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fe satisfaction

검색결과 1,153건 처리시간 0.03초

임상실습과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 간의 간호과정 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SBAR 기술지식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Nursing process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BAR technique knowledge between Clinical practice and Alternative clinical practicum)

  • 이외선;임정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05-614
    • /
    • 2023
  • 본 연구는 임상실습과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 간의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SBAR 기술지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임상실습에 참여한 간호학과 3학년 학생 20명,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에 참여한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 ANOVA,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test, Kruskal Walli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과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 교육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SBAR 기술지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상실습에서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SBAR 기술지식이 유의하게 높았고,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에서는 간호학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비판적사고성향과 SBAR 기술지식이 높았고, 학점이 높을 때 비판적사고성향이 높았다. 향후 팬데믹 상황에 대비하여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비판적사고성향 및 SBAR 기술지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화된 임상실습대체 실습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2023 Survey on User Experi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in Radiology by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Eui Jin Hwang;Ji Eun Park;Kyoung Doo Song;Dong Hyun Yang;Kyung Won Kim;June-Goo Lee;Jung Hyun Yoon;Kyunghwa Han;Dong Hyun Kim;Hwiyoung Kim;Chang Min Park;Radiology Imaging Network of Korea for Clinical Research (RINK-CR)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7호
    • /
    • pp.613-622
    • /
    • 2024
  • Objective: In Korea, radiology has been positioned towards the early ado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oftware as medical devices (AI-SaMD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urrent usage, implementation, and future needs of AI-SaMDs. We surveyed the current trends and expectations for AI-SaMDs among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SR). Materials and Methods: An anonymous and voluntary online survey was open to all KSR members between April 17 and May 15, 2023. The survey was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using AI-SaMDs, patterns of usage, levels of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regarding the use of AI-SaMDs, including the roles of the industry, government, and KSR regarding the clinical use of AI-SaMDs. Results: Among the 370 respondents (response rate: 7.7% [370/4792]; 340 board-certified radiologists; 210 from academic institutions), 60.3% (223/370) had experience using AI-SaMDs. The two most common use-case of AI-SaMDs among the respondents were lesion detection (82.1%, 183/223), lesion diagnosis/classification (55.2%, 123/223), with the target imaging modalities being plain radiography (62.3%, 139/223), CT (42.6%, 95/223), mammography (29.1%, 65/223), and MRI (28.7%, 64/223). Most users were satisfied with AI-SaMDs (67.6% [115/170, for improvement of patient management] to 85.1% [189/222, for performance]). Regarding the expansion of clinical applications, most respondents expressed a preference for AI-SaMDs to assist in detection/diagnosis (77.0%, 285/370) and to perform automated measurement/quantification (63.5%, 235/370). Most respondents indicated that future development of AI-SaMDs should focus on improving practice efficiency (81.9%, 303/370) and quality (71.4%, 264/370). Overall, 91.9% of the respondents (340/370) agreed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or guidelines driven by the KSR regarding the use of AI-SaMDs. Conclusion: The penetration rate of AI-SaMDs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corresponding satisfaction levels were high among members of the KSR. Most AI-SaMDs have been used for lesion detec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Most respondents requested KSR-driven education or guidelines on the use of AI-SaMDs.

청소년의 교복행동과 외모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 연구 (A Study Related to Adolescent Students' School Uniform Behavior and Attitude toward Appearance)

  • 한미화;이은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43
    • /
    • 2009
  • 본 연구는 2007년 11월에서 12월 중에 전라북도 소재 4개교의 남녀 중 고등학생 89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교복행동(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 교복변형)을 알아보고 외모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성 등 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학교현장에 청소년기 의생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PSS 11.5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x^2$ 검증,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교복에 대한 태도는 유행성, 과시성, 관리성, 변형성 4개 요인이 선택되었다. 교복에 대한 태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변형에 대한 태도가 높았으며, 중학생이 교복에 대한 태도 중 유행성이 높았고, 관리성과 변형성에서는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교복착용실태를 살펴보면,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의 디자인, 색상, 옷감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교복변형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이 교복 변형 경험이 많았다. 교복변형실태에서 스커트(바지) 길이를 줄인 학생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외모를 돋보이기 위해 교복의 길이, 옆선 등 교복을 줄여서 몸에 밀착된 형태로 변형시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복변형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체형보정', '유행', '활동성', '무난함'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결과, 외모에 대한 동조 가치 욕구 3개 요인이 선택되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하여 욕구 가치 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이 고졸 이상 일수록 욕구 가치 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의 월수입이 300만원 이상인 학생들이 욕구와 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한 달 용돈을 3만원 이상 받는 학생들이 1만원에서 2만원 이하로 용돈을 받는 학생들보다 외모에 대한 욕구와 가치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 청소년의 교복변형유무에 따른 외모에 대한 태도, 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의 차이에서 교복변형을 경험한 학생일수록 외모를 변화시키고자 하며 매력적인 외모에 가치를 두고 추구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고, 교복변형을 하지 않는 학생들은 교복에 대한 태도 중 유행성, 상징성, 관리성에서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으며, 교복변형을 한 학생들은 변형성만에서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다. 교복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유행성은 외모에 대한 태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변형성은 외모에 대한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의 디자인, 색상, 옷감에 대한 만족도와 외모에 대한 태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교복행동과 외모에 대한 태도는 관련이 있었으며, 청소년기 외모에 대한 관심은 하루 일과 중 가장 많이 접하는 교복행동 즉, 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 교복변형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 PDF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 Employment Strategies)

  • 이정선;김경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2호
    • /
    • pp.19-39
    • /
    • 2012
  • Many students who attend university are worried about their future employ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elf-leadership is the ability to deal wisely with employment matters and to recognize the employment strategies of students who display self-leadership qualities. For this purpose, 3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The 304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data for the final analysis. 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average self-leadership rate was 3.73, and their average employment rate was 3.24. In terms of self-leadership by subordinate domains, the most common strategy was to introduce "natural compensation activities", and the least common strategy was to focus on "inner compensation". For the employment strategy, "academic credit" was the best managed, and "active behavior" was the least well managed. Secon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due to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the self-leadership leve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credits in general. Furthermore,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nd the leadership experience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Moreover, the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leadership experience and leadership education. Third,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self-leadership and employment strategies due to psychological variables, self-efficacy and university-life satisfaction level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elf-leadership. Fourth, the group with high self-leadership levels also had highly developed employment strategies,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 self-leadership levels. Fifth, after analyzing the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it appears that the explanation level increased at each step.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xperiencing many opportunities that promote self-leadership during university causes students to worry about their future careers and prohibits them from developing into independent, responsible adults who can accomplish their goals.

  • PDF

농촌 마을회관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밀양시 삼랑진읍을 대상으로- (The Improvement Proposal of Rural Community Centers : by the Case Studies of 30 Centers in Samnangjin-eup, Miryang City)

  • 김성호;이유직
    • 농촌계획
    • /
    • 제18권2호
    • /
    • pp.57-68
    • /
    • 2012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ing methods for rural community centers by analysis of 30 community centers in Samnangjin-eup, Miryang city, Gyeongnam. To fulfill this purpose, the facilities, usable condition and management system were examined. The user needs and level of satisfaction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858 citizens. The average size of the centers is $96m^2$, and 73% of them are one-story buildings. Women use the community center more frequently than men in ratio of 6:4. 43.4% of interviewees visit the center 1 or 2 times a month, but on the other hand 27.4% of them use the center almost every day. Recess is surely the main purpose, and health care and community meeting are next two reasons. 67.8% and 72.4% of them are not satisfied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munity center respectively. The interview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he lack of facilities. To improve the community centers in Samnangjin-eup, first of all, various kinds of indoor and outdoor facilities must be equipped. Secondly, considering the center is the core of rural community lif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accommodation is also needed as well as facility diversification. The efficiency of space utilization is another issue. A small piece of land or abandoned space must be utilized. Moreover, it is very critical that the users are mostly seniors and elders, so improvements of facilities will be executed in terms of safety and convenience. Finall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made for the people, so as to maintain the the rural community center on their own.

투사이미지 분석기반 고령자 주거우울 척도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a Dwelling Depression Scale Based on Analysis of Projective Images)

  • 이예원;박종욱;우성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7
    • /
    • 2018
  • 주거환경이 고령자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면서 고령자우울 측정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특히, 고령자 인지특성, 생활환경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정확한 심리 진단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 1월 22일부터 2월 2일까지 7개 시 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 여 단독가구 고령자 301명을 대상으로 주거환경 속에서 나타나는 우울을 투사적 이미지를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주거우울과 투사이미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투사이미지 기반 측정도구를 보완하였다. 고령자주거우울지수(GDDI)와 '투사이미지 기반 고령자주거우울지수'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척도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투사이미지를 활용한 설문은 서술형 설문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주거우울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제안하여 투사기법을 이용한 심리 진단 연구의 발판을 제공한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미지분석 모델링 기반 고령자 주거우울 측정 연구 -K-HTP를 중심으로- (Dwelling Depression Measurement Based on Image Analysis Modeling: Focusing on K-HTP)

  • 이예원;박종욱;우성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6
    • /
    • 2018
  • 고령자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고령자 삶의 질을 개선하고, 고령자건강 등 심리상태를 측정하고자 하는 사회적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 주로 적용되는 텍스트 기반의 척도는 시력 저하 등 고령자의 인지적 문제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K-HTP를 활용하여 주거환경에 따른 고령자우울을 측정하고, 개발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18년도 1월 22일부터 2월 2일까지 대전과 주변지역 7개 시 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 여 단독가구 고령자 30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여, 주거우울척도와 K-HTP 기반 주거우울척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요인 분석을 통해 척도의 신뢰도를 규명하였다. 고령자주거우울지수(GDDI)와 K-HTP 기반 고령자주거우울지수(GDDI-K)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GDDI-K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K-HTP 척도가 주거우울을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인지적 상황을 고려하여 주거우울을 진단할 수 있는 K-HTP를 활용한 척도를 제안함으로써 투사이미지를 활용한 고령자 우울진단 연구의 발판을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스토리라인(Storyline)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Smart 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using Storyline)

  • 배영권;도재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35-146
    • /
    • 2013
  •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스마트 러닝을 교육 현장에 도입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의 스마트 러닝 정착과 관련하여 스마트 러닝 콘텐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앱 저작 도구 중 스토리라인을 활용하여 스마트 러닝 콘텐츠를 개발하는 부분에 대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러닝과 관련하여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스토리라인의 특징과 콘텐츠의 개발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초등학교 정보생활 6학년의 숫자 정렬 부분의 콘텐츠를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교육의 실효성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전통적인 활동 수업과 스마트 러닝 콘텐츠 활용 수업의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평균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즉각적인 피드백과 반복조작활동 등은 스마트 러닝 콘텐츠의 활용이 학습에 대한 이해, 만족, 흥미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통증치료실의 현황 (Current Status of Pain Clinics in Korea)

  • 문동언;양내윤;최영국;유건희;심재용;윤건중;김욱성;민진혜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1권2호
    • /
    • pp.273-282
    • /
    • 1998
  • Background: Twel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Korean Pain Society was organized. Nowadays, there are so many problems to be solved in pain clinics including health insurance, pain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etc.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pain clinics in Korea. Methods: Eight hundred twenty regular members of Korean Pain Society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in October 1997. We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ontents of diseases in pain clinic, treatment Methods, patients satisfaction, pain educations, problems in pain treatments, requests to Korean Pain Society among the 138 respondents. Results: Thirty seven percents of the respondents worked at university hospitals, 39% at non-university hospitals and 24% at private pain clinics. The most common diseases treated in pain clinics was low back pain(32% in university and non-university hospital and 28% in private pain clinic respectively). However, cancer pain was 10% in university and non-university hospital and 0.7% in private pain clinic. Epidural block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procedure in chronic pain treatments. And 74.6% of the respondents were studied and learned in Korea and Japan. And then, current problems in pain management and requests to Korean Pain Society were medical insurance problems, pain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of pain clinic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orean Pain Society should make an effort to solve these current problems in order to activate pain medicine and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for those suffering from pain.

  • PDF

간호대학생의 영양지식, 식이 자기효능감 및 식습관이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Effects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Dietary Self-Efficacy on Dietary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이은숙;김보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41-35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영양지식, 식이 자기효능감, 식습관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들이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는 서술적 연구이다. G시의 소재 대학교에 2학년 재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8일부터 20일까지 편의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생활 만족도, 과식과 간식 횟수, 식이 자기효능감으로 파악되었다(adjusted R2=0.48, F=11.31, p<.001).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식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바탕으로 식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건강한 식습관을 갖출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