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경기도 교육청(2009). 초등과학 자유탐구 지도자료. 수원: 경기도 교육청.
- 교육과학기술부(2007). 초등학교 과학과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권현영, 김효남(2016).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대한 실태 및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 27(1), 153-172.
- 김민지, 강훈식(2019).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 동시 특성 및 과학 동시 쓰기에 대한 인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8(1), 130-148.
- 김알음, 천재순(2015).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과학 자유 탐구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21-46.
- 김재윤, 임희준(2011). 초등학생들이 수행한 자유 탐구의 특징과 문제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5(2), 535-554. https://doi.org/10.24231/RICI.2011.15.2.535
- 마혜린(2013). 자유탐구보고서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자유탐구 수행 특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기수(2019). 과학영재 자유탐구 지도의 실행연구: 학생들의 수행 중 어려움과 교사의 지도 방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소영(2014).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6(1), 134-147.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1.134
- 박재용, 이기영(2011). 중학교 과학 자유탐구 수행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603-632.
- 박종선, 송영욱, 김범기(2011).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43-152.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2.143
- 박종원(2009).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 준비와 유형에 대한 논의. 과학영재교육, 1(3), 1-19.
- 성혜진, 임희준(2018).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7(4), 391-401.
-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최원호, 신영준, 한재영, 최정훈(2009). 초등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과 이해. 서울: 북스힐.
- 신미영, 최승언(2008). 8학년 학생들의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과학방법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29(4), 341-351. https://doi.org/10.5467/JKESS.2008.29.4.341
-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 양일호(2010). 한권으로 끝내는 초등과학 자유탐구 3-6학년. 파주: 아울북.
- 양일호, 류설진, 임성만(2009). 생물학자와 과학영재의 실험설계활동에서 나타나는 과정요소 및 특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2), 272-289.
- 양일호, 최현, 임성만(2014).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10-20.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1.1.00010
- 윤현정, 김희백(2018). 자유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적 목표, 인식적 이해와 추론의 복잡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541-553.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4.541
- 이국환, 김효남(2014).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 활동에 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 25(1), 133-149.
-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775
-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 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 이양락(2004).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6.
- 이은선, 정은영(2016). 중등 예비 과학 교사의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과 인식 조사. 생물교육, 44(4), 763-774.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4.763
- 이정희, 김효남(2018). 자유 탐구 단계별 점검표 활용이 과학 영재의 메타인지와 과학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20(2), 341-362.
- 이진아, 유미현(2013). 초.중등 영재학생의 연구윤리 의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23(4), 593-614. https://doi.org/10.9722/JGTE.2013.23.4.593
- 이효녕, 조현준(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자율탐구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과학교육연구지, 32(2), 33-50.
- 정지연, 노석구(2017). 과학사를 활용한 자유탐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가설설정 및 변인통제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193-214.
- 천명기, 이봉우(2018). 소집단 자유 탐구에서 과학적 탐구 문제 발견 과정의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6), 865-874.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6.865
- 허상철, 김효남(2018). 자유탐구활동의 소집단 구성방법이 과학 학습 동기와 과학 정의적 영역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4(1), 1-16.
- 허정윤, 이상천, 최규성(2003). 영재 학생들의 Mentorship 교육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3(3), 45-68.
- 홍지혜, 홍훈기(2013).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태. 영재교육연구, 23(3), 373-386. https://doi.org/10.9722/JGTE.2013.23.3.373
- 황선우(2016). 초등과학영재들이 수행한 창의 산출물의 특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Driver, R., Asoko, H., Leach, J., Mortimer, E. & Scott, P.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7), 5-12. https://doi.org/10.3102/0013189X023007005
- Kholilurrohman, K. & Suryadarma, IGP. (2019). The effect of modified free inquiry approach on student's process skill and science attitud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3(1), 67-80. https://doi.org/10.21831/jser.v3i1.27630
- Resnik, D. B. (1998) The ethics of science: An Introduction. New York: Routledge.
- Shin, M., Park, J., Jung, H. & Heo, N. (2004). Rethinking the high ability students to foster their scientific research skill: Through an experimental designing test.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8), 674-683.
-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010418-102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