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like ability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39초

두리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Durian (Durio zibethinus) Extract)

  • 지윤선;장준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5-26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by water and 70% ethanol extract from durian (Durio zibethinus.) seed, sarcocarp and peel. Durian extract were studied for reducing sugar content, polyphenol content,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activity, electron donating ability, nitrite scavenging ability, flavonoid content,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sugar content were increased peel > sarcocarp > seed.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SOD like activity were increased seed > peel > sarcocarp.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relatively high as $21.90{\pm}0.50mg/g$ in the ethanol extract of the see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relatively high as $62.08{\pm}2.63%$ in the water extract of the see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seed > peel > sarcocarp, was relatively high as $58.27{\pm}1.13%$ in the water extract of the seed.

가죽나무(A. altissima) 부위별 에탄을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ilanthus altissima)

  • 이양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89-394
    • /
    • 2007
  • 한방생약자원으로 사용되는 가죽나무(A. altissima)의 생리학적 활성을 조사하고자 뿌리와 줄기, 잎을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하여 농도에 따라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xanthine oxidase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00{\mu}g/mL$의 농도에서 뿌리와 줄기 추출물이 64.04%와 63.27%이었으며, 잎 추출물은 17.47%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7.66%{\sim}50.00%$로 잎 추출물이 뿌리와 줄기에 비해 약 5배 이상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에 있어서도 가죽나무 잎 추출물이 $1,000{\mu}g/mL$의 농도에서 pH 1.2와 3.0에서 98%이상의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00{\mu}g/mL$의 농도에서도 90% 이상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저해 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뿌리와 줄기, 잎 추출물 모두에서 90% 이상의 저해율을 보였고, tyrosinase저해는 $2,000{\mu}g/mL$의 농도에서 뿌리 추출물이 62.01%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00{\mu}g/mL$의 농도에서도 57.70%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가죽나무는 한방생약자원으로 이용되는 뿌리(저근백피) 이외에도 잎은 높은 SOD 유사활성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며 줄기에서도 뿌리보다 높은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 및 유사한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유용한 한방생약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 홍주연;남학식;이양숙;윤경영;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13-419
    • /
    • 2006
  • 뜰보리수 열매의 식품영양학적 평가의 일환으로 추출용매별, 추출농도별에 따른 전자공여능, linolen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SOD유사활성,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Linoleic acid system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 또한 높아졌고, 물 추출물 보다는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SOD 활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타나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저해정도는 물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낮을 때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추출물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다. 각 추출물과 pH의 변화에 따른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한 결과는 pH가 낮을수록 농도가 증가할수록 소거효과는 높게 나타났고, 물 추출물의 pH 1.2에서 77.35%로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도 물 추출물에서와 같이 pH가 낮을수록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다.

추출용매에 따른 겨우살이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istletoe Extracts from Viscum album L.)

  • 주민정;도정룡;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29-534
    • /
    • 2009
  • 추출용매 및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 겨우살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겨우살이는 microwave 방법으로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뒤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시 원재료(slice) 추출물에 비해 분말상태(powder) 추출물의 polyphenol 함량이 높았다. 특히 50% 에탄올 추출구에서 물과 100% 에탄올 추출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 작용 역시 분말(powder) 상태의 겨우살이 추출물에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활성은 90% 이상으로 기준물질인 L-ascorbic acid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아질산염은 전자공여능과 총 폴리페놀함량과 마찬가지로 원재료(slice)보다분말(powder) 추출구에서 더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pH의 증가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SOD는 40% 이하의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tyrosinase 역시 20% 이하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겨우살이 추출물은 SOD 유사활성 및 tyrosinase 저해효과는 높지 않지만 우수한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출 시 시료의 양이나 추출물의 농도를 조금씩 높여준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Protective Effect of Kaempferol on Cultured Neuroglial Cells Damaged by Induction of Ischemia-like Condition

  • Son, Young-Woo;Choi, Yu-Ran;Seo, Young-Mi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9-347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induced by ischemia-like condition (ILC) in cultured neuroglial cells (C6 glioma cells). The protective effect of kaempferol (KAE), flavonoid against the cytotoxicity induced by ILC induction was assessed. In addition, antioxidative effects of KAE were done by colorimetric assays. Cell viability and the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ipid peroxidation (LP) were analyzed. ILC induction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XTT_{90}$ value (low cytotoxicity value) and $XTT_{50}$ value (high cytotoxicity value) were determined during ILC induction for 15 and 40 minutes, respectively. The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tioxidan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damaged by the ILC-induced cytotoxicity. In the protective effect of KAE on ILC-induced cytotoxicity, KAE protected the ILC-induced cytotoxicity by the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and also it showed DPPH-radical scavenging ability, SOD-like ability and inhibitory ability of LP.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LC induction showed cytotoxicity in these cultures and the oxidative stress is involved in the ILC-induced cytotoxicity. While, KAE prevented ILC-induced cytotoxicity by antioxidative effects. In conclusion, natural products like KAE may be a putative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such as ischemia.

성숙도에 따른 대추(Ziziphus jujube Miller)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변화 (Change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Ziziphus jujube Miller Fruits During Maturation)

  • 홍주연;남학식;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12-719
    • /
    • 2010
  • 본 연구는 한방 약용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추의 효능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추 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각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추 추출물의 수율은 미숙 대추가 가장 낮은 11% 내외의 수율을 보였으며, 완숙 대추가 미숙 대추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율을 보였고, 건조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55.67, 65.95%이었다. 대추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모두 미숙 대추에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았고, 10.0 mg/mL의 농도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같이 9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 하였으나, 미숙 대추의 열수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SOD 유사활성능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능은 미숙 대추 추출물의 10 mg/mL의 농도에서는 39.92%의 SOD 유사활성능을 확인되었다. 대추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와 추출물의 1.0 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미숙 대추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미숙 대추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실험에 사용한 시료인 미숙 대추, 완숙대추, 건조 대추에는 항산화 물질의 대표적인 폴리페놀 물질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로서 항산화성도 우수한 것으로 보여 천연항산화제나 기능성 식품 및 다양한 식품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용매에 따른 양송이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garicus bisporus Extracts as Affected by Solvents)

  • 임태수;도정룡;권오준;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83-388
    • /
    • 2007
  • 갈색과 흰색 양송이를 열수, 50% 에탄올 및 100% 에탄올 등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건물 중량의 10배에 해당되는 부피(w/v)일 때,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전자공여 작용의 경우 갈색양송이의 50% 에탄을 추출물에서 66.54%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갈색양송이의 열수 추출물이 55.42%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Tyrosinase저해활성의 경우 두 종류 모두 100% 에탄을 추출물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갈색양송이가 흰색양송이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비교물질인 0.1% L-ascorbate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총 폴리 페놀 함량의 경우 두 종류 모두 열수 추출물보다 50%, 100% 에탄을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한 결과 pH 1.2일 때 갈색양송이와 흰색양송이 모두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변화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 강보라;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89-394
    • /
    • 2006
  • 본 연구는 일반현미와 발아현미의 항산화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반현미와 발아현미 2종(2.5 mm 발아, 5 mm발아)의 총 메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과 nitrite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발아정도에 따라 활성이 달라졌다. 각 시료의 총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차이를 이용하여 hexane, EtOAc, 물로 분획하고 다시 각 분획물의 SOD 유사활성 및 nitrite 소거능을 측정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분획물에서 발아가 더 많이 진행될수록 SOD유사활성이 증가하여 특히 5 mm 발아현미의 hekane 분획물과 EtOAc 분획물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 50 ppm의 74.1%보다 우수하였으며, vitamin C 100 ppm의 94.0%과 유사한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EC_{50}$ 값 역시 발아정도에 따라 크게 낮아졌으며, 특히 vitamin C의 $EC_{50}$ 값이 38 ppm이었으나, 5 mm 발아현미의 EtOAc 분획물의 $EC_{50}$ 값은 17 ppm으로 분획물임에도 불구하고 vitamin C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 활성을 가졌다. Nitrite 소거능은 현미와 발아현미 모두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pH 1.5에서 물분획물의 $IC_{50}$ 값은 현미 325 ppm, 2.5 mm 발아현미 120ppm, 5 mm 발아현미 122 ppm으로 현미와 발아현미간의 차이는 컸으나, 2.5 mm 발아현미와 5 mm 발아현미간의 차이는 적어 발아에 의해 더 낮은 농도에서 nitrite 소거능을 가지게 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hexane 분획물과 물분획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각각 9.88, 30.8 및 46.5 mg/kg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CCA 구성 성분은 방부목재로부터 환경 중으로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성분들이 인간과 생태계에 미칠 악영향을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을 것으로 판단된다.상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모든 결과로 볼 때 율무의 추출 효소는 chymotrypsin-like serine protease에 속하는 혈전용해효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smotic control group(A/B 25)에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후기당화합물이 첨가된 경우에 SEM상 분리된 세포사이이음(intercellular junction)과 융합된 미세융모를 관찰할 수 있었다. BSA의 투과성은 일 주 배양 후 A30 dish에서만 일 주 배양 후 B5 dish에 비해 19%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론 : 사구체 상피세포의 HSPG 형성의 감소에 고농도의 당과 후기당화합물은 서로 부가적인 역할을 하고 후기당화합물이 더 큰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HSPG 감소 소견과 더불어 SEM상 장기간 고혈당을 유지하면 사구체 여과기전에서 size-selective와 charge-selective 장벽에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당뇨병에서의 단백뇨의 기전 중 하나로 생각된다. MAR 값은 군간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과체중군(0.76)이 정상체중(0.73) 또는 저체중군(0.73)에 비해 높은 값은 보여주었다. 9. 철분은 과체중군(1.67)이 저체중(0.80) 또는 정상 체중군(0.82)에 비해 영양 질적 지수(INQ)가 높았으며(p<0.0335), 비타민 $B_1$은 정상 체중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영양 질적 지수를 보여주었다(p<0.0452)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of Water Extracts from Ailanthus altissima)

  • 이양숙;최진범;주은영;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13-1119
    • /
    • 2007
  • 한방생명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죽나무(A. altissima)를 대상으로 뿌리와 줄기, 잎을 $80^{\circ}C$의 조건에서 물을 용매로 추출한 가죽나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및 XO 저해 활성과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뿌리(74.83%)>줄기(70.01%)>잎(29.24%)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가죽나무 잎 추출물은 1.0 mg/ mL pH 1.2와 3.0의 조건에서 각각 95%와 89% 이상으로 줄기(55.17%)와 뿌리(33.33%)보다 높은 소거율을 보였으며, 0.5 mg/mL의 농도에서도 각각 93%와 8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에서도 잎 추출물은 26.77%로 뿌리의 3.82%보다 7배 높았으며, 줄기 추출물에서는 SOD 유사활성 효과가 없었다. XO의 저해율은 세가지 추출물 모두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약 90% 이상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yrosin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2.0 mg/mL의 농도에서 잎 추출물이 16.33%으로 뿌리(7.09%)와 줄기(5.21%) 추출물보다 약 2배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가죽나무 잎 추출물은 현재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뿌리와 줄기보다 전자공여능은 낮았으나 뿌리보다 7배 높은 SOD 유사활성 효과와 약 9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가죽나무의 잎 추출물은 약 95%의 XO 저해 활성과 약 16%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뿌리와 줄기보다 저해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가죽나무의 잎에서도 우수한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뿌리뿐만 아니라 잎도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의 원료 및 첨가물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능이버섯 추출물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Sarcodon aspratu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혜진;정성근;도정룡;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64-469
    • /
    • 2015
  • 능이버섯의 수율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효율적 추출조건을 예측하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의 요인 변수를 중심합성법에 따라 설정하여 반응 표면분석을 통해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였다. 능이버섯 추출물의 수율, 전자공여작용, 총 폴리페놀 함량, SOD 유사 활성에 대한 반응표면의 회귀식 $R^2$값이 각각 0.97, 0.90, 0.80 및 0.87로, 수율, 전자공여작용 및 SOD 유사 활성이 각각 P<0.001, P<0.05 및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능이버섯은 요인 변수에 따라 수율은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고, 에탄올 농도에 따른 영향도 있었다. 그 외 종속변수인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 활성은 에탄올 농도에 따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각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의 추출조건의 범위는 superimposing 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78~88 W, 에탄올 농도 39~57%, 추출시간 3.5~9분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