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Insensitivity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1초

건설근로자가 갖는 안전불감증의 특성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Insensitivity in Construction Workers)

  • 김세엽;차수현;차용운;한상원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88-96
    • /
    • 2021
  • 건설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설산업에는 많은 안전사고 발생한다. 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원인을 몰라서가 아니라, 사고의 원인과 대책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하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안전불감증에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근로자가 느끼는 안전불감증과 이를 유발하는 문화적, 경제적, 교육적, 기술적, 작업관리적의 5가지 종류의 원인들을 도출하였다. 103명의 건설근로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건설근로자의 안전불감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안전교육이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경제적인 원인은 건설근로자의 안전불감증의 정도에 상관없이 불안전한 행동이나 불안전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건설근로자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40대와 50대의 안전불감증이 20대나 60대 이상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건설근로자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연령 및 근무경력에 따른 특성은 향후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위험군(高危險群) 제조화학업체(製造化學業體)의 안전의식(安全意識) 실태(實態)에 관한 연구(硏究) (대기업(大企業) 화학업체(化學業體)를 대상(對象)으로) (A Study on Safety Awareness of High Risk Chemical Companies: (Focusing on Large Chemical Corporation))

  • 허관회;안형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3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ist with infusing safety consciousness and resolving insensitivity towards safety for industrial accident in workers, managers and executives of chemical companies. Among many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ethods, Korea has been mostly taking an engineering approach of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by replacing old machines with risks of an accident and through new facilities and equipments. Through an attitude survey of workers in large scale chemical companies, this study wished to examine the fact that the biggest reason why the accident rate for the past 10 years has not decreased is because safety consciousness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대학생의 개인 심리 특성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Safety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 배성아;노수림;옥승용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2-108
    • /
    • 2016
  • As a range of accidents happen frequently in our society due to safety insensitivity, researches on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afety behavior and on safety education are increasing. However, safety behavior research that targets university students as potential employees remains rare.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safet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participants were 131 university students (80 males, 51 females) from the Gyeonggi-do and Chungnam area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lf-regulation, cognitive failure,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included as variables that may predict university students' safety behaviors (habits, compliance, mistakes, and viola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conscientiousness was a major predictor explaining safety habits and safety compliance; Cognitive failure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main predictors explaining safety mistakes, and self-regulation was a major predictor explaining safety viol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velopment of proper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uld allow systematic improvement of safet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국내 재난 안전 가상훈련 콘텐츠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through Case Analysis of Domestic Disaster Safety Virtual Training Contents)

  • 송은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67-474
    • /
    • 2023
  •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많은 인재가 발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응할 수 있는 재난 안전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가상현실 디바이스 및 제작 기술이 발전하며, 안전교육 분야에서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한 훈련시스템 활용의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가상훈련시스템은 몰입감이 뛰어나고 시공간의 제약없이 다양한 재난상황을 체험할 수 있어 훈련 및 교육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난 안전 가상훈련 콘텐츠 사례들을 수집 조사하여 국내 재난안전 가상훈련 콘텐츠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병원 내 근로자 중 유기용제를 취급하는 부서에서 벤젠, 크실렌, 톨루엔의 노출 여부에 관한 연구 (On Exposure of Workers in Sections Handling Organic Solvents within Hospitals to Benzene, Xylene, and Toluene)

  • 오동선;박미숙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7-152
    • /
    • 2008
  • Due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industries and medical standards, the number of workers who handle organic solvents within hospitals is increasing. The authors in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handling of the solvents and to encourage the recognition that the exposure to such solvents may be possible because of insensitivity to safe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exposure of workers within hospitals,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the three sections (Pathology department, Central Supply Room, and Operating Room), which handle organic solvents most frequently. Meanwhile, university interns were selected to be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May 1 to May 30, 2007, and urine was taken as samples. Hippuric acid, mandelic acid, methylhippuric acid, and phenylglyoxylic acid were analyzed through gas chromatography, and a total of 52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performed of the analysis. A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osure to benzene was $42.27{\pm}3.70mg/g$ creatinine, that of xylene was $1.30{\pm}0.18g/g$ creatinine, and that of toluene was $2.36{\pm}0.24g/g$ creatinine. Meanwhi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ntrol group showed that the exposure to benzene was $15.54{\pm}2.85mg/g$ creatinine, that of xylene was $0.52{\pm}0.02g/g$ creatinine, and that of toluene was $0.85{\pm}0.20g/g$ creatinine. The amount of exposure to benzene, xylene, and toluene was shown to be under the maximum permitted level, but as for Pathology department, it was required to educate on working conditions, to educate workers on prevention management about their health, and to install fume hood and exhaust system to improve the environments.

  • PDF

산소포화도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안전모 설계 (Design of Digital Safety-helmet for SpO2 Measurement)

  • 이민혜;정동명;신성윤;전태일;최재석;정기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3-165
    • /
    • 2018
  • 대부분의 건설 재해는 공사장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거나 복장 및 보호장비 미착용, 안전 불감증 및 근로자의 건강 등의 인재로 분석된다. 이러한 건설 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현장관리직이 근로자의 건강을 점검할 필요성이 있으나 매 시간 근로자의 상태를 확인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보호구 기능에서 벗어나 근로자의 산소포화도와 맥박 수를 체크하여 자동으로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디지털 안전모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 PDF

KC마크의 안전 불감과 과제 (Insensitivity Towards Safety and Tasks of KC Mark (Korea Certification Mark))

  • 김명열;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118
    • /
    • 2016
  • KC Mark is one of the country's integrated legal force to the minimum mandatory certification mark system for safety. That is absolutely needed for manufacturing and sales of goods in Korea. This thesis intended to see what is prevalent for both imports and domestic products for illegal and defect and rebuild the ecosystem as soon as possible for the healthy development through public awareness. In this theses point out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based on the various kinds of press releases, data of KCA(Korea Consumer Agency), MOTIE(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KCA(Korea Customs Service) to the problem of certification system of KC mark and propose a solution to that issu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make befit the nation's place in the worl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s possible about the system of certification KC. This study expect more research on this issue in order to make enhance the confidence of KC mark.

선진 재난안전의식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Promotion of Advanced Disaster-Safety Awareness)

  • 이종현;김미라;고재철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15-426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형재난사고의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되는 국민들의 재난안전의식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 및 안전의식에 관한 이론적인 검토를 실시하고, 재난사고의 원인을 도출하기 위해 '재난관리평가 국민안전 체감도의식' 조사 결과 및 대형재난사고 사례들을 분석하여 선진 재난안전의식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관리평가 국민안전 체감도 조사를 통해 재난관리 4단계 중 '대응'차원은 잘 수행되고 있으나, '복구'차원이 미흡한 국민들은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예방' 차원에서 재난안전에 대한 교육이 매우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국민 안전의식 조사를 통해서는 대피시설에 대한 인지 수준이 매우 낮았고, 감염병과 붕괴사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상생활에서의 안전수칙 준수에 대한 인식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형재난사고(코로나19, 밀양세종병원 화재, 2004년 동해안 산불)에 대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안전불감증과 같은 안전의식의 결여가 피해규모의 확대를 유발시킨 주요한 원인임을 도출하였다. 결론:재난사고를 예방·감소시킬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요소는 선진 재난안전의식의 활성화이며, 이를 제고하기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안전교육 및 안전홍보 활동의 확대를 통한 안전문화운동의 확산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는 재난대응에 대한 실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난대비훈련을 시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안전에 대한 개개인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소들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만 선진 재난안전의식이 제고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의 재난사고들이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소방안전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태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 Condition Estimation for Fire Prote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Builds)

  • 강길수;최재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8-24
    • /
    • 2013
  • 대형화, 다양화되고 있는 화재 폭발사고 및 지구온난화와 자연현상에 의한 재난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은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국가의 성장과 더불어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및 복지증진이라는 국가의 거시적 목표에 부응하되 기업목적인 이윤추구의 달성을 위해 우선시된 경제정책 속에서 앞만 보고 달려온 기업들은 미온적 위험관리의 결과로 소중한 인명과 재산손실을 감내하고 있다. 2007년 소방방재청의 '안전문화 활성화를 위한 국민안전의식조사'에서 국민이 생각하는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은 '심각한 수준'으로 조사된 바, 본 연구에서는 소방안전사고예방과 안전의식수준향상을 위해 위험관리가 가능한 대기업뿐만 아니라 조직과 예산규모가 작아 사고발생의 위험이 큰 중소기업의 현 실태를 평가,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통한 소방안전사고예방을 위해 현 실정에 맞는 '단계별 소방안전경영시스템' 구축에 대한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미국의 재난방송 시스템 기술 동향 (Disaster Broadcasting System Technologies and Trends in the US)

  • 조용성;배병준;김흥묵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3권3호
    • /
    • pp.51-58
    • /
    • 2018
  •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floods, earthquakes, volcanoes, fires, explosions, and traffic accidents occur frequently around the world. In Korea, a vicious cycle of large-scale accident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insensitivity to safety is repeated each year. In particular, the tragic sinking of the Sewol ferry in 2014 and strong earthquakes with a magnitude of 5.0 and greater in Gyeongju and Pohang in 2016 and 2017, respectively, threw the entire country into a state of shock, increasing the public anxiety regarding disaster preparedness. This paper discusses the trends in broadcast emergency alert systems used to minimize damage from a disaster by delivering urgent status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through a broadcast network, and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disaster risk and emergency evacuation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