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based curriculum

검색결과 2,194건 처리시간 0.028초

IB 국제학교 구인광고에 담긴 사서교사의 직무 및 역량 분석 (An Analysis of the Teacher Librarian's Duties and Competencies Embedded in the IB International School Job Advertisement)

  • 김은혜;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2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요자인 학교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하여 요구하는 사서교사의 직무와 역량 사례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IB 국제학교가 사서교사를 선발하기 위하여 게시한 20건의 구인광고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직무와 역량을 IFLA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IB 국제학교의 사서교사 직무 및 역량은 IB 교육과정 지침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이 지침은 IBO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이념과 학습자상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교가 사서교사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직무는 도서관 장서관리 및 협동을 통한 교수이며, 이를 위한 주요 역량은 의사소통과 협동능력, 교수-학습·교육과정·교육설계 및 제공 그리고 디지털과 매체활용능력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사서교사의 전문성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적 인간상과 학습자 역량에 기반을 두고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에 학교도서관의 역할 포함하기 둘째, 학교도서관진흥법시행령 개정을 통한 인적자원의 직무 구분하기 셋째, 사서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 과목 개편 및 교육실습과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협동수업 시연 도입하기 등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이지선;임소진;최유리;김은정;이소영;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1-12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가정과 교육과정을 시기별로,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서 수집한 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10개의 교육과정 원문이며, 분석도구는 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4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데이터 수가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시기별 핵심 개념을 추출하여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에 따라 유지 및 변화되는 핵심 개념이 있었다. '생활', '가정'은 교육과정 변화에 상관없이 지속되는 핵심 개념이었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로는 '문제', '능력', '해결', '실천'이 강조되었다. 셋째, 핵심 개념 연결망 분석 결과를 통해 각 가정과 교육과정 마다 핵심 개념 간의 관계를 점(node)과 선(line)으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생활'과 '가정'을 중심으로 시대별로 강조한 핵심 개념이 강하게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향후 가정과 교육의 방향성과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Changes in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appearing in the document system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7-40
    • /
    • 2016
  • 교육의 변화나 교육과정의 변화는 시대적 필요와 지식의 변화로 인한 필요에 근거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필요 모두를 내재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총론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의 분석을 통해 2007, 2009 개정 시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정보과 교육과정의 위상 변화, 그리고 정보 과목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첫째, 이수단위에 대한 명확성, 둘째, 진로선택과목의 타당한 구성, 셋째,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강조되는 SW교육의 관점을 고려하고,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고등학교 정보과에 대해 어떤 편성과 운영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통계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f the Statistics Curricula for the High School in Korea and New Zealand)

  • 신우진;고호경;노지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9-38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통계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통계 교육정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뉴질랜드의 전반적인 통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2015 개정 확률과 통계 교육과정에 상응하는 뉴질랜드 통계 교육과정의 수준 7과 수준 8의 성취목표 및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에 우리나라 확률과 통계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가 지향해야 할 통계 교육과정 및 통계교육에 있어서 세계적인 추세에 부합하는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기초조사 및 분석 (Fundamental Study on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Schools)

  • 류숙희;김보현
    • 의학교육논단
    • /
    • 제10권1호
    • /
    • pp.9-17
    • /
    • 2008
  • Objectives: Medical schools are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by offering students better medical curriculum. In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medical curriculum by analyzing the medical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schools. Methods: Based on various materials, we selected out 5 domestic medical schools and 11 foreign medical schools and collected materials relevant to medical curriculum of each medical school. Then, we divided collected materials into four domains(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assessment,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analyzed them synthetically. Results and Conclusion: First, concern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it is necessary that more various educational objectives are included to medical curriculum. Especial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edical curriculum reflect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requests of local community. Secon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constantly improved and constructed consider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traits. Third, not only students but also educational program, educational contents, and professors should be included to the objects of educational assessment. Also, various assessment methods should be developed. Finally, especially for domestic medical schools,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more educational specialists in medical education.

기본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 연세의대 광혜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Remarks for Basic Medical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of Yonsei University in Korea)

  • 류숙희;안덕선;이원택;박전한;정현수;박무석;양은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11권2호
    • /
    • pp.15-24
    • /
    • 2009
  • Medical Students' competencies depend o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Basic medical education, in particular,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further medical competency development. We aimed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areas of reform in the basic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of Yonsei Medical School. To accomplish this, we sought case studies of different medical schools and discussion points for quality improvement methods. A qualitative comparison method saturated through the systematic discussions on the emerging thematic approaches to determine the current directions in medical school curriculum reform. The discussions, which involved 7 experts, spanned 8 months and wer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with focus on the 7 selected case studies. From the discussions, we concluded that in order to improve basic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following measures need to be carried out. First, an outcome-based curriculum is to be designed. The expected outcome is to be deliberately and succinctly defined and should be expressed as teaching and learning objectives. Second, the core subjects and elective subjects are to b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aim, content, and passage level of the subjects. Hence, the core curriculum must be treated as a standard part of medical knowledge, and the elective curriculum must be richer and more in-depth. Third, universities should institutionalize regular evaluation of their departments. Appropriate and just evaluations should be made, and feedback given to the school's administrative department. Fourth, the departmental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of the basic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Finally,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re to be increased and diversified and made available to professors and students for basic medical education.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진로지도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areer Planning Program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한의령;정은경
    • 의학교육논단
    • /
    • 제26권1호
    • /
    • pp.36-40
    • /
    • 2024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has designed and implemented two career planning programs: a three-phase curriculum-based program and a longitudinal non-curricular program over the course of 6 academic years. The three phases of the curriculum-based career planning program are self-assessment, career exploration, and field experience. The non-curricular career counseling program operates through a faculty advisor system, with each faculty member guiding a group of students from each academic year, and students in each year forming a mentor-mentee relationship. The non-curricular career exploration program consists of a student research support program, an international practice program in basic and clinical medicine, and a specialty exploration fair. A survey conducted among 38 graduates (54.3%) working as intern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vealed that graduates preferred autonomous elective subjects within the curriculum-based program. They als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faculty advisor system, through which they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ree interns indicated that subjects providing direct experience in fields of interest and courses that students could choose freely were helpful in career decisions. Through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a systematic career planning program based on an analysis of the needs of graduates taking part in a residency training program after selecting a medical specialty.

합리적 기계공학 교육과정 및 인증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asonable Mechanical Engineering Curriculum and Accreditation Criteria)

  • 하일규;송동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6호
    • /
    • pp.19-33
    • /
    • 2012
  • We analyze the problems of curriculum management and accreditation criteria through data analysis and survey on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s and accreditation criteria, propose an efficient curriculum model based on educational realities and requirements of all university members and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for more efficient curriculum management and accreditation criteria.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 curriculum data of several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nalyze the datum in various aspects and conduct a survey on curriculum management and accreditation criteria for collecting extensive opinion of university members on curriculum management and accreditation criteria. We expect that the proposed curriculum model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curriculum and accreditation criteria will help university members to efficiently manage accreditation programs.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수학 수업 사례 고찰 - 한국내 프랑스 외국인학교를 중심으로 - (A Case of the competencies-based mathematics lessons of one French foreign school)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81-108
    • /
    • 2012
  • 최근 들어 OECD가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제시한 이래, 핵심역량은 학교 교육과정의 새로운 비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도 2007년 이래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 한국인들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선정하여 이를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연구하여 왔으며, 2011년에는 기존 연구를 계승하여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및 평가방안, 그리고 교사교육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을 구체화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교과 교육과정을 선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위하여 뉴질랜드 중학교 네 곳, 한국 내 프랑스 및 영국 외국인학교 각각 한 곳, 한국의 국제중학교 한 곳을 선정하여 수학 교사 및 학교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수업 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였는데, 본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프랑스만을 대상으로 하여, 프랑스에 관한 학습자의 핵심역량 강조에 따른 프랑스 교육 동향을 소개하고 한국 내 프랑스 외국인중학교 수학교사의 수업 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 PDF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An Analysis of Graphing Domain in the Sixth and the Seventh Curriculum Textbooks)

  • 송정화;권오남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2호
    • /
    • pp.161-192
    • /
    • 2002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eaching and teaming of contents-related graphing in Korean secondary textbooks and suggested the improved methods of graph instruction through this analysis. reification-the case of function, In Harel, G., Dubinsky(Eds.), The Concept of Function :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Textbooks a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the proportion of graphing contents, their sequencing, the proportion of each domain in graphing activities (interpretation vs. construction, quantitative vs. qualitative aspect, local vs. global aspect) and tasks (prediction, translation, scaling), and the difference in the graphing contents between the sixth and the seventh curriculum.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at graphing contents are increasing in textbooks, therefore the high school textbooks appear in almost every content area. The graphing activities concentrate on the construction, the quantitative aspects, and the local aspects, and are graduall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and global aspects of high school textbooks. Furthermore, most of graphing tasks favor translation. In contrast, the current seventh curriculum includes a balance of interpretation and construction activities and has more global aspects than the sixth curriculum based textbooks; however, the qualitative approach still rarely appears. For the graphing tasks, translation is still prevalent, but the importances of prediction tasks based on graph hav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sixth curriculum textbooks. Further, the seventh curriculum based textbooks are designed to stimulate more dynamic graphing instruction by introducing new tools such as graphing calculators and computer software. We suggest that the qualitative and global aspects should be emphasized in early graph instruction, a variety of graph activities in realistic contexts should be performed, and educational technology such as graphing calculator and computer can be efficient to implement these id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