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a Scientific Inquiry Worksheet-making Class Program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3.06.29
  • Accepted : 2013.09.16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cientific inquiry worksheet-making class program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in the clas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al theory at education university. As for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141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the third year of education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cientific inquiry worksheet-making class program improve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helped them realize it important to have knowledge about science, further making them find it more enjoyable to teach science at school in the futur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cientific inquiry worksheet-making class program had positive effect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tific inquiry. In other words, they came to think of inquiry-based learning styles as an important course of science class. Third, as a result of carrying out open-ended questions about what would be helpful in an actual education site through the scientific inquiry worksheet-making class program, this study found out that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responded it would be helpful when applying a class model, and thought it would be helpfu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have scientific knowledge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inquiry.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초등과학교육론 수업에서 과학 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개선시켰으며, 과학에 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에 도움을 주어 장래 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일을 더 즐거운 것으로 느끼게 만들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탐구 기반 학습 유형을 중요한 과학 수업의 과정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현장에 가서 어떠한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방형 질문 결과, 수업모형의 활용 방안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지식이나 탐구과정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