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Statistics Curricula for the High School in Korea and New Zealand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통계 교육과정 분석

  • Received : 2022.02.15
  • Accepted : 2022.03.18
  • Published : 2022.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statistics education policy in Korea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from examining the high school statistics curricula in Korea and New Zealand. The statistics curriculum in New Zealand was analyzed comparatively with the corresponding contents of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in the Korea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e analysis centered around achievement goals and key ideas of each of the two curricula. This comparative analysis provides implications on finding a direction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in the curriculum for statistics education and ultimately for Korea's statistics education for the future.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통계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통계 교육정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뉴질랜드의 전반적인 통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2015 개정 확률과 통계 교육과정에 상응하는 뉴질랜드 통계 교육과정의 수준 7과 수준 8의 성취목표 및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에 우리나라 확률과 통계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가 지향해야 할 통계 교육과정 및 통계교육에 있어서 세계적인 추세에 부합하는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 25(4), 121-137.
  2. 강현영. (2015). 통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공공저작물 연계] 한국과학창의재단 발간자료.
  3. 고호경, 장경윤, 이강천. (2016). 우리나라와 호주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2), 309-331.
  4. 곽영순, 조성민, 최인선, 박지현, 이재봉, 김현정. (2014). 한국과 뉴질랜드 고등학교 학력자격 상호인증을 위한 기준 설정 연구: 수학 및 과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연구보고, RRC 2014-2.
  5.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6. 교육부. (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7. 권나영, 김진호. (2017). 미국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확률과 통계 중심으로. 교육연구, 69, 95-120. https://doi.org/10.17253/SWUERI.2017.69..004
  8. 권점례, 김성경, 김현미, 김현정, 배화순, 안유민, 유은정, 이동욱, 정연준, 최인선, 이광상, 이해영, 이정우, 정은영, 조철기. (2018). 교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수학, 과학,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CRC 2018-24.
  9. 김부미, 김선희. (2019).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비교. 교과교육학연구, 23(6), 548-559. https://doi.org/10.24231/RICI.2019.23.6.548
  10. 김선희, 강현영. (2020). 외국의 중등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 영역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학교수학, 22(3), 631-650.
  11. 김성경. (2019). 한국과 뉴질랜드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학교수학, 21(3), 625-644.
  12. 김정란, 김응환. (2017). 미국의 통계소양 교육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사교육 방향의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2), 163-186. https://doi.org/10.30807/KSMS.2017.20.2.005
  13. 문종은, 박미영, 주미경, 정수용. (2015).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의 실세계 기반 과제 분석: 융복합교육 맥락과 방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7(3), 493-513.
  14. 박소리, 손은령. (2017). 중학생 대상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효과. 교육방법연구, 29(3), 519-542.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3.519
  15. 서동엽. (2016).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6(3), 443-465.
  16. 송원기. (2015). 국내외 확률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신민경. (2016). 한국과 호주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대수 및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경화, 유연주, 탁병주. (2021). 데이터 기반 통계 교육을 위한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방향 탐색. 학교수학, 23(3), 361-386.
  19. 이수미. (2008). 한국과 뉴질랜드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분석-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정무. (2017). 대학입학시험 국제 비교에 의한 통계적 소양 평가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전혜원, 김래영. (2019). 한국과 미국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통계적 문제해결과정 비교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3(4), 425-444.
  22. 조성민, 박지현, 최인선. (2017). 뉴질랜드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학교수학, 19(3), 423-441.
  23. 주미경, 김소연, 배기태, 정희수, 정수용. (2018). 통계적 탐구활동 결과물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통계적 소양. 학교수학, 20(4), 661-683.
  24. 최승현, 황혜정, 남금천. (2012). 학습자의 핵심역량에 기초한 수학교육 실태 탐색: 뉴질랜드와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2), 215-238.
  25. 최은, 김서영, 권오남. (2019).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분석 연구: 한국, 싱가포르, 영국, 호주, 미국의 각 관련 내용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3(3), 295-317.
  26. 탁병주. (2017).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통계 교수 지식 연구: 표본 개념 지도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탁병주, 이경화. (2017). 우리나라 통계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7(2), 269-289.
  28. 하예원. (2018). 한국의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CCSSM 비교분석 연구: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하채현, 나정연. (2014). 문학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연구-국어과 공통 교육과정 학년군 성취 기준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56, 477-510.
  30. Arnold, E. G. (2016). Investigating the teaching of statistics with technology at the high school level through the use of annotated lesson plans. A doctoral dissertation. Montana State University.
  31. Brown, M. (2017). Making students part of the dataset: a model for statistical equity in social issues. Teaching Statistics, 39(3), 79-83. https://doi.org/10.1111/test.12131
  32. Devine, N., Stewart, G., & Benade, L. (2018). Yesterday's policies for today's schools. New Zealand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3(2), 161-163. https://doi.org/10.1007/s40841-018-0117-4
  33. Freudenthal, H. (1968) Why to teach mathematics as to be useful?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1), 3-8. https://doi.org/10.1007/BF00426224
  34. Herr, D. J., Akbar, C., & Brummet, J. (2019). Convergence education-an inter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Nanopart Research, 21(229), 1-6. https://doi.org/10.1007/s11051-018-4445-6
  35. Lourie, M. (2020). Recontextualising twenty-first century learning in new zealand education policy: the reframing of knowledge, skills and competencies. New Zealand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5(1), 113-128. https://doi.org/10.1007/s40841-020-00158-0
  36. Quintela-del-Rio, A., & Francisco-Fernandez, M. (2017). Excel templates: a helpful tool for teaching statistics. American Statistician, 71(4), 317-325. https://doi.org/10.1080/00031305.2016.1186115
  37. Singer, S. R. (2015). Learning in a World of Convergence. In: Bainbridge, W.S & M.C. Roco (Eds.)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Springer.
  38. Stephanie, B., & Drusilla, R. (2017).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in the Final School Year.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6(1), 139-162. https://doi.org/10.52041/serj.v16i1.221
  39. Travis, W. (2017). Problematizing statistical literacy: an intersection of critical and statistical literac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6(1), 33-47. https://doi.org/10.1007/s10649-017-97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