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1/ksrp.2012.18.2.057

The Improvement Proposal of Rural Community Centers : by the Case Studies of 30 Centers in Samnangjin-eup, Miryang City  

Kim, Seong-Ho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ee, Yoo-Jick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v.18, no.2, 2012 , pp. 57-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ing methods for rural community centers by analysis of 30 community centers in Samnangjin-eup, Miryang city, Gyeongnam. To fulfill this purpose, the facilities, usable condition and management system were examined. The user needs and level of satisfaction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858 citizens. The average size of the centers is $96m^2$, and 73% of them are one-story buildings. Women use the community center more frequently than men in ratio of 6:4. 43.4% of interviewees visit the center 1 or 2 times a month, but on the other hand 27.4% of them use the center almost every day. Recess is surely the main purpose, and health care and community meeting are next two reasons. 67.8% and 72.4% of them are not satisfied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munity center respectively. The interview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he lack of facilities. To improve the community centers in Samnangjin-eup, first of all, various kinds of indoor and outdoor facilities must be equipped. Secondly, considering the center is the core of rural community lif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accommodation is also needed as well as facility diversification. The efficiency of space utilization is another issue. A small piece of land or abandoned space must be utilized. Moreover, it is very critical that the users are mostly seniors and elders, so improvements of facilities will be executed in terms of safety and convenience. Finall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made for the people, so as to maintain the the rural community center on their own.
Keywords
rural community center; improving metho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원세용, 김정진, 박재평, 2007, 창원군지역 마을회관의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농촌건축학회, 9(2), 49-56.
2 유성호, 2001, 노인복지관 이용실태에 대한 분석 ; 이용빈도와 이용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지, 21(2), 191-208.
3 유승우, 김수석, 김병률, 송미령, 박경철, 2004, 밀양시 농업 농촌 발전계획 수립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4 윤종민, 1995, 마을회관의 현황 및 이용실태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동근, 2000, 양동 마을회관 계획안,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정화, 강경하, 정남수, 박공주, 윤순덕, 2005, 농촌노인의 마을 공동시설 이용실태 분석 및 개선방향, 농촌계획학회지, 11(3), 19-27.
7 강영은, 신영선, 지달님, 김지애, 임승빈, 2009, 참여 관찰법을 이용한 공간 모델 기초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5(1), 31-46.
8 김영택, 2008, 농촌마을공동시설의 효율적인 운영관리 프로그램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한상엽, 2007, 농촌 마을회관 외부공간 설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조순재, 임승빈, 오휘영, 1996, 농촌마을 공동시설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 2(2), 39-44.   과학기술학회마을
11 홍찬선, 임상봉, 최병숙, 박선희, 오찬욱, 2006, 노인 복지를 고려한 고령 농촌마을 공동이용시설의 활용 방향에 관한 조사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2(2), 87-96.
12 박창선, 2008, 커뮤니티센터로서 농촌 마을회관의 복합화에 따른 이용실태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임실군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지, 10(3), 35-42.
13 김창국, 1996, 농촌경로당의 이용실태와 평면유형에 관한 조사 연구-전남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2(12), 15-26.
14 박민규, 2001, 무풍면 마을 회관 계획안 : 한국적 지역 건축에 대한 탐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시현, 박병오, 1998, 농촌 생활환경 정비정책의 효율적 추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16 서정호, 2008, 지리산권 농촌관광마을의 마을회관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학회지, 18(2), 121-144.
17 신영선, 강영은, 오동엽, 임승빈, 2008,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4(2), 43-54.   과학기술학회마을
18 신영선, 강영은, 오동엽, 지달님, 임승빈, 2008, 마을회관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4(3), 75-87.   과학기술학회마을
19 송미령, 박시현, 2001, 농촌 공동시설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20 오찬옥, 최병숙, 박선희, 김주석, 2008, 농촌노인의 복지향상을 위한 마을회관의 공간 활용 방안-마을회관 대안에 대한 노인의 평가, 한국주거학회지, 17(6), 4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