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ience teacher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1초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학습 평가에 관한 실태조사 (An Investigation on Science Teachers' Evaluation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s)

  • 김호진;곽대오;성민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1-111
    • /
    • 2000
  • 6차 교육과정 개편 이전에 임용된 교사들의 경우 목표 달성을 진단하는 과학 평가에 관한 기본 지식에 대한 이해가 낮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면, 관찰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은 지식이며, 관찰 활동을 실천하는 관찰 능력은 탐구 기능인 것인데 오개념으로 작용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장 수업중에 제시한 학습 목표는 수업 후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하여야 하는데 목표에 부합되지 않은 문항으로 형성 평가를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태도 영역 평가의 객관성 확보 방법이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어 이에 관한 개선이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6차 또는 7차 교육과정에서 지식, 기능, 태도 3영역의 균형있는 평가를 제시하고 있어 어느 정도 개선되었으나 현장에서는 수행 평가 도입으로 탐구 기능의 평가 비율을 높여 더욱 균형있는 3 영역의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 PDF

중등 과학 교사 수업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econdary Science Teachers' Classroom Teaching Evaluation)

  • 전화영;홍훈기;박은이;김현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6-1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알아보고자 교실 수업을 촬영하고 분석하였다. 수업 평가 기준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과학과 수업 평가 기준의 평가 요소 중 12개를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교사들은 학생과의 상호작용에서 가장 높은 수행 수준을, 수업 목표 진술 요소에서 가장 낮은 수행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수업 수행 수준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우수 수준의 교사들은 경력이 15년 이상인 베테랑 교사들이었고 다양한 수업 자원을 사용하고 유의미한 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초보 수준의 교사들은 경력이 짧아서 수업 자원이 다양하지 못하고, 탄력적 수업 운영 요소가 부족하며 학생들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적은 경직된 유형의 수업을 하고 있었다.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on Integrative STEM Education)

  • 이효녕;손동일;권혁수;박경숙;한인기;정현일;이성수;오희진;남정철;오영재;방성혜;서보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0-45
    • /
    • 2012
  • 전세계의 교육공동체들은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과목들을 통합하려는 노력에 주목해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또한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초 중등학교에서 과학기술학, 예술, 수학교육(STEAM)을 융합형으로 가르치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기술,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교육의 현황과 통합 STEM 교육(Integrative STEM Education)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전국 중등교사 중 과학, 수학, 기술 교과를 담당하는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통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반면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통합 교육 준비에 대한 불충분한 시간과 통합 교육에 대한 전문성, 교수경험 그리고 교수-학습 자료의 부족으로 통합 교육을 실시해 본 횟수는 적었다. 둘째, 그들은 통합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통합 교육 준비를 위한 학교의 행 재정적 지원, 그리고 교사들을 위한 연수 실시 등을 요구하였다. 셋째,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불충분하지만 교사들은 학생들의 창의력, 사고력과 실생활에서의 적용 및 응용력을 기르기 위해 통합 STEM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수-학습 자료의 보급을 시급한 과제로 생각하고 있다. 다섯째,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통합 방식은 문제해결중심의 통합 방식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통합 STEM 교육이 통합적 문제 해결과 담당 교과의 소양 함양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며, 과학기술 인재 양성에 영향을 많이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STEM 관련 중등교사들의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통합 STEM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교사의 요구가 반영된 프로그램,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의 보급, 그리고 관련 연수들이 필요하다.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 과학 내재 동기에 미치는 영향 (Enhancing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ce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Simulated Teaching-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 이현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60-57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교원양성 과정에서 예비 교사들이 수행하는 과학과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예비 교사들이 개선 방안이 반영된 모의 수업을 실연하면서, 모의 수업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에 따른 과학 내재 동기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현직 초등과 중등 교사 5인이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 방안 도출에,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내재 동기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 방안 도출에는 전문가 협의회에 계층분석과정(AHP)을 적용하였으며, 모의 수업 실연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에 다른 과학 내재 동기 차이 분석에는 이원분산분석과 MANOVA 명령문을 통한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에는 디지털·생태 소양과 민주 시민 의식 함양을 위한 활동과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과학 탐구·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소집단 활동이 포함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개선 사항을 반영하여 예비 교사들이 초등학교 과학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7차시에 걸쳐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고 모의 수업을 실연하였다. 과학 내재 동기의 경우 모의 수업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모든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의 수업 실연 여부와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의 상호작용 효과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낮은 집단에서 모의 수업 실연에 따른 과학 내재 동기에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교 현장의 학생들의 과학 성취와 정의적 영역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 내재 동기 함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예비 교사 교육과정에서부터 학교 현장성을 반영한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한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STS 모듈 및 그 평가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STS Modules Reflecting Korean local Concerns and Their Evaluation Tools)

  • 차희영;심재호;임채성;김은경;김성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28-342
    • /
    • 2004
  • 본 연구는 한국이라는 지역적 상황에서 고유하게 제기되는 과학-기술-사회 문제들 중 네 가지 과학-기술-사회 관련 문제를 주제로 한 한국의 지역적 관심을 고려한 STS 모듈과 그 모듈이 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과정 평가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STS 교재 개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듈은 모듈 1. 보신식품, 정말 먹어야 하나요?, 모듈 2. 외래종과 토착종의 생존경쟁, 모듈 3. 시화호의 교훈, 모듈 4. 음식물쓰레기, 돈이라면 버리시겠습니까? 등 네 가지이다. 각 모듈들마다 고유한 방법으로 학생 활동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과정평가 방법을 준거형과 서술형의 두 가지 형식으로 새로 개발하여 도입하였는데, 이는 과학 수행평가 방법에 관한 아이디어가 절실히 필요한 일선 과학교사들에게 평가 방법의 아이디어 뱅크 역할도 겸할 수 있다.

화학전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학년별 사고 유형 (The Thinking Types of Pre-Service Chemical Cell Chemistry Teachers according to Grade)

  • 한유화;허영회;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3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화학전지에 대한 예비화학교사들의 학년별 사고 유형을 분석하고, 예비교사 양성교육이 이러한 사고 유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화학전지의 전극과 전해질의 종류를 바꾸어줄 때 전류의 흐름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는 데 예비교사 양성교육이 효율적이지 못함을 밝혔다. 예비교사들 중에는 대학교육이 화학전지 관련 내용을 이해하는 데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들은 대부분 과학적 개념이 부족하였고,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인식한 학생들도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3학년을 제외한 예비교사의 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갖고 있는 사고 유형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서술된 진술 방식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3학년에서는 다른 학년과 다르게 과학적 개념을 갖는 학생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과학교재론 수업 시간에 고등학교 화학 관련 교재들에 대해 조별 토론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원양성대학에서는 중등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과학내용지식을 가르치는 과정에서 관련된 교수 지식을 함께 다루어야 할 것이다.

CS2013 지식영역의 계량화를 통한 컴퓨터과학 영역별 우선순위 설정 (Setting Priorities by Computer Science Area Through Quantification of CS2013 Knowledge Area)

  • 유병건;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5-33
    • /
    • 2017
  •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한 국가들은 다양한 제도나 방법을 통해 교육의 질 강화를 진행하고 있다. 컴퓨터과학 분야에서도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과정 표준을 구성하는 등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컴퓨터과학 분야 교육과정 표준에서 언급한 지식영역의 우선순위를 파악해 보면, 내용체계 구성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CS2013을 토대로 내용요소에 대한 Tier1, Tier2, Elective의 시수와 세부영역의 수를 중심으로 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지닌 지식영역으로는 Software Development Fundamentals이었다. 해당 지식영역은 CS2013에서 기초 요소이기 때문에 초급코스로 권장한다고 기술되기도 하였다. 도출되어진 영역별 우선순위가 향후 초중등 정보교육과정이나 고등 교양 정보교육과정, 교원양성기관의 정보교육과정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Medium Chain Triglyceride 및 유지(油脂) 첨가식이(添加食餌)를 투여(投與)한 흰쥐의 혈중(血中) 및 간장(肝臟) Cholesterol대사(代射)의 변동(變動) (Effect of Medium Chain Triglyceride Diet on Cholesterol Metabolism of Serum and Liver in Rats)

  • 차재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5
    • /
    • 198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an effect of Medium Chain Triglycerids (MCT) diet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 Sprague-Dawley rats were fed two different diets containing MCT(trioctanoate) and corn oil respectively. After feeding to each group for four weeks, the levels of serum and liver cholesterol, the excretion rates of fecal and biliary steroids, and also bile acid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body weight gain in MCT group was almost same as that in the corn oil group. (2) The concentration of serum cholesterol in MCT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rn oil group.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cholesterol lowing action of MCT diet was practically high. (3) The concentrations of liver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MCT group were almost same as that in the corn oil group.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level of liver lipids was not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of diet in this study. (4) The excretion rate of fecal neutral steroid in MC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rn oil group, while the rate of fecal bile acid excretion was about same in both MCT and corn oil group. (5) The composition rates of fecal bile acid such as cholic acid, chenodeoxycholic acid and deoxycholic acid, a secondary acid of cholic acid, in MC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rn oil group. (6) The excretion rates of biliary cholesterol and bile acid in MC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rn oil group, while the composition rates of biliary bile acid such as chenoddeoxycholic acid and deoxycholic acid in MC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rn oil group.

An Analysis of the Concepts that Should be Taught to Achieve Class Objectives of Genetics Unit in Biology

  • Lim, Soo-Min;Kim, Jeong-A;Sonn, Jong-Kyung;Jeong, Jae-Hoon;Kim, Young-Shin;Song, Ha-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67-782
    • /
    • 2009
  • The researchers who are studying biology and teachers who are teaching biology think that the genetics-related concepts are highly significant than other concepts in biology. With such background, researches on the identification of major concepts have been under way to guide in biology class. Minimal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however, on what concepts should be taught to achieve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 class in relation to the unit of genetics in middle and high school. According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concepts of genetics that should be taught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genetics unit in secondary school. For this purpose 5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genetics unit on the 9th grade and 4 instructional objectives of Biology I were selected and the concepts that were taught to achieve class objective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14 science teachers from middle schools and 85 biology teachers from high schoo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9.1 and 10.2 concepts on average were taught in the 9th grade and in Biology I respectively. Moreover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oncepts that were taught according to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ppeared among the middle school teachers (p<.05). But such statistical difference did not appear among the high school teachers (p>.05). Furthermore the concepts for the 9th grade consist of the basic genetics concepts although Biology I concepts were integrated and advanced contents for same concepts. Thus this finding suggests that concepts of genetics units to be taught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in linkage.

초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garding Ethics Education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 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6-593
    • /
    • 2010
  • 본 연구는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기술 윤리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과학기술 윤리 인식 및 초중등 교육현장에서의 윤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5개 지역에 위치한 6개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과학교사 5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1)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수강 경험, 2) 과학기술 윤리에 대한 인식, 3) 초중등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의 3개 영역, 총 35문항(Likert 5점 척도, 선택형, 서술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 응답의 37.4%는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방송매체를 통해 얻는다고 하였으며, 학교를 통해 얻는 비율은 이보다 낮은 23.5%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개설된 과학기술 윤리 관련 강좌를 수강한 비율도 전체의 8.4%에 불과하여 예비과학교사 대상의 과학기술 윤리교육의 부재가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기술 윤리에 대한 자신감도 평균 이하(Mean=2.73)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이들의 과학기술 윤리 인식은 모든 항목에 대해 평균 이상(최소값=3.34, 최대값=4.58)로 전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기술 윤리 인식은 중등 예비과학 교사에 비해 초등 예비교사가 더 높았다(p<.05). 초중등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은 모든 항목에 대해 초중등 예비과학교사 모두 평균 4.0 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기술 윤리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는 교과목은 과학이 62.4%로 가장 높았으며, 도덕 윤리(29.1%)가 다음으로 높았다. 과학기술 윤리 교육에 효과적인 수업의 형태로는 사례제시(43.5%), 토론 중심의 수업(41.4%)을 선택하였다. 서술형 응답에서도 많은 예비과학교사들이 과학기술 윤리교육이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사례에 대한 토론 중심의 수업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