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gassum micracanthum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3초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Sargassum micracanthum

  • Jeong, Da-Hyun;Kim, Koth-Bong-Woo-Ri;Kim, Min-Ji;Kang, Bo-Kyeong;Ahn,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2호
    • /
    • pp.1691-1698
    • /
    • 2013
  •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rgassum micracanthum ethanol extract (SMEE) was investigated using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re was no cytotoxicity in the macrophage proliferation treated with SMEE compared with the control. SMEE inhibit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cytokines (IL-6, TNF-${\alpha}$, and IL-$1{\beta}$)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 2 were suppressed via inhibition of nuclear factor ${\kappa}B$ p65 expression by SMEE treatment. The formation of edema in the mouse ear was reduced at the highest dose tested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and reduction of ear thickness was observed in histological analysis. Moreover, in an acute toxicity test, no mortalities occurred in mice administered 5,000 mg/kg body weight of SMEE over a 2-week observation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EE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flammatory mediators and be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material.

한국산 갈조식물 모자반속(Sargassum)의 분류 II. Bactrophycus아속 Halochloa와 Repentia절 (Taxonomy of the Genus Sargassum (Fucales, Phaeophyceae) from Korea 2. subgenus Bactrophycus section Halochloa and Repentia)

  • 옥정현;이인규
    • ALGAE
    • /
    • 제21권4호
    • /
    • pp.393-405
    • /
    • 2006
  • Eight species of Sargassum subgenus Bactrophycus section Halochloa and Repentia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Korea: Sargassum coreanum J. Agardh, Sargassum sagamianum Yendo, Sargassum micracanthum (Kützing) Endlicher, Sargassum macrocarpum C. Agardh, Sargassum autumnale Yoshida, Sargassum siliquastrum (Mertens ex Turner) C. Agardh, Sargassum serratifolium (C. Agardh) C. Agardh, Sargassum yezoense (Yamada) Yoshida et Konno. These species were investigated on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s in Korea. The valuable taxonomic characters between similar species of these section were discussed with special reference to types of holdfasts, shape of main branch, leaves and vesicles.

한국 연안 해조류 생물량의 연간 변동 양상: 강원도 대진지역 (Temporal Variations of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s: Daejin, Gangwondo)

  • 신재덕;안중관;김영환;이숭복;김정하;정익교
    • ALGAE
    • /
    • 제23권4호
    • /
    • pp.327-334
    • /
    • 2008
  • Seaweed biomass was estimated using a nondestructive sampling method in the rocky intertidal and subtidal zone in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from August 2006 to April 2008. Seasonal sampling were done at the depth of 0, 1, 5, 10 m using 50 x 50 cm quadrat. A total of 95 species, including 11 chlorophytes, 26 phaeophytes, 57 rhodophytes and one sea grass were identified. Mean biomass was comprised of 1,292 g wet wt m$^{-2}$ and the biomass values varied seasonally from 904 g to 1,945 g.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Sargassum spp. (S. horneri, S. yezoense), Corallina pilulifera, Phyllospadix japonica, Symphyocladia latiuscula, Hizikia fusiformis, Codium arabicum and Chondrus ocellatus at Daej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lgae were characterized by Corallina pilulifera, Symphyocladia latiuscula, Sargassum spp. (S. confusum, S. yezoense), Hizikia fusiformis and Grateloupia elliptica at intertidal zone, Sargassum spp. (S. fulvellum, S. horneri, S. yezoense), Phyllospadix japonica, Codium arabicum, Undaria pinnatifida and Corallina pilulifera at 1 m depth, Sargassum spp. (S. horneri, S. micracanthum, S. yezoense), Phyllospadix japonica, Grateloupia elliptica, Gelidium amansii and Codium arabicum at 5 m depth and Phyllospadix japonica, Codium arabicum, Sargassum spp. (S. horneri, S. micracanthum, S. yezoense) and Undaria pinnatifida at 10 m depth.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 (Anti-Melanogenesis and Anti-Wrinkle Effects of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s)

  • 박원민;김꽃봉우리;김민지;박지혜;배난영;박선희;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25
    • /
    • 2016
  •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1.20 mg/g 및 11.70 mg/g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는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및 물 추출물 모두 0.5 mg/ml 농도에서 83.68% 및 79%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금속봉쇄력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높게 나왔으나 대조구인 EDTA보다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1 mg/ml 농도에서 80% 이상으로 높은 효소 저해능을 보였다. 따라서, 잔가시 모자반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능, tyrosin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나 피부 노화 억제를 위한 소재로서 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T3-L1 세포분화 중 지방축적 및 ROS 생성에 대한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 on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 이영준;윤보라;최현선;이부용;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55-46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항비만 및 항산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3T3-L1 전지방세포에 분화 유도물질을 처리하여 분화 과정 중에 잔가시 모자반의 지방축적과 ROS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은 XTT assay에서 두 농도(10 및 100 ${\mu}g/mL$) 모두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적량과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전사인자인 $PPAR{\gamma}$$C/EBP{\alpha}$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ROS의 생성과 관련이 있는 주요 효소인 NOX4의 발현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 억제 효과와 더불어 ROS 생성 억제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잔가시 모자반은 비만과 같이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천연물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Anti-atopic Activity of Sargassum micracanthum Ethanol Extracts)

  • 정다현;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시우;박원민;김보람;박홍민;임무혁;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2-88
    • /
    • 2014
  • 본 연구는 DNCB 도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BALB/c mice에 SMEE를 2주 동안 지속적으로 처리하여 SMEE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IFN-${\gamma}$ 및 IL-4 cytokine의 분비량, 비장세포 증식능, 혈청 중 총 IgE 함량, 육안 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SMEE를 지속적으로 도포함으로써 IL-4 cytokine과 총 IgE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IFN-${\gamma}$ cytokine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증식능 측정결과, SMEE 처리구의 경우 negative control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억제됨을 나타냈으며, 비장세포의 비이상적인 증식에 SMEE 도포처리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안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 결과, SMEE를 2주간 지속적으로 도포 처리하였을 때, 그 증상이 눈에 띄게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core 또한 positive control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SMEE는 Th1 cytokine 생성은 증가시키고 Th2 cytokine 생성은 억제하여 IgE의 과다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동해 중부 대진과 죽변 연안의 저서 해조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at Daejin and Jukbyeo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 신재덕;안중관;김영환;이숭복;김정하;정익교
    • ALGAE
    • /
    • 제23권3호
    • /
    • pp.231-240
    • /
    • 2008
  • The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benthic marine algae at Daejin and Jukbyeo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from August 2006 to April 2007. As a result, the total of 85 species, including 8 chlorophytes, 26 phaeophytes, 50 rhodophytes and 1 sea grass were identified. 52 species were found at Daejin and 74 species at Jukbyeon. Dominant species in importance value were Corallina pilulifera, Chondrus ocellatus, melobesioidean algae, Sargassum horneri, Sargassum yezoense and Phyllospadix japonica at Daejin, and Corallina pilulifera, melobesioidean algae, Phyllospadix japonica, Acrosorium polyneurum, Sargassum siliquastrum and Hizikia fusiformis at Jukbyeon, respective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lgae were characterized by Corallina pilulifera,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spp. (S. siliquastrum, S. yezoense) and Symphyocladia latiuscula at intertidal zone, Sargassum spp. (S. horneri, S. serratifolium, S. yezoense), melobesioidean algae, Phyllospadix japonica and Corallina pilulifera at 1 m depth, melobesioidean algae, Phyllospadix japonica and Sargassum spp. (S. horneri, S. yezoense) at 5 m depth and melobesioidean algae, Phyllospadix japonica and Sargassum spp. (S. horneri, S. micracanthum, S. yezoense) at 10 m depth.

잔가시 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rgassum micracanthum Water Extract)

  • 정다현;강보경;김꽃봉우리;김민지;안동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227-23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을 통해 잔가시 모자반 (S. micracanthum) 물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았다. 잔가시 모자반 물 추출물이 대식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MTT assay를 시행했으며, NO 생성량을 비롯하여 TNF-${\alpha}$, IL-6 및 IL-$1{\beta}$와 같은 염증 매개성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하기 위해 ELISA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immunoblotting을 통해 iNOS, COX-2 및 NF-${\kappa}B$ p65 단백질 발현량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잔가시 모자반 물 추출물이 대식세포에 미치는 독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NO 및 염증 매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보였다. 특히, IL-$1{\beta}$ 분비량이 $50{\mu}g/mL$에서 50% 이상 저해됨을 보였다. 또한, iNOS, COX-2 및 NF-${\kappa}B$ p65 단백질 발현량에서도 농도의존적인 감소를 보였다. 모자반 물 추출물을 5,000 mg/kg body weight까지 경구투여 한 후 2주 동안 관찰한 결과 경구독성을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 후, 동물실험을 통해 염증으로 인한 귀 부종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가장 높은 처리 농도인 250 mg/kg body weight으로 경구투여 하였을 때 prednisolone을 투여한 대조군과 유의적으로 비슷한 수준까지 귀 부종이 완화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잔가시 모자반 물 추출물이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향후 염증질환 치료제 개발에 잔가시 모자반 물 추출물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남해안 동부 해역 해조 군집 구조 및 변동의 정량적 분석 1. 연화도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ies at the Southern Coast of Korea 1. Yonhwa-do, near Chungmu)

  • 손철현;이인규;강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5-273
    • /
    • 1986
  • 본 연구는 한국 남해안 동부해역의 해조군집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그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이 해역을 대표 할 수 있다고 보여지는 경남 통영군 욕지면 연화도에 선정한 8개 지점에서 1984년 12월부터 1986년 1월사이에 수행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출현 해조류는 남조류 2종($1.8\%$), 녹조류 18종($15.8\%$), 갈조류 25종($21.9\%$) 그리고 홍조류 69종($60.5\%$)으로 모두 114종이었다. 2. 홍조류 종수에 대한 갈조류 종수의 비 (R/P 값)은 2.8로 남해안 연안쪽보다 높게 나타났다. 3. 해조류의 기능형군별 구성비는 계절적으로는 봄 겨울에는 사상형과 막상형이 우세하고, 여름과 가을에는 직립분기형과 다육질형이 우세하였다. 그리고 지점별로는 파도가 적은 내만쪽에서 막상형과 각상형이 우세하고, 파도가 강한 쪽에서 직립분기형과 다육질형이 우세하였다. 4. 군집의 유사도 분석 결과, 유사도 $30\%$ 수준에서 봄에는 5개군, 여름, 가을 및 겨울에는 3개군으로 나타났고, 이들은 파도의 강약, 계절풍의 영향정도에 따른 특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5. 전 조사기간을 통하여 전 지점에서 중요도 10이상인 종은 Porphyra suborbiculata (30.1), Corallina pilulifera (27.8), Hizikia fusiforme (27.7), Sargassum thunbergii, (27.5), Undaria pinnatifida (22), Ishige okamurai (20.6), Chondria crassicaulis (20), Ulva pertusa (16), Pseudulvella consociata (15.7), Urospora penicilliformis (15), Sargassum sagamianum (14.9), Caulacanthus okamurai (12.8), Gloiopeltis furcata (12.7), Sargassum micracanthum (11.7), Myelophycus simplex (11.2) 이었고, Melobesioideae가 25.7이었다. 6. 무절석회조 순군집의 빈도 및 피도는 각각 $44.6\%$$75\%$였고, 무절석회조와 다른 해조가 혼생하는 군집의 빈도 및 피도는 각각 $55.4\%$$65.8\%$로서 혼생하는 군집의 피도가 약간 낮았다. 7. 무절석회조와 다른 해조류가 혼생하는 군집의 출현빈도나 피도가 높은 종은 Corallina pilulifera, Gelidium amansii, Sargassum sagamianum, S. thunbergii, Hizikia fusiforme, Laurencia spp. 등으로 기능형으로는 주로 직립분기형이나 다육질형이었다. 8. 점심대지역에서의 무절석회조의 높은 피도율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식해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동해안 울진원전의 온배수 방출이 주변 해조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ed Effluents on the Intertidal Macroalgal Community near Uljin, the East Coast of Korea)

  • 김영환;안중관;이재일;엄희문
    • ALGAE
    • /
    • 제19권3호
    • /
    • pp.257-270
    • /
    • 2004
  • In order to clarify the structure and seasonal dynamics of warm tolerant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y in Korea, the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marine algae at the discharge canal of Uljin nuclear power plant on the Ea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from February 1992 to October 2000. 107 species of marine algae were found at the discharge canal during the past nine years. In general, the number of species observed was abundant in spring or summer and less in autumn or winter. 27 species (4 blue-green, 5 green, 6 brown and 12 red algae) of marine algae occurred more than 1/ 6 frequency and thus can be categorized as warm tolerant species. Among these, one brown (Dictyota dichotoma) and four red algae (Gelidium amansii, Anphiroa ephedraea, Hydrolithon sargassi, Marginisporum crassissimum) are recorded as warm tolerant marine alga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Padina arborescens, Anphiroa zonata and Corallina pilulifera were common species found more than 75% frequency. Seasonal fluctuations of mean biomass were 0-1,330 g dry wt m^(-2) and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Corallina pilulifera (contribution to a total biomass proportion 34%), Anphiroa zonata (23%), Padina arborescens (18%) and Sargassum micracanthum (11%). The red algae appeared as predominant algal group at the discharge canal of Uljin nuclear power plant i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The green algae such as Enterornorpha compressa appeared rather frequently at the discharge canal, but the biomass proportion was very low, in contrast to Kori nuclear power plant where there was definite green algal dominance. Differences in algal communities developed at the discharge canals of Uljin and Kori nuclear power plant on the East Coast of Korea, particularly biomass proportions of green algae, can probably be related to loc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velocity through the canal and natural seawater temper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