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Free Inquiry Products for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자유탐구 산출물 특성 분석

  • Received : 2020.04.09
  • Accepted : 2020.04.29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ree inquiry" products for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do this, 5~6 graders (n=99) at a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were selected. The products (n=82) of "free inquiry" submitted by the students in 2018 and 2019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ontents and method typ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e inquiry output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ended to not include the scientific knowledge of the upper grades than the corresponding students. In the outputs, the scientific knowledge in different grades were often not linked. There were relatively many cases of convergence of knowledge in various science and/or non-science subjects and knowledge of 'physics', whereas knowledge of 'earth science' were the least. The outputs were more often aimed at "finding scientific facts" than "development and invention" and tended to target non-living things rather than living things.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ended to conduct free inquiry using 'experimental-centered inquiry' by themselves rather than by group. They were also most likely to conduct experiments only once, and did not clearly write down the period of their inquir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 교육청(2009). 초등과학 자유탐구 지도자료. 수원: 경기도 교육청.
  2. 교육과학기술부(2007). 초등학교 과학과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권현영, 김효남(2016).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대한 실태 및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 27(1), 153-172.
  4. 김민지, 강훈식(2019).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 동시 특성 및 과학 동시 쓰기에 대한 인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8(1), 130-148.
  5. 김알음, 천재순(2015).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과학 자유 탐구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21-46.
  6. 김재윤, 임희준(2011). 초등학생들이 수행한 자유 탐구의 특징과 문제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5(2), 535-554. https://doi.org/10.24231/RICI.2011.15.2.535
  7. 마혜린(2013). 자유탐구보고서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자유탐구 수행 특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기수(2019). 과학영재 자유탐구 지도의 실행연구: 학생들의 수행 중 어려움과 교사의 지도 방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박소영(2014).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6(1), 134-147.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1.134
  10. 박재용, 이기영(2011). 중학교 과학 자유탐구 수행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603-632.
  11. 박종선, 송영욱, 김범기(2011).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43-152.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2.143
  12. 박종원(2009).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 준비와 유형에 대한 논의. 과학영재교육, 1(3), 1-19.
  13. 성혜진, 임희준(2018).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7(4), 391-401.
  14.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최원호, 신영준, 한재영, 최정훈(2009). 초등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과 이해. 서울: 북스힐.
  15. 신미영, 최승언(2008). 8학년 학생들의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과학방법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29(4), 341-351. https://doi.org/10.5467/JKESS.2008.29.4.341
  16.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17. 양일호(2010). 한권으로 끝내는 초등과학 자유탐구 3-6학년. 파주: 아울북.
  18. 양일호, 류설진, 임성만(2009). 생물학자와 과학영재의 실험설계활동에서 나타나는 과정요소 및 특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2), 272-289.
  19. 양일호, 최현, 임성만(2014).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10-20.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1.1.00010
  20. 윤현정, 김희백(2018). 자유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적 목표, 인식적 이해와 추론의 복잡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541-553.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4.541
  21. 이국환, 김효남(2014).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 활동에 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 25(1), 133-149.
  22.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775
  23.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 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24. 이양락(2004).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6.
  25. 이은선, 정은영(2016). 중등 예비 과학 교사의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과 인식 조사. 생물교육, 44(4), 763-774.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4.763
  26. 이정희, 김효남(2018). 자유 탐구 단계별 점검표 활용이 과학 영재의 메타인지와 과학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20(2), 341-362.
  27. 이진아, 유미현(2013). 초.중등 영재학생의 연구윤리 의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23(4), 593-614. https://doi.org/10.9722/JGTE.2013.23.4.593
  28. 이효녕, 조현준(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자율탐구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과학교육연구지, 32(2), 33-50.
  29. 정지연, 노석구(2017). 과학사를 활용한 자유탐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가설설정 및 변인통제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193-214.
  30. 천명기, 이봉우(2018). 소집단 자유 탐구에서 과학적 탐구 문제 발견 과정의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6), 865-874.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6.865
  31. 허상철, 김효남(2018). 자유탐구활동의 소집단 구성방법이 과학 학습 동기와 과학 정의적 영역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4(1), 1-16.
  32. 허정윤, 이상천, 최규성(2003). 영재 학생들의 Mentorship 교육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3(3), 45-68.
  33. 홍지혜, 홍훈기(2013).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태. 영재교육연구, 23(3), 373-386. https://doi.org/10.9722/JGTE.2013.23.3.373
  34. 황선우(2016). 초등과학영재들이 수행한 창의 산출물의 특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Driver, R., Asoko, H., Leach, J., Mortimer, E. & Scott, P.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7), 5-12. https://doi.org/10.3102/0013189X023007005
  36. Kholilurrohman, K. & Suryadarma, IGP. (2019). The effect of modified free inquiry approach on student's process skill and science attitud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3(1), 67-80. https://doi.org/10.21831/jser.v3i1.27630
  37. Resnik, D. B. (1998) The ethics of science: An Introduction. New York: Routledge.
  38. Shin, M., Park, J., Jung, H. & Heo, N. (2004). Rethinking the high ability students to foster their scientific research skill: Through an experimental designing test.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8), 674-683.
  39.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010418-102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