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science inquiry

검색결과 855건 처리시간 0.021초

자유탐구 기법을 활용한 수업이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ce Process Skills Using Free Inquiry Method)

  • 이용섭;김순식;이상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6-12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Result analysis on the Free Inquiry Meth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ree inquiry activities effect the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For this study 150, third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Busan City were selected. The Inquir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each of the following free inquiry methods: the Program Based Learning method, the Project method, the Independent Investigation Method, the Small Group Inquiry Method, and the Science Notebooks Method.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groups in which they incorporated the respective methods into their practice. Test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cience Notebooks Method activities proved to be much more effective than the Program Based Learning method, the Project method, the Independent Investigation Method, the Small Group Inquiry Method, and the Science Notebooks Method in terms of developing on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 the Project method activities proved to be much more effective than the Program Based Learning method, the Independent Investigation Method, the Small Group Inquiry Method, the Science Notebooks Method in terms of developing on science process skills.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An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 on Open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 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34-14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ages of the concern on open inquir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instruments of CBAM, including stages of concern questionnari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ly, most teachers were in 0 stage, which meant they had little concern on open inquiry in science instruction. Secondly, the teachers who had teaching career of less than or 10 years were no more interested in open inquiry than teachers who had teaching career of 11-20 years. Thirdly, the training experience and teaching experience of open inquiry didn'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need educational programs and supporting strategies to heighten concerns and enthusiasm of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on open inquiry in science instruction.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Scientific Inquiry Worksheet-making Class Program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 김동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261-2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초등과학교육론 수업에서 과학 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개선시켰으며, 과학에 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에 도움을 주어 장래 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일을 더 즐거운 것으로 느끼게 만들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탐구 기반 학습 유형을 중요한 과학 수업의 과정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현장에 가서 어떠한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방형 질문 결과, 수업모형의 활용 방안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지식이나 탐구과정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 PDF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 정은주;손정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2호
    • /
    • pp.227-238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서 탐구활동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소재 도시의 초등학생 고학년 26명을 대상으로 20차시의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탐구 문제를 선정한 후 디지털 탐구도구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탐구 과정을 수행하였다. 수업 후 인식 조사 설문과 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서 '탐구 설계 및 수행' 단계가 가장 유익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를 통해 과학적 능력과 협동심이 향상되었고, 탐구문제 선정이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탐구활동의 개발과 연구를 통해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역량들을 함양할 수 있는 탐구 기회가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중학교 과학에서 '자유 탐구'의 현장 적용 실태 분석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Free Inquiry' in Middle School Science)

  • 정은영;이정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203-220
    • /
    • 2013
  •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함양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의 기회를 가지며, 과학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과학 관련 진로 모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자유 탐구'를 신설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자유 탐구'가 중학교 과학 교과에서 적용되고 있는 실태를 과학 교사 대상 설문 조사 및 교사와 학생 대상 면담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2010학년도에 '자유 탐구'를 운영했다는 응답 비율은 49.6%였고, 2011학년도 1학기에 '자유 탐구'를 운영했다는 응답 비율은 34.1%였다. '자유 탐구'를 적용한 기간에 대해서는 한 학기라고 응답한 경우, '자유 탐구'의 주제 선정 방법으로는 학생들이 탐구하고 싶은 주제를 선정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자유 탐구'의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는 주로 과학 교과서 또는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찾으며, 한 소집단은 주로 4명으로 구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소집단을 구성한 방식은 친한 친구들끼리 학생들이 정하거나 학생들의 성별, 능력 등을 고려하여 교사가 정한 경우가 많았다. '자유 탐구' 운영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나타난 효과로,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향상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과학 탐구 능력과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이 향상되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를 수행한 학생들은 활동이 재미있었고 또 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자유 탐구'를 운영할 때 겪은 어려움으로는, '자유 탐구' 지도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흥미와 관심이 부족하다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를 운영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유 탐구'를 운영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자유 탐구'를 반드시 운영해야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많았다. '자유 탐구'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는, '자유 탐구' 지도 방법 관련 자료 및 학생들이 참고할 자료의 개발 및 보급, '자유 탐구' 운영 시간 증대, 학급 당 학생 수 감축 등의 응답이 많았다. '자유 탐구'를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턴 교사, 실험 조교 등의 인력 보강, 관련 자료의 개발 및 보급, 교사의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하다.

  • PDF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자유탐구 산출물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Free Inquiry Products for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양현정;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243-254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ree inquiry" products for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do this, 5~6 graders (n=99) at a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were selected. The products (n=82) of "free inquiry" submitted by the students in 2018 and 2019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ontents and method typ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e inquiry output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ended to not include the scientific knowledge of the upper grades than the corresponding students. In the outputs, the scientific knowledge in different grades were often not linked. There were relatively many cases of convergence of knowledge in various science and/or non-science subjects and knowledge of 'physics', whereas knowledge of 'earth science' were the least. The outputs were more often aimed at "finding scientific facts" than "development and invention" and tended to target non-living things rather than living things.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ended to conduct free inquiry using 'experimental-centered inquiry' by themselves rather than by group. They were also most likely to conduct experiments only once, and did not clearly write down the period of their inquir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명과학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과학탐구 기능과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life science chapter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8 Scientific Practices)

  • 김미정;홍준의;김성하;임채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318-3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이 기존 과학교육에서 강조되어왔던 탐구 기능과 구체적 학생 활동이 강조되는 NGSS의 8가지 과학 실천 측면에서 상호 분석되었을 때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생명과학 단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 구분 없이 탐구 기능에서는 '추리', 관찰', '분류' 순으로 많이 치중되었고, 과학 실천에서는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와 '설명구성하고 문제해결 고안하기'에 치우쳐 있었다. 이를 통해 중학교 교과서 내 생명과학 탐구 활동이 탐구 기능뿐만 아니라 과학 실천 요소에서도 다양성이 부족하며 제시하는 활동의 목표가 한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과학탐구 기능과 과학 실천 요소 각 상호 매칭작업을 통해 탐구 기능 중심에서 과학 실천으로의 이행 시 내용 관련성을 검토하고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서 보이는 결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 사전 매칭분석에 비해 교과서 내 탐구 활동의 결과가 대체적으로 기초탐구-자료해석/기초탐구-설명고안에 치우쳐 있어서 단조롭게 매칭 되었다. 이는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내용의 다양성이 부족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단순하고 다양성이 부족한 탐구 활동에서 벗어나 2015개정 교육과정을 구현해나가는 과정에 다양한 과학 실천 요소를 포함시키도록 하는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됨을 제언한다.

과학 놀이 활동이 아동들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iveness of Science-Play Activity on the Scientific Attitudes and the Scientific Inquiry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용권;이충형;이석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17-2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cience-play activity that isn't easily completed in a course of study, put in practice an development activity class on the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the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general activity was applied for the comparative group (40 students), the science-play activity was appli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34 students); they are composed of 5th and 6th grad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74, a class of an hour during a week.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comparing between groups as well as within group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science-play activity as an development activity was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the science-play activity as an development activity was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he scientific inquiry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PDF

고등학교 과학과의 환경 탐구활동 개발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Inquiry Activities in Science Subject of High School)

  • 홍정림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2호
    • /
    • pp.101-11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nvironmental inquiry activities for teaching the 10th grade students in science classes of high school. The activities are developed to perform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order to this, activities are sequently organized in order of context of laboratory, field, and problem solving in respect of one learning topic. The object of inquiry activities in laboratory context is understanding concepts related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inquiry activities in field context have an object of attaining good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environment. Throughout the activities in probem solving context students are expected to have a mind of participating in environmental issues. The activities are designed to learn and use integrated science knowledge in many domains. Some activities are intended to utilize MBL(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The ICT materials, lesson plans, instructional sheets for teaching and student' sheets for inquiry were produced to guide these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effort will contribute to cultivate environmental literate persons who have not only scientific understanding but also practical will of environmental issues.

  • PDF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ree Inquiry Activiti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종호;김재영;배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271-28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ree inquiry activities affects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5th and 6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265 elementary students from 5th and 6th grade in Seoul were selected. In comparison group 130 students were implemented and to the experimental group 135 students who did not the free inquiry activities were implemen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uriosity was the most affective factor that motivate free inquiry activities and made them select their topics. Most of the students invested for the inquiry activity in less than 3 weeks. They had some help in every stages. Students became interested in free inquiry activities because they learned new facts and enjoyed doing experiments and they wanted to continue for the same reasons. Second, free inquiry activities had little effect on the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5. Third, free inquiry activities had considerable effect on the integrative inquiry process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5. Fourth, the result of the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free inquiry activities had no effect on scientific attitudes 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5. In conclusion, free inquiry activities will be much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integrative inquiry process skills than in developing basic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