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isfaction gap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2초

풀터치 휴대폰의 플릭(Flick) 성능에 대한 평가 및 가이드라인 (Guidelines for Satisfactory Flick Performances in Touch Screen Mobile Phone)

  • 김헌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41-546
    • /
    • 2010
  • The gesture 'Flick' is the most fundamental and important part for efficient interactions in the touch screen that are being extensively applied to mobile phones. This study investigated users' satisfaction of the flick operation in representative touch phones, and measured their performances with established three measures: gap between finger and initial cursor, the number of moved lists per 0.2 seconds, and the number of moved lists after ten continuous flicks.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with high speed camera and motion analysis software. The flick movement in mobile phone with high users'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gap between finger and cursor positions was less and the speed reached high within 0.6 seconds quickly and then was drastically slow down. Especially, maximal and common time intervals between continuous flicks were measured with an experiment. Based on the evaluation and measurement, several design guidelines for efficient flick performances were suggested.

해운기업 선박조직과 육상부서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갈등의 인식차와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The Perception Gap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 between Ship Organization and Ship Management Team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Shipping Company)

  • 신용존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31-255
    • /
    • 2012
  • 선박조직은 육상과 일정기간 격리된 상황에서 육상조직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므로, 해상-육상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 그런데 해운기업의 육상조직과 선박조직 사이에는 육상조직의 일방적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과 부정적 결과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박조직과 육상의 선박관리 부서 간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과 갈등의 문제를 선박조직과 육상부서 양쪽 집단을 대상으로 진단하고 분석하여 객관적이며 종합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해운기업의 선박조직과 육상 선박관리 부서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따르는 부정적 영향으로서 집단 간 갈등에 주목하여 커뮤니케이션과 집단 간 갈등의 수준과 갭을 측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집단 간 갈등이 선박조직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선박조직과 육상부서의 상대집단과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정도는 상대집단과의 집단 간 갈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상대집단에 대한 집단 갈등은 선박조직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쪽 집단의 커뮤니케이션과 집단 간 갈등의 갭 분석에서 있어서는 커뮤니케이션이 모두 활성화되어 인식 차이가 적은 그룹에서 집단 간 갈등의 인식 수준이 낮았으며, 집단 간 갈등의 인식차이가 낮은 그룹의 선박조직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운기업의 선박조직과 육상의 선박관리부서는 양쪽 모두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대집단과의 갈등을 줄이고 선박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를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조직문화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차이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메커니즘 검증 (An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al Perception Ga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xamination of Psychological Mechanism)

  • 신수영;박지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16-42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에 대한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증명하는데 있어서 조직구성원들의 인식의 차이(현실 vs. 이상)에 초점을 맞추어 탐색하고자한다.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는 실무계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의 현실과 미래에 바라는 이상적인 문화에 대해 함께 파악하는 것은 경영자로 하여금 어디에 경영의 초점을 두어야하는지 경영의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실과 이상적인 조직문화간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경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단일 기업 근로자 2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13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화인식 차이는 직무만족 및 정서적 몰입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동체 문화에 대한 이상과 현실의 차이가 많이 날수록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관계가 있고 이는 정서적 몰입의 감소로 이어졌다. 따라서 조직문화인식차이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직차원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한 조직문화에 대해 구성원들과 합의를 이루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에 적합한 조직관리를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내재적 동기부여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중요도-만족도 격차분석을 이용한 품질 속성의 우선순위 결정 (Prioritizing quality attributes using I-S Gap analysis)

  • 송해근;임성욱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7-140
    • /
    • 2015
  • Purpose: To obtain the area for improvement,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uses relatively simple questions, that is, satisfaction and importance at attribute level. However, no attempt has been made to consider the gap between own company's performance and those of competitors in IPA, in the field of quality management.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a new prioritizing method for improvement and to test for valid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collected from Song and Lim(2015), which is satisfaction of employees, customers and competitors as well as importance data for 7 quality attributes of K animal hospital. A correlation comparison with other priority methods such as Bacon(2003)'s model and Matzler and Hinterhuber(1998)'s QI index is conducted. Results: The priority results by the proposed method shows better in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customer perceived priority for improvement than other methods. Conclusion: From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sult of the proposed method is valid, while it is relatively easy to understand and analyze, and therefore no additional survey is necessary for improvement priority.

저소득층의 디지털 정보화수준과 여가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Low Income)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29-36
    • /
    • 2018
  • 디지털정보화 사회가 심화되면서 정보소외계층의 정보격차는 점점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소외계층 중 하나인 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정보화 역량과 저소득계층의 여가활동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계층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여가 활동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계층의 유무선 정보기기 보유 및 인터넷 상시 접속가능 여부 등 디지털접근과 여가 활동 만족도간에는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C이용능력 및 모바일 디지털기기 이용능력 등 디지털 정보역량수준과 여가활동 만족도 수준도 양(+)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선 및 모바일 인터넷 이용여부 등 디지털 정보 활용 등의 수준도 역시 저소득계층의 여가활동 만족도에 양(+)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저소득계층과 일반 국민들 간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재미 한국 식당을 이용하는 외국인 고객들의 한국 음식 및 서비스 속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IPA 분석을 통한 음식${\cdot}$서비스 속성 분석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of Foreign Customers Visiting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USA;Analysis for Food and Service Attributes through IPA Analysis)

  • 이소정;채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2-162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 examine foreign customers’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for the food and service attributes of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the U.S., b) measure the gap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for food and service attributes, c) analyze through IPA analysis the crucial attributes needing improvement in order to minimize the discrepancy between customers’ expectations and performance, and d) analyze the effects of factors related to the food and service attributes on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in regard to Korean restaurant selection. A total of 255 American customers who had visited four Korean restaurants located within metropolitan and rural areas of the U.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t-test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12.0). The American customers’ overall satisfaction of the food and services offered by the Korean restaurants was relatively high, with the exception of tangible service attributes such as comfortable chairs, restroom cleanliness, and restaurant interior. The urban foreign customers, however, were dissatisfied with the use of healthful ingredients in Korean food, because their expectation level toward this aspect exceeded their satisfaction level. In terms of Korean restaurant selection, tangible services related to the restaurant facilities were identified as the critical factor having an effect on American customer satisfaction.

장노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과 사회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커뮤니티, 모임, 공동체에의 참여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z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Elderly People: Focusing on community, meeting, and community involvement activities)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7
    • /
    • 2019
  • 우리사회는 점점 고령화사회로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위 정보소외계층 중 하나인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디지털정보화 역량이 사회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노년층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사회 활동 만족도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노년층의 유무선 정보기기 보유 및 인터넷 상시 접속가능 여부 등 디지털접근과 사회 활동 만족도 수준과는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C이용능력 및 모바일 디지털기기 이용능력 등 디지털 정보역량수준과 사회활동 만죽도 수준도 정(+)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선 및 모바일 인터넷 이용여부 등 디지털 정보 활용 등의 수준이 높아 질수록 사회 활동 만족도 수준도 정(+)의 관계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노년층에 대한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부의 다양한 정보격차해소 정책이 필요함을 알수 있었다.

교통정보 이용 만족도 모형을 활용한 UTIS 활성화 대책 (UTIS Vitalization Countermeasures Using Traffic Information Use Satisfaction Rate Model)

  • 장석용;장헌영;고상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2D호
    • /
    • pp.199-20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들이 현재 이용하는 교통정보 서비스 품질 차이 모형(GAP)과 구조방정식을 통한 분석을 통하여, 첨단교통정보시스템의 일환으로 도입을 추진 중인 UTIS 활성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정보 서비스의 항목별 서비스 품질 차이 모형 구축을 통하여, 현재 운전자들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의 개선사항 및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교통정보 이용 만족도, 전체 교통정보 만족도를 관측변수로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교통정보의 전체 만족도는 교통정보 시스템의 확장성, 편리성, 정확성, 경제성 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각 요인별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향후 UTIS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시행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것도 본 연구의 성과라 할 수 있다. 셋째. 최근 사회적 경제적인 환경 변화로 인하여, 경제적인 요인보다 운행 중 여가 및 취미 생활을 즐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의 기능, 운행 보조적 기능, 운행 이외의 상황에서도 개인의 편리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희망함을 객관적 수치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응급실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환자 가족의 평가와 의료진의 인식 차이 (Satisfaction Gaps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 Famil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강경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5-151
    • /
    • 2013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atient family's evalu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ED) service satisfaction and to compare these with ED staff perception of patient family's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wo surveys of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the 2008 National Survey for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the 2008 Opinion Surve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satisfaction gaps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 family were evaluated by Kruskal-Wallis tests and Wilcoxon-Mann-Whitney tests. Furthermo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were identified by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among physicians, nurses, and patient family in overall satisfaction with ED visit, length of stay in ED, enough explanation, physicians/nurses kindness, and ED facilities. Age and income in the patient family model, the number of beds in hospital, job satisfaction and year of service in the physicians model, and the number of beds in hospital, job satisfaction and the number of patients per duty hour in the nurses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evaluation/ perception of ED service satisfaction. Conclusion: Patient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quality of care and service delivery in the ED. To improve and understand satisfaction in ED service, a dyadic view of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that is,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the patient and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should be concerned.

이용자와 직원이 인식하는 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충성도 - 국립중앙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Gap Analysis of Users' Perceptions and Staffs' Expectations Regarding the Library Service Qualify,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 A Case Stud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오동근;임영규;여지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65-181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이용자와 직원을 대상으로 도서관서비스품질(도서관직원 이용/서비스지원, 자료/정보자원, 시설/장비)과 서비스가치, 만족도, 불평행동, 충성도의 관계에 대해 이용자의 지각과 직원의 예상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새로이 설계된 만족도와 충성도모델을 통해 그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의 이용자 614명과 직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식차 분석결과 이용자는 직원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은 더 낮게 평가하면서도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고 만족도와 충성도는 더 높으며, 불평행동은 예상보다 적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모델분석결과 이용자의 지각치와 직원의 예상치를 바탕으로한 두 모델 모두 서비스가치와 전반적인 만족도는 불평행동과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용자는 서비스품질의 4가지 구성요인 중 도서관직원만이 서비스가치, 전반적 만족도. 불평행동,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도서관직원모델에서는 어느 구성요인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