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uba Diving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7초

The analysis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wareness of first aid of scuba diver

  • KO, Jang-Sik;Cho, Byung-Jun;Kim, Gyoung-Y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61-167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udy on awareness of first aid of scuba diver.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310 customers over the age of 20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form diving pools and dive resort in Seoul, Gyeonggi, Gangwon, Gyeongsang province are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However, only data from 295 customers were used after screening the data for reliability. The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ter-item consistency reliability, pearson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on the data using the SPSS 21.0 version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 level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hemorrhage, abrasion, sprain, fracture, fever, arrest, airway obstru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first aid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cuba diver, we found bleeding patients, abrasions, sprains, fractures, high heat exposure patients, cardiac arrest pati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irway obstruction due to food.

테크니컬 다이빙 슈트 개발을 위한 잠수복 동향 분석 - 습식 잠수복과 반건식 잠수복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rends in diving suits for development of technical diving suits - with focus on wet and semi-dry types -)

  • 김효숙;최인영;신현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47
    • /
    • 2020
  • As people have gained leisure time and become more interested in sports, various industries catering to these sports, including aquatic and underwater activities are growing. Many people are getting into scuba diving, where people can explore the sea at depths of more than 40-meters.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 there are limited studies on the sport.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research on materials suitable for developing technical scuba diving suits by analyzing several areas, such as design, material, sewing patterns, etc. The following trends were observed in all wetsuits: closure designs, ergonomic patterns, practical and functional details. Neoprene was the primary material of diving suits, and various functional materials were attached to the outer fabric or lining. The seam technique which minimized water contact and improved durability was sewing. Various techniques were also applied, such as flatlock stitching, GBS, LFS, etc. Subsequent studies shall investigate consumer preference etc. and other aspects, and continue to allow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chnical diving suits.

The Effect of Scuba Diver Education on Emergency Response Ability, Safety Knowledge and First Aid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 Kwang-Soon Kang;Hyo-Suk S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21-127
    • /
    • 2023
  • 본 연구는 스쿠버 다이빙 입문교육 전·후 안전지식, 응급상황대처능력, 응급처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1년 6월 25일부터 8월 30일까지 연구에 동의하고 국제 스쿠버학교(SSI, Scuba Schools International)의 입문단계 교육을 받은 8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C/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 χ2-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 후 안전지식과 응급상황대처능력은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응급처치인식은 빈도분석결과 우선순위에 따라 가장 먼저 시행해야할 항목에 답한 경우가 교육 후 증가하였다. 또한, 스쿠버 다이빙 안전수칙을 잘 알고 있는 대상자가 안전지식과 응급상황 대처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스쿠버다이빙 단체교육 특성상 안전한 수중레저 활동을 위해서는 입문단계에서부터 안전지식 및 응급상황대처능력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해양레저활동으로서 스킨스쿠버다이빙의 제도적 현황 고찰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status of Skin Scuba Diving as a marine leisure activity)

  • 임채현;조대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3-68
    • /
    • 2009
  • 경제적 성장과 주 5일 근무제 시행에 따라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다양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관의 형성으로 특히 해양에서의 레저 활동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해양 레저 활동 중에서 스킨스쿠버다이빙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한 제도적 체계는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스킨스쿠버다이빙과 관련한 여러 가지 제도적 체계의 현황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Risk Perception and Safety Knowledge of Scuba Divers

  • Cho, Byung-Jun;Ko, Jang-Sik;Kim, Gyoung-Yong;Kim, Yong-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31-137
    • /
    • 2019
  •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a study on risk perception and safety knowledge and awareness of scuba diver.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310 customers over the age of 20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form diving pools and dive resort in Seoul, Gyeonggi, Gangwon, Gyeongsang are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However, only data from 295 customers were used after screening the data for reliability. The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ter-item consistency reliability, t-test, ANOVA, post hoc test, correlation analysis, pearson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on the data using the SPSS 21.0 version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risk perception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participation period. Second, participation period and safety knowledge have positive correlation.

다이버를 대상으로 한 연산호(軟珊瑚) 서식 해양보호구역 다이빙 관리제도의 지불의사액 분석 (Assessing the Willingness-to-Pay of a Scuba Diving Management in a Soft Coral Marine Protected Area)

  • 김미주;오치옥;남정호;홍종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235-247
    • /
    • 2022
  • A marine protected area (MPA) is a spatially designated section of the ocean where the biodiversity is high. Munseom MPA has a unique underwater landscape including soft coral, subtropical fish, and benthos, attracting many scuba divers. This paper intends to evaluate the willingness-to-pay (WTP) for the scuba diving management policy in the Munseom MPA. As a stated preference valuation method, a choice experiment was applied to assess divers' preferences with economic values for the policy. The attributes used in the study included zoning (temporal closure), conservation education, daily permit, soft coral area, and diving fee. We collected 333 questionnaires through online and field surveys and used 296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for the final data analysis. Study results show that a six-month closure, a decrease in soft coral habitat, and the diving fe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 positive coefficient with regard to the six-month closure variable indicates that divers preferred the policy, and the marginal willingness to pay (MWTP) was estimated to be KRW 8,637 per person per dive. The aggregate WTP of KRW 233 million wa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MWTP by the number of visiting divers per year. When comparing the level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more skilled divers preferred the management o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predict the priority of management measures and the levels of acceptability among divers when diving management is implemented in Korea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marine environmental policies need to consider divers as one of the important stakeholders for marine conservation.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스쿠버 레스큐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Identifying Problems and Suggesting Improvements for the Scuba Rescue Curriculum Using the Delphi Method)

  • 한동일;장재용;이근;윤대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1179-1190
    • /
    • 2022
  •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스쿠버다이빙 레스큐 교육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스쿠버 레스큐 교육과정을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참여자들이 즐겁고, 안전하게 스쿠버다이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2022년 현재 스쿠버 레스큐 교육과정에 관여하고 있는 전문가 8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 참여와 관련하여 연구윤리동의서를 받은 후 실시하였다. 스쿠버 다이빙 레스큐 교육과정의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 측면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지도자 측면에서는 지도자의 능력에 대한 검증제도가 필요하고, 지도자의 역량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했다.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스쿠버 단체별로 최신화된 프로그램 메뉴얼을 제작하고 평가 기준을 마련해야하며, 다양한 장비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시설 측면에서는 시설 내 인공파도 장치 등을 구축해야 한다고 하였다.

수중레저활동에 대한 법적 고찰과 개선방안 연구 (Legal Consideration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on Recreational Underwater Activity)

  • 정경화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7-5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외 수중레저활동 관련 법률을 분석하여 국내 수중레저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수중레저활동자는 '수중레저사업자로부터 계약을 통해 수중레저활동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수중레저활동을 하는 사람'으로 개정되어야 한다. 둘째, 수중레저활동구역을 설치하는 주체는 '수중레저사업자 및 수중레저활동자 등'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레저 테크니컬 다이빙은 나이트록스 또는 혼합 가스 등을 사용하므로 가스 종류가 명확히 기재된 스티커 또는 밴드를 부착하도록 규제가 추가되어야 한다. 넷째, 다이빙 필수 장비에 수면표시부표(SMB)를 추가하고 공기통에 대한 일상 관리 및 정비방법에 대한 규제조항이 추가되어야 한다. 다섯째, 수중레저활동자의 다이빙 보험가입을 적극 권유하도록 제도화 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수중레저활동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수중레저사업자의 응급절차와 다이빙 가이드라인을 구체적으로 명시할 필요가 있다.

스쿠버다이빙의 교육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사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Scuba Diving)

  • 신명수;오경아;박성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327-1337
    • /
    • 2019
  • 본 연구는 스쿠버다이빙의 교육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사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소재의 스쿠버다이빙장의 스쿠버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되어졌다고 판단한 46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154부의 자료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 서비스품질 중 시설(β=.349), 프로그램(β=.340)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고객만족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교육 서비스품질의 전체 변량 중 약 47%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서비스품질과 재구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 서비스품질 중 비용(β=.215), 프로그램(β=.442)이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재구매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교육 서비스품질의 전체 변량 중 약 53%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과 재구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만족(β=.555)은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에 대한 재구매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전체 변량 중 약 5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쿠버 다이버의 기본인명구조술 교육실태와 지식수준 (Knowledge and education levels regarding the basic life support among scuba divers)

  • 이효철;이미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5-5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nowledge and education regarding basic life support (BLS) among scuba divers. Methods: Data collected from 125 scuba divers in Jeju-do were subjected to frequency, t-test, ANOVA, and Chi-square analyses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42.1% of the subjects was trained BLS for more than an hour less than 4 hours, and 52.6% of the subjects was trained BLS for less than 3 months in scuba diving institu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mpetence for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uring BLS educ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ge further regarding the necessity of BLS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ith respect to age, job, academic background, monthly income, and participation period of scuba divers. The divers wished to lear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72.8%), medical first aid (8.0%), and measures to be taken in cases of trauma (8.0%). The knowledge score for BLS among scuba div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scuba di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