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현영. (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 25(4), 121-137.
- 강현영. (2015). 통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공공저작물 연계] 한국과학창의재단 발간자료.
- 고호경, 장경윤, 이강천. (2016). 우리나라와 호주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2), 309-331.
- 곽영순, 조성민, 최인선, 박지현, 이재봉, 김현정. (2014). 한국과 뉴질랜드 고등학교 학력자격 상호인증을 위한 기준 설정 연구: 수학 및 과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연구보고, RRC 2014-2.
-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 교육부. (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 권나영, 김진호. (2017). 미국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확률과 통계 중심으로. 교육연구, 69, 95-120. https://doi.org/10.17253/SWUERI.2017.69..004
- 권점례, 김성경, 김현미, 김현정, 배화순, 안유민, 유은정, 이동욱, 정연준, 최인선, 이광상, 이해영, 이정우, 정은영, 조철기. (2018). 교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수학, 과학,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CRC 2018-24.
- 김부미, 김선희. (2019).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비교. 교과교육학연구, 23(6), 548-559. https://doi.org/10.24231/RICI.2019.23.6.548
- 김선희, 강현영. (2020). 외국의 중등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 영역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학교수학, 22(3), 631-650.
- 김성경. (2019). 한국과 뉴질랜드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학교수학, 21(3), 625-644.
- 김정란, 김응환. (2017). 미국의 통계소양 교육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사교육 방향의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2), 163-186. https://doi.org/10.30807/KSMS.2017.20.2.005
- 문종은, 박미영, 주미경, 정수용. (2015).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의 실세계 기반 과제 분석: 융복합교육 맥락과 방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7(3), 493-513.
- 박소리, 손은령. (2017). 중학생 대상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효과. 교육방법연구, 29(3), 519-542.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3.519
- 서동엽. (2016).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6(3), 443-465.
- 송원기. (2015). 국내외 확률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신민경. (2016). 한국과 호주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대수 및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경화, 유연주, 탁병주. (2021). 데이터 기반 통계 교육을 위한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방향 탐색. 학교수학, 23(3), 361-386.
- 이수미. (2008). 한국과 뉴질랜드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분석-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정무. (2017). 대학입학시험 국제 비교에 의한 통계적 소양 평가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전혜원, 김래영. (2019). 한국과 미국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통계적 문제해결과정 비교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3(4), 425-444.
- 조성민, 박지현, 최인선. (2017). 뉴질랜드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학교수학, 19(3), 423-441.
- 주미경, 김소연, 배기태, 정희수, 정수용. (2018). 통계적 탐구활동 결과물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통계적 소양. 학교수학, 20(4), 661-683.
- 최승현, 황혜정, 남금천. (2012). 학습자의 핵심역량에 기초한 수학교육 실태 탐색: 뉴질랜드와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2), 215-238.
- 최은, 김서영, 권오남. (2019).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분석 연구: 한국, 싱가포르, 영국, 호주, 미국의 각 관련 내용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3(3), 295-317.
- 탁병주. (2017).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통계 교수 지식 연구: 표본 개념 지도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탁병주, 이경화. (2017). 우리나라 통계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7(2), 269-289.
- 하예원. (2018). 한국의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CCSSM 비교분석 연구: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하채현, 나정연. (2014). 문학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연구-국어과 공통 교육과정 학년군 성취 기준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56, 477-510.
- Arnold, E. G. (2016). Investigating the teaching of statistics with technology at the high school level through the use of annotated lesson plans. A doctoral dissertation. Montana State University.
- Brown, M. (2017). Making students part of the dataset: a model for statistical equity in social issues. Teaching Statistics, 39(3), 79-83. https://doi.org/10.1111/test.12131
- Devine, N., Stewart, G., & Benade, L. (2018). Yesterday's policies for today's schools. New Zealand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3(2), 161-163. https://doi.org/10.1007/s40841-018-0117-4
- Freudenthal, H. (1968) Why to teach mathematics as to be useful?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1), 3-8. https://doi.org/10.1007/BF00426224
- Herr, D. J., Akbar, C., & Brummet, J. (2019). Convergence education-an inter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Nanopart Research, 21(229), 1-6. https://doi.org/10.1007/s11051-018-4445-6
- Lourie, M. (2020). Recontextualising twenty-first century learning in new zealand education policy: the reframing of knowledge, skills and competencies. New Zealand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5(1), 113-128. https://doi.org/10.1007/s40841-020-00158-0
- Quintela-del-Rio, A., & Francisco-Fernandez, M. (2017). Excel templates: a helpful tool for teaching statistics. American Statistician, 71(4), 317-325. https://doi.org/10.1080/00031305.2016.1186115
- Singer, S. R. (2015). Learning in a World of Convergence. In: Bainbridge, W.S & M.C. Roco (Eds.)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Springer.
- Stephanie, B., & Drusilla, R. (2017).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in the Final School Year.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6(1), 139-162. https://doi.org/10.52041/serj.v16i1.221
- Travis, W. (2017). Problematizing statistical literacy: an intersection of critical and statistical literac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6(1), 33-47. https://doi.org/10.1007/s10649-017-97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