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검색결과 1,820건 처리시간 0.024초

학교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stablishing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90
    • /
    • 2003
  •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 제7차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학교도서관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시범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범 운영중인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도에 설치된 96개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초.중등학교의 도서관정보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마련하고자 한다.

  • PDF

학교교육 문제해결책으로서의 학교도서관에 관한 일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s a Important Solution to the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 서진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7-29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문제점과 학교도서관의 문제점을 살펴 본후 학교교육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도서관의 발전을 주장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창의성 개발교육, 평생교육, 열린교육 등에 있어서 우리나라 교육현장의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학교도서관이 이러한 학교교육의 요구에 어떻게 적합한가를 논하였다. 또한 이상적인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현장의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사서교사의 심각한 부족현상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의 발전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trends of school libraries in western world)

  • 김병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475-50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development trends of school libraries in the western world namely U. S. A., Canada by analyzing such items as education and environment, staff, policy, standard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to find out how and why they were able to maintain efficient library services.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are school district supervisor whose functions are to direct and supervise the school libraries in the district. (2) The school district supervisor, school administrator, Teacher and Teacher librarian al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s educational role and cooperate together for the development. (3) They gether statistical data on school library for continuous revision of statement, guideline and standard. (4) Not only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the library organization but also the private foundation conduct systematic research and extend financial aid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5) The Compulsory Codes and pertinent laws have been enacted to promote school library development.

  • PDF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운영현황과 효과분석 (An Analysis of the Operation of Digital Resources Room and ie Effect in School Librarie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71-414
    • /
    • 2005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개선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설치 사업은 학교도서관의 환경개선 및 정보화의 기반 구축, 정보자료 확충,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제공, 원문정보 제공, 독서교육, 도서관 활용수업 등 다양한 정보 및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이 초$\cdot$중등학교의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및 자기주도적 학습환경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첫째. 국가수준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독서교육 및 정보활용교육을 제도화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 활용수업을 정규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전문 사서교사를 배치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 PDF

초등학교 도서관 이용자교육에 대한 전담인력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Staffs'Perceptions on the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Library User Education)

  • 전유란;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3-219
    • /
    • 2024
  • 이 연구는 경남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이용자교육 현황과 이에 대한 전담인력의 인식을 조사한 다음,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경남지역 학교도서관 중 전담인력이 배치되어 있는 168개 학교도서관 중 설문조사에 응한 120개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89개관이 응답하였다. 이용자교육의 내용과 방법, 이용자교육에 대한 사서교육의 이수 현황, 이용자교육에 대한 전담인력의 이해와 관심도, 이용자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전담인력의 인식, 이용자교육의 방향에 대한 전담인력의 인식 등을 조사내용으로 포함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1) 이용자교육을 위한 사서교육 기회의 확대, 2) 학년별 내용과 수준을 다양화한 교육자료의 개발과 보급, 3) 이용자교육을 위한 정규교육 시간의 편성, 4) 이용자교육에 대한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 등을 제안하였다.

일본의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화 사업의 현황과 특성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Project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in Japan)

  • 윤유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09-333
    • /
    • 2013
  •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보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타 관종, 그 중에서도 특히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역할의 강화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협력형 운영사례를 살펴보고 한국의 적용가능성을 고민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일본의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화 사업의 현황을 알아보고 그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일본학교도서관의 인적 시설적 현실을 살펴보고, 관련정책을 정리하였다. 둘째, 학교도서관의 협력 현황을 전체적으로 조망해보고, 정부적 차원의 협력사업과 지자체차원의 협력 사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협력사업의 특징을 정리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대해 고민하였다.

AHP를 활용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An Analysis on Priority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ex Utilizing the AHP)

  • 임정훈;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9-189
    • /
    • 2019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현장성이 반영된 평가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의 대표적인 전담인력인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Analytic Hierarchy Progress(AHP)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평가지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 계층 평가영역의 우선순위는 인적자원, 도서관서비스, 정보자원, 도서관경영, 시설 환경 순으로 나타났고, 하위 계층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는 인력자원배치, 인력자원 전문성,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교육활성화 노력, 장서 구성 적설성, 장서 최신성, 예산, 시설 접근성, 장서 현황, 시설 설비 적절성, 경영계획, 이용 접근성, 홍보 및 마케팅,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협력, 자료이용현황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현장성이 가미된 학교도서관 평가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도서관 자료기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tandard of school library materia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61-91
    • /
    • 1998
  • In contemporary education, a school library is considered and valued as a vital and integral component of a school's instructional program. Especially, school library materials should contribute to execution of school curriculums through wide provision of resour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rm 'library materials' should be changed into 'library resources' with a broad meaning. And, the scope of school library materials should include printed materials, audio-visual materials, electronic materials, associated equipment and other library resources. 2. It is desirable that the minimal standards of total collection is 5 books and 3 AV for a student in elementary schools, 7 books and 5 AV for a student in middle schools, 10 books and 7 AV for a student in high schools. 3. Annual growth is 0.5 for a student in elementary schools, 1 for a student in middle schools and 1.5 copy for a student in high schools. And, the number of minimal serials is 20 titles in elementary schools, 30 titles in middle schools and 50 tides in high schools. 4. Besides, basic collection, with the advances of technology, the school library collection should include new formats and delivery systems such as CD, video discs, videotex, computer software, satellite transmission etc. 5. The recommendable annual ratio of withdrawl is 3 to 5% for update and functional materials.

  • PDF

일본(日本) 학교도서실(學校圖書室)의 배치유형(配置類型)과 공간구성(空間構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 센다이시(仙台市)의 학교도서실(學校圖書室)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Japanese School Libraries - Focused on School Library in Sendai City -)

  • 허영환;이상호
    • 교육시설
    • /
    • 제12권2호
    • /
    • pp.5-13
    • /
    • 2005
  • The school library plays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the student's mental activity and cultivate the formation of character and emotion. Especially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students must collect, select and utilize the necessary information themselves. The school library has to collect, put in order and keep the book, audiovisual material and necessary information beyond it about the entire education and to offer the students and teachers them for the general school education. The school library has to be a center of school education and drive forwards the spontaneous and subjective learning activity as well as progress the education process. The school library must be the place to preserve the student's subjective study ability, that is, consolidate the materials as the study center and be composed of proper study materials for the solving-problem and research. Also to be perfect in the role of the information center, the school library has to be consolidated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various information softwares and ways including the newspaper, magazine, video, CD, laser disk and computer. It is required for the information of school library to be corresponded actively to the multi-media society.

대학도서관 방문 프로그램을 통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연계 방안 (Cooperative Link between the Academic and School Libraries through Academic Library Visiting Program)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75
    • /
    • 2006
  • 정보사회에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신장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매개로 연계가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대학과 학교도서관의 연계 방안으로 대학도서관 방문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제안한다. 학교도서관의 입장에서 이 프로그램은 자료와 사서교사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서관 기반 학습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대학도서관의 입장에서는 지역사회개방에 따른 자료부족 문제, 사서의 업무 증가 문제. 열람석 부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서의 교육적 역할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