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s of an After-School Program Using Picture-Books on First Graders' Levels of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Kim, Jung-Won (Department of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Korean Bible University)
Lee, Jung-A (Department of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Korean Bible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v.31, no.4, 2010 , pp. 199-21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after-school picture-book program on the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levels of first graders. The subjects consisted of 44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of these, 22 formed the experimental and 22 formed the control group. A detailed analysis of both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levels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broad variety of activities using 12 picture-book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welve-week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fter-school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strengthening children's levels of both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Keywords
children's happiness; children's socio-emotional ability; after-school program;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picture book;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Mayers, D.,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DOI   ScienceOn
2 Elias, M. J., Zins, J. E., Weissberg, R. P., Frey, K. S., Greenberg, M. T., Haynes, N. M., Kessler, R., Schwab-Stone, M. E., & Shriver, T. P. (1997). Promoting social and emptional learning : Guidelines for educators. Alexandria, VA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 Halpern, R. (1992). The role of after school programs in the lives of inner city children : A study of urban youth network. Child Welfare, 71(3), 215-230.
4 Hills, T. W. (1987). Hothousing young children :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policy and practice. ERIC Reproduction Service No. ED 294653.
5 Johnson, K. (1994). Energize children's self-esteem : Utilizing after school group. School-Social Work Journal, 18(4), 28-35.
6 Katz, L. G. (1987). Early education : What should young children be doing? ERIC Reproduction Service No. ED 279407.
7 지옥정(1996).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학습준비도, 사회 . 정서발달 자아개념 및 프로젝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채종옥(1996).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최신국어대사전(1996). 최신국어대사전. 서울 : 민중서각.
10 최진원(2001). 아동의 실리적 복지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1 허형 . 이영석 . 황인창 . 정계숙 . 김상호(1978). 유아의 발달 수준 확인을 위한 탐색적 연구. 행동과학연구, 11(8), 39-40.
12 홍순옥 . 정수금(2003).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 .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논집, 12, 1-16.
13 Csikszentmihalyi, M (1975). Play and intrinsic reward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15(3), 41-63.   DOI
14 이정화(2005). 초등학생이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16 이기영(2006).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사회 . 정서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기영 . 박아청(2006).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사회 . 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유아교육, 17(2), 213-232.
18 이지현 . 김유정 . 이정아(2006). 동화를 이용한 음운인식활동이 저소득층 초등 방과후 교실 1,2학년 아동의 읽기, 학습동기 및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5), 123-141.
19 장연집 . 강차연 . 손승아 . 안경숙(2008). 정신건강. 서울 : 파란마음.
20 정미라 . 김명순 . 박은혜 . 신동주(2006). 한국의 현대적 아동관에 대한 탐색. 서울 : 창지사.
21 김현희 . 박상희(2008). 유아문학 : 이론과 적용. 서울 : 학지사.
22 조성연 . 신혜영 . 최미숙 . 최혜영(2008). 한국의 하동은 행복한가? 전국 초등학교 2, 4,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아동이 행복한 사회, pp. 69-81. 한국아동학회.
23 김지윤(2007). 장애유아 통합 환경에서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프로그램이 일반유아의 친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김현희(2008). 삶의 여정에서 만나는 행복 : 그림책으로의 몰입, 한국 어린이 문학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문학으로 보는 어린이의 행복, pp. 1-19,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5 류현수 . 이정숙(2006). 방과 후 아동의 감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4, 105-128.
26 박효정 . 김홍원 . 연은경(2005).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운영 실태에 관한 정책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7 서은국(2008). 행복의 과학. 한국목회상담협회 제14차 연례학술대회자료집, 행복과 목회상담, pp. 25-31.
28 서정숙 . 김정원(2008). 유아문학교육 프로그램. 서울 : 창지사.
29 신혜은(2008). 그림책 어린이 그리고 행복, 한국 어린이 문학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문학으로 보는 어린이의 행복, pp. 21-40,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30 염지숙(2005). 유아들의 경험을 통해 본 유치원에서 1학년으로의 전이. 한국영유아보육학, 17, 405-426.
31 김연화(2007).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2 오연주(2008). 문학교육과정에서 찾는 어린이의 행복 :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의 그림책에 나타난 행복, 문학으로 보는 어린이의 행복, pp. 67-96,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33 이경옥 . 연은진(2006). 유아의 사회 . 정서 능력과 또래 인기도의 관계. 덕성여대논문집, 35, 97-115.
34 이기숙 . 김정원 . 전선옥 . 이현숙(2008). 영유아교육과정. 고양 : 공동체.
35 김정원 . 김유정(2006). 방과후 프로그램의 실태와 부모와 교사의 요구에 관한 연구. 아동권리연구, 10(1), 49-72.
36 김민화(2008). 행복을 만드는 이야기 구조, 한국 어린이 문학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문학으로 보는 어린이의 행복, pp. 43-65,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37 김정원 . 이정아(2002). 유아의 방과후 활동 경험과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3(6), 121-137.
38 김정원 . 이정아 . 이인경(2009).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아동의 행복감과 스트레스 및 놀이성간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30(3), 37-53.
39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 두산동아.
40 김세희 . 강순미(2008). 유아의 행복에 대한 지평 넓히기 :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한 유아의 행복에 대한 개념 확장, 한국 어린이 문학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문학으로 보는 어린이의 행복, pp. 97-113,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41 Posner, J. K., & Vandell, D. L. (1999). Experiences in after-school programs and children's adjustment in first-grade classroom. Child Development, 70(3), 756-767.   DOI   ScienceOn
42 고정원(2007). 학교적응을 위한 독서활동 개발 연구-학교 부적응 여중생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Zambo, D. (2005). Using the picture book "Thank you, Mr. Falker" to understand struggling readers, Journal of Adolescent and Adult Literacy, 48(6), 502-512.   DOI   ScienceOn
44 Rusell, B. (2004). 행복의 정복(이순희 옮김). 서울 : 사회평론(원본발간일, 1930).
45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46 Seligman, M. (2006). 긍정심리학 : 진정한 행복 만들기(김인자 옮김). 서울 : 물푸레(원본발간일, 2002년)
47 Seligman, M., & Csikszentmihalyii, M. (2000). Positive psychology.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5(1). 5-14.
48 Seligman, M., Reivich, K., Jaycoz, L., & Gillham, J. (2007). The optimistic child : A proven program to safeguard children against depression and build lifelong resilience. NY : Houghton Mifflin.
49 Meece, d., Colwell, M., & Mize, J. (2007). Maternal emotion framing and children's social behavior : The role of children's feelings and beliefs about pe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7(3), 295-309.   DOI   ScienceOn
50 Palmer, P. J. (2007). 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홍윤주 옮김). 서울 : 한문화(원본발간일, 2000).
51 McComb, E. M., & Scott-Little, C. (2003). A review of research on participant outcomes in afterschool programs : Implications for school counselors. ERIC Clearinghouse on counseling and student services, NC : Greensboro.
52 Landau, R., Yanay, N., Eshel, Y., & Ben-Aaron, M. (2006). Does the child's actual participation make a differenc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states mentioned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during narrative constr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0(4), 344-351.   DOI   ScienceOn
53 Kohen, D. E., Brehaut, J. C., Pence, A., & Hunter, M. (2002). After-school care and adolescent competencies. Canadian Journal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9(1), 19-28.
54 LaBounty, J., Wellman, H. M., Olson, S., Lagattuta, K., & Liu, D. (2008). Mothers' and fathers' use of internal state talk with their young children, Social Development, 17(4), 757-775.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