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Goal Orientation on Career Identify : According to Life Styl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Medium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 Lee, Hyun-Suk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Vision University) ;
  • Yang, Yu-Jeo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Gwangju University)
  • 이현숙 (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양유정 (광주대학교 보건의료관리학과)
  • Received : 2021.09.23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career goal orientation on career identity through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lifesty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medium,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increase the level of career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331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located in J province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4.0 as research data. The analysis found that career goal orientation, college life adapt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identity. The path analysis found that career goal orientation influenced career identify through the medium of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ly, to improve the college students'level of career identity, efficient ways and programs to increase career goal orientati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ust be prepar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J도에 위치한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331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SPSS win 24.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은 각각의 변수 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은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광주대학교의 2021학년도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1. Sears, S.(1982). A definition of career guidance terms: A National Vocational Guidance Association perspective,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31(2): 137-143. https://doi.org/10.1002/j.2164-585X.1982.tb01305.x
  2. 박신영, 이동형(2013).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직업교육연구, 32(1): 23-38.
  3. 이보람, 김혁주(2017).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교육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1): 141-152.
  4. 윤혜진(2017). 대학교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목표 지향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신정, 김성회(2012). 대학생용 진로정체감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3(3): 1425-1441. https://doi.org/10.15703/KJC.13.3.201206.1425
  6. 강정원(2018).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2(7): 299-315.
  7. 한희원, 문경숙(2014).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을 매개로 한 진로정체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2(4): 25-42.
  8. Holland, J. L., & Holland, J. E.(1977).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5): 404- 414. https://doi.org/10.1037/0022-0167.24.5.404
  9. 이지혜(201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탄력성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39-59
  10. 김희수(2007). 교과목으로서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연구. 진로교육연구, 20(2): 35-46.
  11. 구철회(2018).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진로정체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부은주(2011). 진로목표, 목표몰입, 학교적응 관계를 통해 본 농어촌 고교 학생들의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13. 이정애, 황재규(2012).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 사이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검증. 진로교육연구, 25(1): 37-52.
  14. 조민경(2012). 대학생의 통제소재와 자기 기대 신념이 진로목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Pintrich, P. R.(2003). A motivational science perspective on the role of student motiv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contex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4): 67-68. https://doi.org/10.1037/0022-0663.95.4.667
  16. Baker, R. W., & Siryk, B.(1989). SACQ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Manual).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7. 정경아, 조지현( 2013). 일 대학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학과 선택 시기에 따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의 차이.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5): 143-155. https://doi.org/10.15207/JKCS.2015.6.5.143
  18. 김윤주, 김윤영, 이송미(2015). 아동영어교육 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3(9): 39-47. https://doi.org/10.14400/JDC.2015.13.9.39
  19. 김남석, 고영주(2020).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8(1): 211-218. https://doi.org/10.14400/JDC.2020.18.1.211
  20. 정점숙, 정미조, 유일영(2014).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 27-36.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27
  21. 염대관, 김창호, 김우진(2015). 경호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시큐리티연구, 13: 121-145.
  22. 이종찬( 2013).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연구성과의 비교분석. 취업진로연구, 3(1): 49-66.
  23. Hackett, G., Betz, N. E.(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we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3): 326-339.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24. 윤혜진(2017). 대학교 신입생의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진로목표 지향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London, M.(1997). London's career motivation theory : An update on measurement and research.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1): 61-80. https://doi.org/10.1177/106907279700500105
  26. 박성미(2001). 구조적 및 적응적 일차이론에 근거한 학과적응 분석.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이윤정(1999).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계획.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8. Taylor, K. M.,& Betz, N. E.(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29. 이기학, 이학주(2000).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30. 이은경, 이혜성(2002).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 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09-120.
  31. Holland, J. J., Gottfredson, D. C., & Power, P. G.(1980).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91-1200. https://doi.org/10.1037/h0077731
  32. 양진희, 김봉환(2008).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 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1(2): 5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