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통정보 이용 만족도 모형을 활용한 UTIS 활성화 대책

UTIS Vitalization Countermeasures Using Traffic Information Use Satisfaction Rate Model

  • 장석용 (도로교통공단 부산광역시지부) ;
  • 장헌영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고상선 (도로교통공단 부산광역시지부)
  • 투고 : 2009.01.30
  • 심사 : 2009.02.15
  • 발행 : 2009.03.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들이 현재 이용하는 교통정보 서비스 품질 차이 모형(GAP)과 구조방정식을 통한 분석을 통하여, 첨단교통정보시스템의 일환으로 도입을 추진 중인 UTIS 활성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정보 서비스의 항목별 서비스 품질 차이 모형 구축을 통하여, 현재 운전자들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의 개선사항 및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교통정보 이용 만족도, 전체 교통정보 만족도를 관측변수로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교통정보의 전체 만족도는 교통정보 시스템의 확장성, 편리성, 정확성, 경제성 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각 요인별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향후 UTIS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시행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것도 본 연구의 성과라 할 수 있다. 셋째. 최근 사회적 경제적인 환경 변화로 인하여, 경제적인 요인보다 운행 중 여가 및 취미 생활을 즐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의 기능, 운행 보조적 기능, 운행 이외의 상황에서도 개인의 편리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희망함을 객관적 수치로 확인할 수 있었다.

We tried to show the course of UTIS vitalization, promoting to introduce as part of the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through analysis using traffic information gap model of servic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eing used by driver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1. We could find out the service matters needed to improve and what should be prior that make drivers' use increase through establishing the gap model of service. 2. We could establis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rough using traffic information use satisfaction rate, entire traffic information satisfaction rate as the observation variables. You can say it is the fruit of this research that it was confirmed the entire satisfaction rate of traffic information influenced extension, convenience, accuracy, economical efficiency in order. We could also arrange the base to determine the order of services for vitalization of UTIS in the future through grasping the priority of each service functions classified by factors. 3. It is confirmed that many drivers want multimedia function, driving support function and various functions for the personal convenience in situations except driving, which enable the drivers to enjoy leisures and interests rather than economical functions during driving due to the recent social and economic change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찰청.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5) 도시지역 광역교통정보 기반 확충사업.
  2. 경찰청 UTIS 경찰청 기술 규격(안).
  3. 교통개발연구원(1998) 수도권 첨단교통정보체계(ATIS) 상세설계 및 세부사업 시행방안 최종보고서.
  4. 교통개발연구원(2000) 부산광역시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기본계획.
  5. 구경남(2000) 첨단교통정보체계(ATIS)가 운전자의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6. 김동효 외(2005) 무선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수집제공시스템(UTIS) 개발 방향, 교통안전연구논집, 제24권, pp. 139-149.
  7. 김동효 외(2006) 교통정보수집제공시스템(UTIS) 기능 개선에 관한 연구, 교통안전연구논집, 제25권, pp. 141-154.
  8. 교통과학연구원(2006) 무선교통정보수집전달장치에서 교통정보전송시스템 개발 연구.
  9. 도로교통정보통신시스템센터(2004) VICS 활용술.
  10. 배병렬(2006)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이해 활용 및 프로그래밍. 도서출판 청람.
  11. 안용성, 정진혁(2001) 개인성향, 활동참여, 통행패턴을 고려한 통합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1, 대한교통학회, pp. 23-28.
  12. 이동규(2001)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통근시 수단선택과 업무 후 비업무 방문행태에 관한 연구, 공학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3. 이원규, 정헌영(2008) 버스정류장의 서비스 수준 및 평가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2D호, pp. 217-225.
  14. 장석용, 정현영, 이원규(2008) 택시 운전자의 교통사고 야기 성향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2D호, pp. 191-203.
  15. 장석용 외(2008) Q 분석 방법을 이용한 운전자 운전성향별 유형화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6권, 제1호, pp. 165-180.
  16. 정헌영 외(2002) 부가교통정보시스템(VTIS) 이용수요 예측 및 적정 이용료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4호, pp. 27-38.
  17. 조현철(1999) LISREL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 도서출판 석정.
  18. 진교남(1997) 교통수단선택모형의 추정에 이용되는 선호의식 자료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행정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 최연숙, 정진혁(2003) 다수준 다변량 구조 방정식을 이용한 활동참여와 통행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4호, pp. 145-154.
  20.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2005) 도시지역 광역교통정보 기반 확충사업 현장 성능시험 결과 보고서.
  21. 한국 ITS학회(2005) DSRC를 이용한 ITS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22. 한인환(2007) 차량용 블랙박스 기술 특허 분석 및 표준화 방안,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5권, 제3호, pp. 29-43.
  23. Fujii, S. et al. (2000) An analysis of individuals joint activity-travel behavior and time us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76, pp. 11-19. https://doi.org/10.3141/1676-02
  24. Golob, T. G. and McNally, M. G. (1997) A model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travel interactions between household head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31, pp. 177-194. https://doi.org/10.1016/S0191-2615(96)00027-6
  25. Kitamura, R., Robinson, J. P., Golob, T. F., Baradley, M. A., Leonard, J., and vander Hoorn, T. (1992) A comparative analysis of time use data in the Netherlands and California, Proceedings of the 20th PTRC Summer Annual Meeting.Transportation Planning Methods. pp. 127-138.
  26. Lu, X. and Pas, E. I. (1999) Socio-demo-graphics, activity participation and travel behavior.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33, pp. 1-18. https://doi.org/10.1016/S0191-2615(98)00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