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 design

검색결과 2,037건 처리시간 0.032초

연비를 고려한 차량 및 적응형 순항 제어 파라미터의 크리깅 대체모델 기반 최적설계 (Kriging Surrogate Model-based Design Optimization of Vehicle and Adaptive Cruise Control Parameters Considering Fuel Efficiency)

  • 김한수;송유호;이승하;허건수;이태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9호
    • /
    • pp.817-823
    • /
    • 2017
  • 기존에는 연비를 고려한 적응형 순항 제어 알고리즘 개발과 연비 등의 성능을 고려한 적응형 순항 제어 시스템 개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한 차량 파라미터의 적응형 순항 제어에 대한 최적설계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연비, 추종성, 승차감, 안전거리를 고려한 차량 및 제어 파라미터 최적설계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차량 거동의 성능 측정 방법을 제안하고 적응형 순항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성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차량 파라미터를 선별하여 이를 토대로 순차적 실험계획을 통해 크리깅 대체모델을 구축하였고, 연비를 최대화하며 목표 성능을 만족하는 크리깅 대체모델 기반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자동차용 Torque Strut의 경량 설계 (Light-Weight Design of Automotive Torque Strut Based on Computer Aided Engineering)

  • 김기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10호
    • /
    • pp.975-981
    • /
    • 2017
  •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량소재의 적용을 통한 무게 감소는 연료절감과 대기 오염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 재료는 피로수명에 대한 강도 측면에서 철강(steel) 소재에 비하여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부품들의 안전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자동차 부품 경량화를 이루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보다 가볍고 강한 서스펜션 링크들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STKM11A 철강소재로 설계된 토크 스트럿을 245 MPa의 인장강도 소재인 알루미늄 합금(A356) 소재로 대체하기 위한 경량화 설계 과정에 대하여 von-Mises 응력 변화를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최적화된 설계는 경량화 이전 강재로 설계된 링크보다 42% 이상 경량화 시킬 수 있었으며 이는 토크 스트럿 개발의 안전한 경량화 설계조건 및 경량화 설계에 대한 가이드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자동차용 텐션 링크의 경량 설계 (Light-Weight Design of Automotive Tension Link Based on Computer Aided Engineering)

  • 김기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6호
    • /
    • pp.561-566
    • /
    • 2017
  • 기존 STKM11A steel 소재로 설계된 자동차용 텐션링크를 인장강도 245 MPa인 알루미늄 합금(A356) 소재로 대체하기 위한 경량화 설계 과정이 인장, 굽힘 및 비틀링 강성의 변화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부품들의 안전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자동차 부품 경량화를 이루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보다 가볍고 강한 서스펜션 링크들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기존 I-빔 형태의 단면을 지닌 링크는 특별한 방향에 대하여 약한 단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경량화 이후에도 모든 방향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최적의 링크부품 형상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링크들을 설계 및 분석하여 최적의 형상을 얻을 수 있었다. 최적화된 설계는 경량화 이전 steel 소재로 설계된 링크보다 40% 이상 경량화 시킬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텐션링크 개발의 안전한 경량화 설계조건을 제시할 수 있었다.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료를 이용한 간단한 손가락 섬피판 디자인 (Polyurethane Foam Template for Simple Design of Digital Island Flap)

  • 김남중;최환준;김준혁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8권1호
    • /
    • pp.35-39
    • /
    • 2009
  • Purpose: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attempted for design of the flaps. However, there are some disadvantages. They have thin, pliable, and two dimensional metho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usefulness of polyurethane foam dressing materials for three dimensional design of the digital island flap. Methods: From June of 2007 to september of 2008, 10 patients received digital island flap surgery for soft tissue defect of the finger. After minimal debridement of the wound, size and shape of the defect were measured using polyurethane foam. We used Medifoam-$5^{(R)}$ And then, designed this inset the wound. The flap was designed on the donor site with a arterial pedicle as the central axis according to size and shape. A full thickness skin graft from the groin is applied on the flap donor defect and secured with a tieover bolster dressing. Results: Reviewing sizes of the flaps, the length and width of flaps ranged from 1.5 to 3.3 cm and 1.0 to 2.5 cm. The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llows identification of the donor depth of finger. The distance for the soft tissue ranged from 4.3 mm to 6.7 mm. Mean depth of donor site was 5.3${\pm}$0.6 mm. Also, the thickness of Medifoam-$5^{(R)}$ ranged nearly 5 mm. On flap insetting, full-thickness skin graft was necessary. We did not experience any problems in the recipient site size either, regardless of the extended flaps. Conclusion: Polyurethane foam has many advantages over the more conventional templates. Refinements in flap design and surgical technique resulted in favorable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s. Especially, for beginner, Polyurethane foam dressing material is a simple and safe tool and therefore is an excellent choice for design of the island flap.

  • PDF

공동주택 단지 내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보행환경 개선에 대한 기초연구 -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동탄2신도시 사례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to Reduce Traffic Accidents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 - Focused on Dongtan 2 New Town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

  • 윤호정;염성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07-517
    • /
    • 2020
  • New towns and large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are being built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with the goal of creating safe and pedestrian-friendly cities. Traffic accidents in such residential complexes, however, is on the rise, creating social problems. While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on problems with pedestrian environment; there is a dearth of studies that take design-based approach to ensure safety in pedestrian environment within residential complex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by properly planning pedestrian environment with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in addition to emphasizing theories related to planning safer pedestrian environment in general.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design directions required to improve the design theory of pedestrian safety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1) Linking traffic facilities and residential complex spaces in Korea; (2) Considering implementation of United Kingdom road systems; (3) Establishing appropriate objectives for each residential complex based on case study. In response to these findings, the study selected the A84BL complex in Hwaseong Dongtan 2 Complex located in Dongtan-myeon, Hwaseong-si in Gyeonggi Province, Korea. Items that can be implemented, as well as spatial design directions, were discussed with a focus on private vehicles, pedestrians, and service vehicles.

천연가스 생산기지 시설물의 내진성능평가 절차 (Procedure of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LNG Receiving Terminal Facilities)

  • 이태형;이은숙;박태규;홍성경;김준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10-115
    • /
    • 2014
  • It is crucial for important facilities to withstand strong earthquakes because their damage may cause undesirable socio-economic effect. A liquefied natural gas (LNG) receiving terminal is one of the lifeline facilities whose seismic safety needs to be guaranteed. Even though all operating LNG receiving terminals in Korea were seismically designed, old design codes do not guarantee to comply with the current seismic design codes. In addition, if the constructional materials have been deteriorated, the seismic capacity of facilities may be also deterior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seismic performance of LNG receiving terminals is evaluated and the facilities that lack of seismic capacity have to be rehabilitated. In this paper, a procedure of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such facilities is developed such that the procedure consists of three phases, namely pre-analysis, analysis, and evaluation phases. In the pre-analysis phase, design documents are reviewed and walk-on inspec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material properties. In the analysis phase, a structural analysis under a given earthquake or a seismic effect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eismic response of the structure. In the evaluation phas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is evaluated based on limit states. Two of the important facilities, i.e. the submerged combustion vaporizer (SMV) and pipe racks of one of the Korean LNG receiving terminals are select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developed procedure. Both of the facilities are safe under the design level earthquake.

고성토 보강토옹벽의 거동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Behavior of High-Raised Reinforced Soil Wall)

  • 조삼덕;이광우;이훈연;장기수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35-42
    • /
    • 2006
  • 최대 높이가 29.5m인 고성토 보강토옹벽에 대한 시공 및 계측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이 높은 보강토옹벽에 대한 설계 및 시공 경험이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본 현장에서는 철저한 설계 및 시공관리가 이루어졌다. FHWA 설계기준에 근거하여 본 현장 보강토옹벽의 내적 및 외적안정을 검토하였고, Bishop의 간편법을 이용하여 전반활동에 대한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공관리 및 안정성 검토를 위한 일련의 현장계측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높이가 20m 이상이고, 2단으로 시공된 대표단면 2개소에 대한 계측결과를 분석하였다. 계측결과, 벽체 및 보강재의 변형이 매우 작게 측정되었으며, 벽체작용 수평토압 또한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높이가 20m이상으로 매우 높은 옹벽구조물에 있어서, 보강토옹벽공법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시공관리가 잘 이루어질 경우 이같이 높은 보강토옹벽에 대하여 FHWA 설계기준이 매우 보수적인 안전측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학생 메신저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카카오톡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Instant Messaging Services in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Kakao Talk application-)

  • 이종원;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327-333
    • /
    • 2019
  • 본 연구는 국민 채팅 앱으로 일컬을 수 있는 카카오톡을 부모들이 안심하고 초등학교 자녀들이 쓰게 할 수 있도록, 초등학생 자녀들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양 대상자 간의 사용자 경험의 차이점을 조사한 후 카카오톡의 개선 영역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을 조사하고, 키즈폰 출시와 한계점, 카카오톡의 사회적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부모 8명과 해당 자녀 8명을 대상으로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을 기반으로 한 설문조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각 대상자의 카카오톡의 구체적인 사용 실태와 관점, 니즈를 파악하였고, 부모들은 신뢰성 부분에서 카카오톡을 신뢰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카카오톡 실제 개선까지 이루어져 부모와 자녀가 안심하고 쓸 수 있는 카카오톡이 되기를 기대한다.

식품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과 기능 분석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Design and Function of Food Safetey Application)

  • 손정은;정의태;백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1-101
    • /
    • 2019
  • 국내에 공식 허가된 식품 첨가물은 약 600개에 달하여 이제 현대인들의 삶 속에 공존하고 있으며 식품에 함유되어있는 첨가물과 식품의 안전성, 유해성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고자 하는 식품의 안전성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구매하고자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가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안전정보를 제공하는 대표 애플리케이션 6개의 기능과 디자인을 분석하고, 디자인 전문가 평가 및 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능 및 디자인 분석 결과를 통하여 비슷한 성격의 국내 애플리케이션 3가지를 선정하여 디자인 전문가에게 UI 및 사용성 등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후 가장 유사한 애플리케이션 두 가지를 선택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결과 엄정, 엄선 두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이 비슷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종합적 결과를 고려하여 엄정이 가장 사용성이 높은 식품안전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식품안전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할 점과 기존 디자인과 기능의 개선사항을 제안하여 식품애플리케이션 개발자와 이용자의 편의 향상과, 나아가 국민의 안전하고 올바른 식생활 영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WiFi 네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한 차량 관제용 네트워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ehicle Control Network Using WiFi Network System)

  • 유환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32-637
    • /
    • 2019
  • 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최근의 연구는 매우 활성화되고 있고, 안전운행을 보조하고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는 추세이다. 자율주행 차량은 인공지능의 결합, 영상인식 능력과 더불어 사물간의 인터넷 통신이 필수인 상황이다. 모바일 이통통신 네트워크는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쉽게 구현이 가능하고 확장이 용이한 Wi-Fi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확장한다. 이러한 차량 관제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무선 설계방식을 제안한다. 이동 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수신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AP의 배치 구성과 소프트웨어 구성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계를 통해서 이동 차량의 통신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단말장치의 이동에 대한 실험을 통해, 차량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GP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의 패킷 구성을 검증한다. 이러한 무선 설계기술을 2.4GHz, 5GHz 및 10GHz Wi-Fi 등의 다양한 범용 무선 네트워크에 확장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지능형 도로망과 자율주행과의 연동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