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sobrinu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3초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 및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ral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Leaves)

  • 박경란;강성태;김민주;오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65-12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죽엽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죽엽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76.26%, 조회분 10.61%, 조단백질 5.10%, 수분 6.30%, 조지방 1.73%였고, 비타민 A 및 E의 함량에 비하여 비타민 C 함량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1.66 mg/g, 42.78 mg/g으로 나타났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죽엽 추출물 0.04% 이상에서,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해서는 0.16% 이상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서는 0.02% 이상에서 강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S. mutans, S. sobrinus, P. gingivalis, P. intermedia는 죽엽추출물 0.32% 농도에서 각각 60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죽엽 에탄올 추출물이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죽엽이 구강질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crylic Resin에 혼합된 Polyphosphate가 미생물의 부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OSPHATE MIXED IN ACRYLIC RESIN ON THE ATTACHMENT AND GROWTH OF ORAL BACTERIA)

  • 홍선희;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9-79
    • /
    • 2003
  •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에 polyp를 혼합하지 않은 대조군, 그리고 레진 분말에 대한 polyP(사슬길이 13과 18의 혼합물인 Calgon)의 무게비를 1%로 혼합한 polyP 1%군, 2% 혼합한 polyP 2%군 및 3% 혼합한 polyP 3%군으로 분류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된 각각의 레진과 실험균주 S. mutans GS5, S. sobrinus 6715, S. gordonii G9B및 Challis, 그리고 P. gingivalis 2561과 Candida albicans ATCC90027을 대상으로 레진표면에 대한 미생물들의 부착의 정도, 성장 억제효과 및 접촉각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로 미루어 아크릴릭 레진에 포함된 polyP는 구강 미생물에 대해 직접적으로 강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나 미생물의 부착 특히 우식원인균인 mutans streptococci의 부착을 방해하는 것으로 가늠되며, 이는 polyP의 첨가에 의한 아크릴릭 레진 표면에서 일어난 소수성의 변화가 일부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PolyP가 혼합된 아크릴릭 레진의 장착은 일반적인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된 가철성 장치를 장착한 후 나타날 수 있는 우식 이환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여겨진다.

  • PDF

Combine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Quercus infectoria Galls and Scrophularia striata Aerial Parts for an Anticariogenic Herbal Mouthwash

  • Pooya Falakdin;Dara Dastan;Shabnam Pourmoslemi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4-52
    • /
    • 2023
  • Objectives: Dental caries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human diseases worldwide. The disease initiates with bacterial adherence to the tooth surface followed by the formation of dental plaques. Mutans streptococci and Candida albicans are principal oral microorganisms involved in the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Phytochemicals have been shown to possess promising antimicrobial properties against a wide range of microorganisms and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ntal caries. Herein, we reviewed literature on plants that are traditionally used for their antimicrobial properties or possess promising anticariogenic activity. We selected aerial parts of Scrophularia striata (S. striata) and galls of Quercus infectoria (Q. infectoria) and investigate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riogenic microorganisms. Methods: Water soluble fractions were obtained from hydroalcoholic extracts of S. striata and Q. infectoria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S. sobrinus), and Candida albicans (C. albicans) was evaluated separately and in combination. The extracts were then used for preparing an herbal mouthwash whose stability and tannic acid content were evaluated over 60 days. Results: Q. infectoria gall extract possesses efficient antimicrobial activity that was synergistically enhanced in the presence of S. striata extract. Mouthwash prepared using these extracts showed desirabl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Conclusion: Extracts of S. striata and Q. infectoria galls can be used together for preparing dental products with effective anticariogenic properties. Our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tensive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 when using herbal product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chemical substances.

Streptococcus에 대한 chlorhexidine dihydrochloride와 불화나트륨의 효과 (THE EFFECT OF CHLORHEXIDINE DIHYDROCHLORIDE AND SODIUM FLUORIDE ON STREPTOCOCCUS)

  • 강인성;최남기;김선미;오종석;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0-189
    • /
    • 2004
  • Chlorhexidine dihydrochloride와 불화나트륨은 구강 내 세균을 억제하고 치태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그러나 구강에는 여러 종류의 세균들이 상주하며 이들 물질에 대한 감수성도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chlorhexidine dihydrochloride와 불화나트륨에 의해 Streptococcu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이 억제되었을 때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Streptococcus oralis, Streptococcus salivarius의 증식에 미치는 이들 물질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treptococcus mutans를 8시간 배양하면 와이어에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106.1{\pm}18.1mg$이었으나, $1.0{\mu}M$ chlorhexidine dihydrochloride를 첨가하면 $5.1{\pm}1.5mg$으로 감소되었다(p<0.05). 이 때 배양액의 흡광도도 감소되었다. Streptococcus sobrinus의 배양액 흡광도는 약간 감소되었으나 Streptococcus oralis에서는 감소되지 않았고 Streptococcus salivarius에서는 배양 8시간에 감소되었다가 배양 24시간에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배지에 3.0mM 불화나트륨을 첨가하여 Streptococcus mutans를 8시간 배양하면 와이어에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26.7{\pm}8.3mg$으로 감소되었다(p<0.05). 이 때 배양액의 흡광도도 감소되었다. Streptococcus sobrinus와 Streptococcus oralis에서의 배양액의 흡광도도 감소되었으나 Streptococcus salivarius에서는 거의 감소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Streptococcu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는 chlorhexidine dihydrochloride와 불화나트륨 농도에서 Streptococcus의 여러 종의 감수성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 PDF

보리차(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가 수산화인회석에 대한 우식유발성 세균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ASTED BARLEY TEA ON THE ADHESIVE PROPERTIES ON SALIVA-COATED HYDROXYAPATITE BEADS OF CARIOGENIC MUTANS STREPTOCOCCI)

  • 김영재;김종철;김각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8-624
    • /
    • 2002
  • 시판되는 보리차 3종(티백형 2종 알곡형 1종)이 우식유발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Streptococcus sobrinus가 타액피복 수산화인회석에 부착되는 정도와 이들 세균의 체표소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보리차로 처리하였을 때 수산화인회석에의 부착능과 세균의 체표소수성은 감소하였고 이 값은 보리차의 종류와 처리방법에 따라 상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차에 함유된 활성성분인 catechins와 melanoidins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며 보리차로 전 처리한 수산화인회석에 세균이 부착하는 정도가 감소한 것은 활성물질이 흡착되어 치아표면의 수용체가 세균의 부착소와 작용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치아우식증 병인론의 초기 단계인 부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 보리차가 우식유발 세균의 주요 독력인자 중 하나인 부착능을 억제하므로 보리차가 이러한 세균이 일으키는 치아우식증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아저해농도(亞沮害濃度)의 항균물질이 mutans streptococci의 세포표면성질과 독력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INHIBITORY CONCENTRATIONS OF ANTIMICROBIAL AGENTS ON CELL SURFACE PROPERTIES AND VIRULENCE FACTORS OF MUTANS STREPTOCOCCI)

  • 김영재;한세현;이상훈;장기택;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05-616
    • /
    • 2004
  • 아저해농도(亞沮害濃度)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최소 저해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이하의 농도를 말하는데, 적용된 화학물질의 동력학에 따라 항균물질은 반드시 이러한 농도로 존재하는 시기를 거치게 되며, 아저해농도의 항균물질은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지는 않지만 세균의 대사와 성장에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되어 세포의 성질과 독력인자 발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여러 항균물질의 최소저해농도를 결정하고 아저해농도의 항균물질이 존재 시 세포 성질과 독력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치아우식증의 예방에 대한 화학적 접근법의 효용성을 조사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연구대상 세균으로는 mutans그룹 streptococci 중 두 가지 대표적인 세균종인 S. mutans (S. mutans Ingbritt)와 S. sobrinus (S. sobrinus 6715-7)를 사용하였고 화학물질 8종 (Sanguinaria extract; SG. Chlorhexidine digluconate; CHX, Fluoride; F, Propolis; PP, Hydrogen peroxide HP, Triclosan; TC, Sodium dodecyl sulfate: SDS, Cetylpyridinium chloride; CC) 을 단계 희석하여 배지에 첨가하여 최소저해농도를 구하였으며 아저해농도의 항균물질을 배지에 첨가하여 5% $CO_2$ 존재 하에 $37^{\circ}C$에서 배양하여 이러한 항균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세균과 성장속도, 산생성능, 체표소수성, 수산화인회석에의 부착능, glucan생성능, 세균응집능 등을 비교 관찰하였다. 아저해농도의 항균물질은 세포의 성장과 체표소수성, 타액으로 처리한 수산화인회석에 대한 세균의 부착과 glucan합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12시간 배양 후 S. mutans와 S. sobrinus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최종 pH가 높게 나타나 산생성능이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p<0.05). 세균을 proteinase K로 전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았을 때 보다 세균응집역가가 증가하거나 응집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각각의 항균물질은 아저해농도에서도 알려진 작용기전과 유사하게 세균의 성질에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농도에서도 지속적으로 세균을 억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항균물질의 사용은 치아우식증의 효과적 예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

  • PDF

프로폴리스의 구강구취균에 대한 항균성 (Antimicrobial Effects of Propolis against Oral Microorganisms)

  • 김상아;정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0-375
    • /
    • 2013
  • 구강구취균 4종을 국내산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농도, 열처리, pH의 변화를 통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P. gingivalis KCTC 5352가 다소 프로폴리스에 저항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그 외의 구강구취균에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농도를 조절하여 구강구치균의 민감도를 조사한 결과, 프로폴리스의 농도가 진할 수록 더 빠른 시간에 큰 활성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0.22mg/{\mu}L$ 농도의 프로폴리스를 첨가하였을 경우 4-6시간 안에 대부분의 균이 사멸하였다. TEM을 통해 프로폴리스가 균의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살펴보았으며 프로폴리스를 첨가한 균의 세포막이 얇아지면서 붕괴되고 안의 내부물질이 유출되면서 세포가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0.56mg/{\mu}L$ 농도의 프로폴리스를 사용하여 열처리 후와 pH 조절 후의 프로폴리스의 항균활성을 시험한 결과 열에 안정하지 않고, pH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엽의 5가지 페놀성분과 R-(-)-carvone의 치아우식균 Mutans Streptococci에 대한 항균력 상승효과 (Antimicrobial synergism of Camellia sinensis-isolated five phenol compounds and R-(-)-carvone against mutans streptococci)

  • 송옥희;강옥화;문수현;김민철;한영선;최성훈;이영섭;권동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13
    • /
    • 2016
  • Objectives : Camellia sinensis (Theaceae) possesses a various beneficial effects such as free radical-scavenging, inactivation of urokinase in cancer cell proliferation, antibacterial, and hypotensive. Dental caries is one of the most common oral infectious disease in a human. Oral microorganism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etiology of dental caries. An aberration to this ecology due to dietary habits, improper oral hygiene or systemic factors lead to an increase in cariogenic microorganisms. Cariogenic microorganisms like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encourage the accumulation and adherence of plaque biofilm by metabolizing sucrose into gluc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of Camellia sinensis and R-carvone, monoterpenes, is can be found naturally in numerous essential oils, on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Methods :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se compounds was determined by the broth microdilution method and checkerboard dilution assay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synergistic effects of each five compounds of Camellia sinensis (C. sinensis) and R-carvone.Results : C. sinensis-isolated compounds and R-carvone were determined with MIC of more than 1,000 ㎍/mL. However, the combination test showed significant synergism against S. mutans and S. sobrinus, implicated in the lowered MICs.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binatory application of phenolic five compounds (theophyllin, l-theanine, epicatechin, epicatechin gallate, and caffeine) from C. sinensis and R-carvone has a potential synergistic effect and thus may be useful as a mouthrinse in helping control cariogenic microorganism.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Using Levansucrase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Sucrose

  • Seo Eun-Seong;Lee Jin-Ha;Choi Jae-Young;Seo Mi-Young;Lee Hee-Sun;Chang Seuk-Sang;Lee Hyung-Jong;Choi Jeong-Sik;Kim Doma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5호
    • /
    • pp.339-344
    • /
    • 2004
  • A method for synthesizing branched fructo-oligosaccharides (BFO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sucrose ($1{\~}3$ M) was developed using levansucrase prepared from Leuconortoc mesenteroides B-1355C.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oligosaccharides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method ranged from 2 to over 15. The synthesized BFOS were stable at a pH ranges of 2 to 4 under $120^{\circ}C$. The percentage of BFOS in the reaction digest was $95.7\%$ (excluding monosaccharides; $4.3\%$ was levan). BFOS reduced the insoluble glucan formation by Streptococcus sobrinus on the surfaces of glass vials or stainless steel wires in the presence of sucrose. They also reduced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s of S, sobrinus. Oligosaccharides can be used as sweeteners for foods such as beverages requiring thermo- and acid-stable properties and 3s potential inhibitors of dental caries.

Characterization and bacterial anti-adherent effect on modified PMMA denture acrylic resin containing platinum nanoparticles

  • Nam, Ki-Yo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3호
    • /
    • pp.207-21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synthesis of a modified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denture acrylic loading platinum nanoparticles (PtN) and assessed its bacterial inhibitory efficacy to produce novel antimicrobial denture base material. MATERIALS AND METHODS. Polymerized PMMA denture acrylic disc ($20mm{\times}2mm$) specimens containing 0 (control), 10, 50, 100 and 200 mg/L of PtN were fabricated respectively. The obtained platinum-PMMA nanocomposite (PtNC) was characterized by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EM/EDX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thermogravimetric and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alysis. In antimicrobial assay, specimens were placed on the cell culture plate, and $100{\mu}L$ of microbial suspensions of S. mutans (Streptococcus mutans) and S. sobrinus (Streptococcus sobrinus) were inoculated then incubated at $37^{\circ}C$ for 24 hours. The bacterial attachment was tested by FACS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analysis after staining with fluorescent probe. RESULTS. PtN were successfully loaded and uniformly immobilized into PMMA denture acrylic with a proper thermal stability and similar surface morphology as compared to control. PtNC expressed significant bacterial anti-adherent effect rather than bactericidal effect above 50 mg/L PtN loaded when compared to pristine PMMA (P=.01) with no or extremely small amounts of Pt ion eluted.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synthesis and its antibacterial activity of Pt-PMMA nanocomposite. PMMA denture acrylic loading PtN could be a possible intrinsic antimicrobial denture material with proper mechanical characteristics, meeting those specified for denture bases. For clinical application, future studies including biocompatibility, color stability and warranting the long-term effect were still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