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레저활동으로서 스킨스쿠버다이빙의 제도적 현황 고찰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status of Skin Scuba Diving as a marine leisure activity

  • 임채현 (목포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 조대환 (목포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Lim, Chae-Hyun (Faculty of Marine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Cho, Dae-Hwan (Faculty of Marine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발행 : 2009.06.04

초록

경제적 성장과 주 5일 근무제 시행에 따라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다양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관의 형성으로 특히 해양에서의 레저 활동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해양 레저 활동 중에서 스킨스쿠버다이빙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한 제도적 체계는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스킨스쿠버다이빙과 관련한 여러 가지 제도적 체계의 현황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The marine leisure activities are increasing due to the formation of people's values which pursuit the better life quality and various life styles with the growth of economy and operation the system of five working days per week. Among the various marine leisure activities, skin scuba diving is the most prevalent activity, even though it doesn't have proper institutional system in relation to the activity, Thus, this paper studies the status of various institutional systems and problems and examines the ways of improv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