가혜택과 만족간의 영향 관계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tivation, Benefits and Satisfaction derived from Rural Outdoor Recreation for Urban Residents)

  • 손호기;조록환;이정은;강명보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39-753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tendency and benefits of outdoor recreation in rural areas. The preferences and importance of the benefits of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in rural areas were simultaneously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discussion of a four quadrants portfolio map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social benefits in quadrant i had the characteristics of 'sharing nice experiences with others', 'having contact/interchange with others', 'colleagueship/helping each other', 'being together with friends', and 'making new friends.' These social benefit types were perceived as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s, but the real level of achievement was rather low. Thus it seem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to apply the social benefit typ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experience of nature and relaxation benefits in quadrant ii had the characteristics of 'relaxation and recreation', 'understanding nature', 'nature experience', 'getting away from everyday life', and 'experiencing new things.' These benefits and experience of nature were regarded as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s by the participants in outdoor recre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ir real achievements were highly recognized, thus they seemed to be proper types for the goals involved in developing an outdoor recreation activity program in rural areas. The personal and challenge benefits in quadrant iv had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of mental ability', 'improvement of self-esteem', 'fitness', 'increase in determination', 'possible danger', 'achievement', 'excitement', and 'adventure.' These benefits had less importance to the participants, but had relatively high achievement, thus it might be important to make further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tendency, seasons and facilities.

재생을 통한 농어촌마을형(型) 공동생활 홈 조성 방향에 관한 연구 - 충북 괴산군 청천면 월문리 그룹 홈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Forming Rural and Fishing Village Type Community Living Home through Regeneration - With Focus on Community Living Home in Wolmunli, Cheongcheon-myeon, Goesan-gun, Chungbuk -)

  • 김승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1-28
    • /
    • 2013
  • Problems of housing, healthcare, social exchanges, and lonely feelings of vulnerable social groups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should be resolved by guaranteeing minimum residential rights and levels to restore the sense of self-esteem and social stability and to maintain the rural communities and these should be the object of social interest and support. The housing problems of rural and fishing villages should be resolved not through supply to meet demand but by beginning with providing the ways to attain mutual interaction through the program that recognizes housing as merit goods to maintain the regional communities This research examines more minutely the problems caused by poor housing conditions of rural and fishing villages and attempts to present rural and fishing village type community living home as an alternative through regener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should be built to support the community living home in its beginning, process, completion, and even post management. Second, education for reinforcing capabilities to help understand the community living home should continually conducted on the occupants, villag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Third, in order to expand the community living home, research and development should be made so that the zero-energy house, the alternative energy utilizing house, etc. can be widely used. In building community living hom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practical alternatives suitable to the regional realities should be presented and practiced so that the community living home can be built to the satisfaction of all the villagers and the occupants,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presented through constant interest and monitoring.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연구행태 분석 - 2001년-2014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search Behaviors in Bibliotherapy Programs: Focusing on Journal Articles during 2001-2014)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47-169
    • /
    • 2014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수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2001년도부터 2014년도까지 학술지에 기록된 총 6가지 전공분야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논문들의 연구경향, 전공영역별 내용과 연구주제별 내용, 연구주제별 세부주제 등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연구자의 신분은 교수 강사의 비중이 대학원생보다 높았으나 문헌정보학과 심리학 분야에서는 대학원생의 비중이 교수 강사의 비중보다 높았다. 또한, 모든 분야에서 초등생을 대상으로 학교와 도서관에서 프로그램이 자주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별로는 자존감 관련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그 외에 우울증, 결손가정, 사회성, 학업성취, 대인관계 등의 주제들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연구주제별로 세부주제와 측정도구, 활용자료 등이 제시되었다. 제언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추후 독후 활동에 대한 분석, 심리학적 제 이론의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TEMPS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Growth of Learners through the Changemaker TEMPS Program)

  • 김남은;허영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91-116
    • /
    • 2019
  • 이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가정과 수업에 맞는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적용한 학습자의 성장에 관한 사례를 통해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체인지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체인지메이커 교육이란, 실생활 속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들에 대해 생각하고(Thinking), 배우고(Education), 만들고(Making), 참여하고(Participation) 즐기며(Play)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서로 공유(Share)하여 변화(Change)시키는 교육을 말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방향을 "폭넓은 메이커 활동을 통해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고 타인과 공감, 협업하여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과 직업생활을 주도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고 내용의 범위를 "아동 가족,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의 5개의 영역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교육할 수 있는 세부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 방법으로 "주제별로 TEMPS 단계를 통해 교과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로 제안하였다. 셋째,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의 설계는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5가지 핵심 아이디어 중에서 TEMPS를 단계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T(Thinking)는 문제에 대해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생각하는 단계이고, E(Education)는 다음 단계(Making)를 위한 배경지식을 얻는 단계이다. M(Making)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목표물을 만드는 단계이고, P(Participation)와 P(Play)는 참여하고 즐기는 단계이다. S(Share)는 결과물 전시, SNS공유, 수업 발표회 등을 통해 교육적으로 확산을 시켜 궁극적으로 사회를 변화(Change)시키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TEMPS 단계를 기본으로 하여 중학교 12개 프로그램, 고등학교 15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 당 각각 2차시~12차시로 중학교 총 68차시, 고등학교 총 68차시 분량이다.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에 1년 간(2018년 3월 2일~2018년 12월 31일) 참여한 학습자들은 삶과 교육의 연계, 실천 능력의 향상, 자기 주도 학습, 자존감 향상, 성취감과 자기 성찰, 비판적 인식 향상, 감각적인 관찰 등에서 긍정적인 성장을 보여주었다.

임상실습 전·후 간호 대학생들의 삶의 질에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 김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774-78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전 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H대학 및 G대학의 3,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들 256명으로부터 2018년 2월 19일에서 6월 29일까지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ANOVA, Spearman rho Correlation, Kendall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임상실습 전 후의 간호 대학생들의 삶의 질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요인은 지원 동기(t=5.268, p<.001), 성적(t=4.771, p<.001), 우울(t=-4.600, p<.001), 월 소득(t=3.383, p=.001), 학과 만족도(t=3.344, p=.001)순이고,이들 요인의 결정계수인 $R^2$은 .685로 68.5%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적성이 맞아 간호학과를 선택하여 학과 만족도도 높고 성적도 일정하게 유지하며, 경제적인 어려움과 우울의 정도가 낮은 간호 대학생들의 삶의 질이 높다고 유추된다. 따라서 간호 대학생들의 지원동기와 월 소득은 통제할 수는 없으므로 통제 가능한 성적과 학과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켜 임상실습 전 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카지노 보안 및 고객접점 의전 종사자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al Labor of Casino Employees : Security Team and also Employees who Care Customer Closer)

  • 허태구
    • 시큐리티연구
    • /
    • 제57호
    • /
    • pp.111-135
    • /
    • 2018
  • 카지노 기업에서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조직목표 달성을 위해 업무시간 내내 실제로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속이거나 표면적인 감정으로 고객을 대하도록 강요하고 이로 인해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며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인적 경영에 있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요인은 조직 유효성과 연관이 있어 장기적으로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지노 보안 및 고객접점 의전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에 따라 증가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종사원들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력 및 인과관계를 규명한 결과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무교육뿐만 아니라 감정조절능력, 공감능력, 대인관계 기술 등 감성리더십 및 감성지능 교육을 실시 및 강화하여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카지노 종사원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개인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고 긍정적 감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기존중감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Administrative Officials

  • Lee, Jung-Seo;Kim, You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231-237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 담당공무원과 일반행정직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에 대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실증분석의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시사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G광역시 시청과 5개 자치구청(동 주민센터 포함)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직과 일반행정직 공무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에 대한 평균을 통한 기술적 통계를 구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인 직무내적 요인과,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관계 갈등,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인 직무외적 요인 모두에서 사회복지 담당공무원과 일반행정직 공무원의 주관적인 인식 수준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자존감 부여와 담당업무의 개선과 업무량을 적정한 수준으로의 조정이 필요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