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 Goal

검색결과 979건 처리시간 0.045초

Effects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Students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 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61-168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has low school satisfaction level and course maturity. Also, they have various problem such as relatively large digital divide when compared to general student. To solve such problem, we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a software education program o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its effect on their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llowed the main stages of ADDIE model and was designed into experience Sharing, Requirements analysis, Sharing, Grouping, and Organizing. 20 of 6th graders i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were chosen as subject for software education program. The effectiveness has been analyzed through pre, and pro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developed software education program has meaningful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elementary students.

The effect of self-identity on body shape management

  • Kim, Jung-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17-2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identity on body shape management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used descriptive research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identity, which has contained factors of Subjectivity, Self-acceptance, Future Confidence, Goal Orientation, Scrupulous. The subjects were 404 college students located in C province who were voluntarily agre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n self - identity and body shape management. As a result, self - acceptance of self - identity' subcomponents had no effect on body shape management, but future confirmation, goal orientation, Scrupulous, intimacy affects body shape management(P < 0.001).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manage the body shape of college students, it is considered effective to present the visible goals and apply the programs that students can do themselve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effective to start body shape management during college group life to enhance intimacy.

자기-관리 기법이 건설 현장 일선 관리자들의 안전 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Supervisory Behaviors at a Construction Site)

  • 이계훈;이재희;문광수;오세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51-159
    • /
    • 2012
  • This study implemented self-management technique to improve supervisory behaviors at a construction site. Self-management in the current study consisted of goal setting, self-monitoring and providing reward for two supervisory behaviors; (1) conducting safety observations of workers safety behavior and (2) providing safe related feedback. Two supervisors severed as participants. An AB within-group design was adopted. After baseline(A), self-management technique was implemented(B). Results suggested that self-management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two supervisory behaviors. Moreover, the increased supervisory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workers' safety performance.

행동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 프로그램이 버스 기사 및 승객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검증: 현장 사례 연구 (The Effect of Behavior Based Safety Program on Safe Behaviors of Bus Drivers and Passengers: A Field Case Study)

  • 노가은;오세진;문광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9-117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Behavior Based Safety(BBS) program on safe behaviors of bus drivers and passengers. Four male bus drivers working at a H transportation company situ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BBS program consisted of education, prompts, and self-monitoring with goal setting.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percentage of two safe driving behaviors of bus drivers (departure after stopping for 3 seconds, announcement for holding bus handles) and the percentage of one safe behavior of passengers getting on the busses those drivers drove (holding bus handles). A primary observer and two trained assistant observers measured two safe behaviors of the bus drivers with behavior checklists by riding on the busses and the passengers' safe behavior was observed by CCTV installed on each bus. An ABC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adopted. After baseline(A), education and prompts(B) and self-monitoring with goal setting(C) were introduced sequentially to each participant. The results showed that BBS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both bus drivers' and passengers' safe behaviors. Especially self-monitoring with goal setting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afe behaviors of bus drivers than education/promp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prompts and self-monitoring with goal setting would be an alternative treatment technique to improve safety for lone workers such as bus drivers.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성취목표성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Attitudes, Self-estee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 이영익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23-331
    • /
    • 2019
  • 본 연구는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성취목표성향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육전공 대학생 38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 Version. 1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에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운동참여자세가 높을수록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높고, 반대로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다. 또한 흥미와 이해가 낮을수록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낮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다. 둘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성취목표성향은 관계가 있다. 운동참여자세가 높을수록 과제 및 자아성향유형이 높다. 또한 흥미와 이해가 낮을수록 과제 및 자아성향유형이 낮다. 셋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목표성향은 관계가 있다. 자아존중감이 긍정적일수록 과제 및 자아성향유형이 높고, 부정적일수록 과제 및 자아성향유형이 낮다.

동계스포츠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이 재미요인 및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Enjoyment of Winter Sports Participants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 조석연;김대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92-1103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동계스포츠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이 재미요인 및 참여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연구로서 총 326개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SPSS PC/Program(Version 27.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성취목표성향, 재미요인, 참여만족의 통계적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성향이 재미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자아목표성향, 과제목표성향이 재미요인 하위요인 운동능력, 운동효용, 친목도모, 자기만족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자아목표성향, 과제목표성향이 참여만족의 하위요인 시설, 비용, 강습, 대인관계 및 건강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운동능력, 운동효용, 친목도모, 자기만족이 참여만족 하위요인 시설, 비용, 강습, 대인관계 및 건강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대학교 공학계열 학생들의 숙달접근목표지향성, 과제가치,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예측력 규명 (The Prediction of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Task Valu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Academic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Cyber Engineering University Students)

  • 주영주;정애경;설현남;이상회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9권2호
    • /
    • pp.65-74
    • /
    • 2012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 공학계열 학생들의 숙달접근목표지향성, 과제가치,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H 사이버대학교의 2011년 1학기 정보통신학과의 세 과목을 등록한 219명을 대상으로 웹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숙달접근목표지향성, 과제가치,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예측변인으로, 학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결과변인으로 설정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가치(${\beta}$=.401)와 자기조절학습전략(${\beta}$=.401)은 학업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자기조절학습전략(${\beta}$=.301)과 숙달접근목표지향성(${\beta}$=.196)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이버대학교 공학계열 학생들의 학업만족도와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숙달접근목표지향성, 과제가치,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높이는 구체적인 증진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목표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와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 박재춘;복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16-330
    • /
    • 2019
  • 본 연구는 목표성향이 구성원들의 자기유능감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한 구성원들의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와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공공기관 및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1,65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학습성향과 성과증명성향은 구성원들의 자기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성과회피성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높은 학습성향과 성과증명성향은 조직시민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성과회피성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목표성향(학습성향, 성과증명성향)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유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목표성향(학습성향, 성과증명성향)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자기유능감을 매개로 하여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의 상호작용효과는 성과회피성향에서 규명되었다. 즉, 성과회피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는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가 제시되었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Goal Orientation on Career Identify : According to Life Styl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Medium)

  • 이현숙;양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05-21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J도에 위치한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331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SPSS win 24.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은 각각의 변수 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은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가맹본부의 리더십 행동유형과 가맹사업자의 관계결속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가맹사업자의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in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or's Leadership Behavior Style and Commitment by Focusing Moderating Effect of Franchisee's Self-efficacy)

  • 양회창;이영철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1호
    • /
    • pp.49-71
    • /
    • 2010
  • 본 연구는 가맹사업자의 자기효능감에 주목하여 정부가 예비가맹사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가맹본부에 다양한 규제와 정책을 사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에서 제시한 가맹본부의 리더십 행동 유형과 가맹사업자의 관계결속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가맹사업자의 특성으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 실증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의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가맹본부의 리더십 행동유형이 관계결속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온다는 사실이 확인됨으로써 가맹본부는 가맹사업자에게 맞는 리더십 행동유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가맹사업자의 자기효능감이 관계결속에 긍정적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리더십 행동유형과 관계결속 사이에 상당한 조절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맹본부는 가맹사업자들의 개인차(individual difference)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정부는 가맹본부를 규제할 것만이 아니라 가맹본부가 가맹사업자들의 특성을 확실하게 파악하고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정당한 통제가 가능하도록 제도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