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hool happiness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1초

게임이 청소년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and Happiness)

  • 최성락;최정민;서순복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07-11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게임 수행이 청소년들의 행복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산 지역 중 고등학생들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게임 수행 여부는 청소년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게임을 한다고 응답한 청소년들의 행복도가 게임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청소년들의 행복도보다 유의미하게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어떤 게임을 수행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게임을 오래 하는지, 게임을 잘하는지 여부는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게임을 더 오래하고, 잘한다고 행복해지지는 않으며, 단지 게임을 하는가 여부가 행복도에 영향을 미쳤다. 게임 수행 여부 외에 행복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공부를 잘하는가 여부였다. 결론적으로 게임을 수행하는지 여부는 공부를 잘하는지와 같이 청소년들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다. 게임을 하는 청소년은 게임을 하지 않는 청소년보다 행복도가 높다.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Hope, Empathy and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

  • 김영희;고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30-33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2학년 남녀 학생 38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단계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행복감은 희망과 공감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희망 및 공감 수준이 높은 중학생이 희망과 공감 수준이 낮은 중학생보다 높은 행복감을 나타냈다. 둘째, 중학생의 행복감은 희망 및 공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주도사고, 공감적 관심, 관점취하기가 중학생의 행복감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인의 긍정적인 내적 변인인 희망과 공감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스포츠 활동을 통한 다문화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이 학교생활행복에 미치는 영향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on School Life Happiness of Multicultural and Korean Adolescents through Sports Activity)

  • 안정훈;천항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45-256
    • /
    • 2019
  • 이 연구는 스포츠 활동에 함께 참여하는 다문화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들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이 학교생활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과 참여하지 않는 청소년 총 46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며, 스포츠 활동 경력이 많을수록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및 학교생활행복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및 학교생활행복 하위요인들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학교생활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하위요인들로는 관계형성과 의사소통, 협동하기, 도움주기, 감정표현, 위안하기의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다문화가정과 한국가정 청소년들의 학교생활행복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을 통한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대해 다루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유아-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영향 변인 : 자녀의 연령, 자녀수 및 어머니 행복 조건에 대한 인식 (The Variables Related to Maternal Happiness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 A Child's Age, the Numbers of Children, and Maternal Perception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 정계숙;박수홍;유미숙;최은실
    • 아동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5-12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hild's demographic variables and maternal perception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on their happiness for mot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mprised 916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a child's age and the numbers of children influenced maternal happiness when mothers'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In addition, mothers who exhibited high degree of need in term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regarding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were more likely to be happy than mothers who exhibited low degree of needs. Finally, the expectations regarding growth, which refers to the pursuit of self-accomplishment and meaning,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maternal happines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그림책을 활용한 방과 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행복감 및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After-School Program Using Picture-Books on First Graders' Levels of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 김정원;이정아
    • 아동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99-217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after-school picture-book program on the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levels of first graders. The subjects consisted of 44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of these, 22 formed the experimental and 22 formed the control group. A detailed analysis of both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levels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broad variety of activities using 12 picture-book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welve-week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fter-school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strengthening children's levels of both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 주관적 행복감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sitive Thinking and Subjective Happiness on School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 김수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5-40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thinking and subjective happiness on school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82 nursing students in the month of November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for school adaptation with positive thinking and subjective happiness. Positive thinking, subjective happiness, and major satisfaction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school adaptation. The model explained 30.2% of the valuabl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e thinking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trategies to increase school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 사회적 관계,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ype of Leisure Activity, Social Relation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Youth People)

  • 박민정;윤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1호
    • /
    • pp.125-1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ich types of leisure activities promote happiness in young peopl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dolescents' levels of happiness and examine the academic and political challenges that occur in their social networks. In this study, subjects as "more than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less than a high school students". A sampling of the group was completed using a pre-percentage assignment and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The primary research method employed was internet research,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secondary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The final analysis used 1.046 (final response rate 83.4%).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parts: social netwo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youths' subjective happiness;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network;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organized according to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that affect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In conclusion,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leisure activities, and youth's subjective happiness.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of adolescents confirmed that the type of active participation in leisure and the type of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variety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contributing to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Generally, a discussion of how the existing leisure life affects the subjective happiness of young people needs to be taken one step further.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 because the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determined that leisure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and positively impact young people.

  • PDF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 이창식;박지영;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5-43
    • /
    • 2017
  •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청소년 1274명을 대상으로 충청남도 D시에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교급,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자아존중감은 성, 학교급, 가족 형태, 가족 소득 수준,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한편, 행복감은 성별, 학교급, 가족 소득 수준,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모두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초, 중학생인 경우 부분매개하였고, 고등학생인 경우 완전매개하였다. 끝으로 학교폭력으로 인하여 행복감이 저하된 학생들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하였다.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의 이중 매개효과 (Doubl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Feeling of Happin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안재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62-77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이중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녀 고등학생 245명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 검사, 정서빈도검사, 감사성향 척도 및 주관적 행복 척도를 사용하였다. 직렬적 이중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형 6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 감사성향 및 행복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은 감사성향이나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감사성향도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직렬로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행복에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주관적 웰빙 수준과 감사성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고등학생의 자기애, 정서적 자기개방이 우울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Narcissism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on the Depression and Happiness Levels of High School Students)

  • 박영아
    • 아동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9-92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narcissism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on depression and happiness level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comprised of 334 high school 1st-grad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Girls showed higher levels of both narcissism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than boys, bu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evident in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happiness. (2) The more the students felt depressed, the less they experienced happiness. Additionally, the more the students disclosed emotionally about themselves, the less they experienced depression. (3) High levels of narcissism and low levels of emotional self-disclosure increased depression, but the interactional effect between narcissism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on de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ither gender. Moreover, low levels of narcissism and high levels of emotional self-disclosure tended to see increased levels of happiness for both genders, however the interactional effect between narcissism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on happi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boys. That is, for boys, the negative effects of narcissism on happiness can be reduced if the level of emotional self-disclosure is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