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100 standard

검색결과 981건 처리시간 0.028초

Application of S-100 Standard in the field of e-Navigation

  • Oh, Se-Woong;Kim, Ho-Yoon;Suh, Sang-Hyun;Kim, Sun-Yo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5-112
    • /
    • 2012
  •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S-57 standard,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IHO) has developed S-100 standard, a Universal Hydrographic Data Model(UHDM) expanded from ISO 19100 series standard to hydrographic area, and is in the process of its implementation.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has established CMDS based on e-Navigation strategy data standard a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ighthouse Authorities(IALA) established IHDM based on aids to navigation data standard and each data standard is linked with the S-100 standard. Fundamental concept and core principles of S-100 standard is suitable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a wide range of hydrographic data and service production standard, including the next generation ENC, but also the development of product specification of non-hydrographic area. This study has examined the operation principle of S-100 standard and analyzed its implementation process as e-Navigation data in relation with ENC. It also noted the utilization of S-100 standard based e-Navigation and its potential effect via examining the development cases of S-100 standard-based product specification, such as nautical publication, ship reporting and pilot request, digital routing guide, tide and water level transmission and other important data cases of e-Navigation field.

S-100 표준 동향 및 적용사례 연구 (A Study on the trend and applications of S-100 Standard)

  • 오세웅;박종민;서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90
    • /
    • 2011
  • 국제수로기구는 수로분야의 다양한 자료를 일관되게 생산하고 활용하기 위한 범용 데이터 표준인 S-100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수로분야 데이터 표준을 개발 중에 있다. 수로분야 데이터 요구사항 수용을 위해 포함 내용을 수정하였으며, 제품 표준을 위해 미진한 부분을 상세화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S-100 표준의 개발현황과 요구사항에 따른 수정내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S-100 표준을 이용한 적용사례 분석을 통해 활용방안을 작성하였다.

  • PDF

전자해도에 대한 메타데이터 변환 시스템 연구 (Study to Exchange Metadata of Maritime electronic chart)

  • 강동우;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3-184
    • /
    • 2011
  • 해양에서 대형 선박의 운항은 국제 규격을 갖춘 전자해도 시스템을 활용하므로, 전자해도 표준은 안전 항해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현재는 전자해도 표준을 국제수로기구(IHO) S-57을 따르고 있으나, 새로운 해양표준안으로 S-100 제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10년 IHO에서는 해양데이터 표준안으로 S-100으로 채택하기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S-57 기반으로 만들어진 전자해도는 S-100 표준에 따라 변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S-57 레코드 및 필드를 분석하여 S-101의 Metadata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 PDF

S-100 표준이 VTS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100 Standard on VTS)

  • 오세웅;심우성;서상현;김선영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7-509
    • /
    • 2012
  • 국제수로기구는 수로정보의 표준화와 활용성 증진을 위해 ISO 19100 시리즈 GIS 표준을 수로분야로 확장한 S-100 표준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S-10X 표준을 개발 중에 있다. 국제해사기구는 해사안전과 해양환경 보호를 위해 e-Navigation 전략을 추진 중에 있으며, e-Navigation 전 분야에 대한 정보화 표준 모델인 CMDS를 정의하고 S-100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e-Navigation 전략 추진 대상 영역을 해상부분, 네트워크부분, 육상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VTS는 육상 관제센터로서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100 표준 도입이 국제해사기구의 e-Navigation 전략을 통해 VT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고, 향후 우리나라 VTS가 e-Navigation 전략 하에서 업무 고도화 및 기능개선을 위한 수로분야 협력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S-100 기반 항해지원시스템 설계 연구 (Design of Navig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S-100 Standard)

  • 오세웅;심우성;김선영;이문진;서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7-118
    • /
    • 2012
  • 수로데이터 기술표준이 S-57에서 S-100으로 변경됨에 따라 국가 해사안전정보 제공기관은 차세대 전자해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사안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화 체계가 마련되었다. S-57 전자해도를 표시하고 항해지원 기능을 제공하는 ECDIS는 S-100 표준의 출현으로 신규 표준에 대한 고려가 요구되며, 이를 통해 S-10X 데이터 및 e-Nav 정보가 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S-100 기반 항해지원시스템 설계를 위해 S-100 표준기술의 운용 메카니즘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계 세부 결과를 수로데이터 로딩 모듈, SENC 표현 모듈, 항해지원 모듈로 구분하여 정리 하였다. 본 시스템의 입력 자료로 예상되는 S-10X 데이터는 차세대 전자해도, 해저지형 그리드 데이터, 전자항해서지 등을 반영 하였다.

  • PDF

S-100 표준 기반 해양 사고 데이터 모델 설계 (A Design of Data Model for Marine casualty based on S-100)

  • 김효승;문창호;이서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69-775
    • /
    • 2017
  • 국제해사기구의 이내비게이션 전략은 선박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보다 편하고 안전한 항해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내비게이션 전략에 맞춰 선박에는 다양한 장비가 도입되고 육상의 시스템과 연계한 시스템 구조를 가지게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시스템간의 공통 데이터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국제수로기구가 개발한 S-100 표준이 선정되었다. 본 논문은 이내비게이션 전략의 공통 해사 데이터 구조인 S-100 표준을 기반으로 해양 사고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다. S-100 표준의 데이터 모델은 UML의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설계되며 최종 인코딩은 GML/XML의 형태를 따른다. S-100 표준과 현재 개발 중인 제품 사양에 대해 살펴보고 해양 사고 데이터의 S-100 표준 기반 데이터 설계와 포트레이얼 정의를 기술하였다.

해양안전정보의 S-100 표준 기반 표출 프로세스 분석 및 실험 (Analysis and Experiment of Portrayal Process based on S-100 Standard of Marine Safety Information)

  • 김효승;문창호;이서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289-1296
    • /
    • 2018
  • 국제해사기구에서 추진하는 이네비게이션은 해양 안전과 보안, 해양환경보호를 목적으로 선박과 육상 측에 필요한 해양 관련 정보를 전자적인 수단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국제수로기구 S-100 표준은 공통된 데이터 구조로써 다양한 수로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지리 공간 표준이다. S-100 표준을 기반으로 전자해도를 위한 S-101을 비롯하여 다양한 명세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100 기술의 구현에 관심 있는 개발자들의 어려움을 도와주기 위해, 선저여유수심관리 데이터모델을 기준으로 S-100 데이터 표출 프로세스 분석하고 그 결과에 대한 사례를 구현했다. 데이터 표출 프로세스는 데이터 인코딩과 표출엔진으로 구성되며, 데이터 인코딩은 응용 스키마 생성과 데이터 셋 생성과정을 포함한다. 표출엔진은 생성된 데이터 셋의 형식변환과 XSLT 처리과정, 드로잉 명령집합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차세대 전자해도 표준의 배포방안 및 응용방안 (The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Method of Next-Generatio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 Standards)

  • 김성곤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5-11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S-100 범용수로데이터모델(Universal Hydrographic Data Model)로 대별되는 차세대 전자해도가 e-Navigation 서비스 전략 지원은 물론이며 다양한 해양 정보,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수용 할 수 있기 위한 차세대 전자해도 목적 다양성을 지원을 위한 표준화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IMO는 공통 해양 데이터 구조(Common Maritime Data Structure)로 IHO의 차세대 전자해도 표준인 S-100을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e-Navigation 실현을 위한 핵심 요소로 공통 데이터 모델이 필요함을 뜻하는 것으로써 e-Navigation은 해양안전뿐만 아니라, 해양 정보 및 서비스 관점에서도 새로운 ICT 융합 패러다임의 도입이 필요함을 적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MO는 공통 해양 데이터 구조로 활용되고 있는 S-100 표준의 내용 및 활용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모델 기반 데이터 표현 및 참조 모델에 대해 살펴보고 S-100 표준의 프로파일 기준 표준으로써 활용되었던 ISO/TC211 표준의 구성 및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목적 다양성을 지원하는 차세대 전자해도 표준화를 위해 요구되는 표준화 항목이 무엇이며 상호간에 어떻게 연관되어 활용되는지 살펴본다.

  • PDF

S-100 범용수로데이터모델 제품표준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100 based product specifications)

  • 고현주;오세웅;심우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7-318
    • /
    • 2013
  • 국제수로기구(IHO)에서는 항해안전을 위한 다양한 수로데이터 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범용수로데이터모델 S-100 표준을 간행한 바 있으며, 이러한 S-100표준은 레지스트리(등록소) 개념 도입을 통해 보다 다양한 수로분야의 데이터 관리 및 폭넓고 다양한 응용분야로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하고 체계적인 S-100표준을 활용하고 국제수로분야에 기여하기 위해 해사안전분야에 관한 S-100기반의 제품표준을 시범적으로 개발하여 공통피쳐모델에 따른 응용스키마를 설계하였고 이를 간이용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여 피쳐 카탈로그를 생성하였다.

  • PDF

S-100 표준 기반 해양 GIS 소프트웨어 국산화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items of Korean Marine GIS Software Based on S-100 Universal Hydrographic Standard)

  • 이상민;최태석;김재명;최윤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28
    • /
    • 2022
  • 현재 우리나라 해양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 처리 제품 및 기술은 외산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존하고 있어, 갱신 비용 문제, 기술적 업데이트 문제, 특성 미반영 문제 등 다양한 장애 요소들이 존재한다. 한편 해양 GIS 데이터 처리를 위해 S-57의 문제점을 보완한 차세대 수로데이터 모델인 S-100 표준이 공통 해양 데이터 표준으로 선정되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해양 GIS 기술의 현황 및 문제점 진단과 국제수로기구(IHO :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의 차세대 수로데이터 모델 S-100 표준을 기반으로 GIS 소프트웨어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해양 GIS S/W 기술을 외산기술에 의존하고 있으며 한국형 해양 GIS 특화정보에 맞는 적용 기술이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형 S-100 기반 해양 GIS 국산화 기술 개발 및 산업생태계 조성방안 연구를 통해서 한국형 GIS S/W개발 방향인 한국에 특화된 해양정보 가공 및 처리·분석도구 개발을 위한 맵핑 원천기술 개발과 해양 GIS 표준 프레임워크 제공을 통한 해양산업 생태계 기반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형 S-100 기반 해양 GIS 국산화 기술은 해양영토 관리, 해양자원의 개발 및 이용 등 타 국가 또는 타 분야와 발생 되는 정책적 문제에 대해 과학적인 의사결정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