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Settlement System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5초

지오그리드와 말뚝으로 보강된 성토지반의 보강 및 아칭효과 연구 (Reinforcement and Arching Effect of Geogrid-reinforced and Pile-supported Embankments)

  • 오영인;신은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0호
    • /
    • pp.5-16
    • /
    • 2005
  • 토목섬유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공법은 기존 성토지지말뚝공법의 말뚝간격처리 및 말뚝캡 면적문제를 개선하며 효과적으로 지지력을 보강하고 특히 전체침하 및 부등침하 감소시킬 수 있는 공법으로 최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공법의 보강 및 아칭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지오그리드 보강유무, 말뚝간격변화에 따른 현장모형실험과 2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적 연구는 범용 유한차분해석 프로그램인 FLAC 2-D를 사용하였으며, 지반-말뚝-지오그리드의 하중전달 메카니즘에 대하며 분석하였다.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의 하중전달은 성토제체 내의 아칭효과, 지오그리드의 인장, 말뚝으로의 응력전이 등의 과정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현장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오그리드의 보강에 따라 아칭효과는 미소하게 감소하지만, 부등침하는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b=3(D: 말뚝캡 간격, b: 말뚝직경)일때 무보강 지반에 비하여 $40\%$의 침하가 감소하며, D/b=6이상일 경우는 지오그리드에 의한 하중전이가 발생하지 않아 보강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농업단지 주요경관요소의 물리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Management of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 안필균;공민재;이상민;김상범;조정래;김남춘;신지훈
    • 농촌계획
    • /
    • 제26권2호
    • /
    • pp.107-116
    • /
    • 2020
  • Up to date, the majority research on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ractice of seeking efficiency. The problem is that this type of study contributes to pollut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damaging the ecological circul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organic farming, but it is not widely applied that research on how to manage the landscape considering the scenic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practicing organic farm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conservative aspects of rural landscapes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landscape of organic agriculture and, intended to be used to maintain and preserve natural and ecologically harmonious landscapes by deriving management methods suitable for landscape elements targeting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of the organic farming complex. To carry out, this study performed the experts survey which is composed of 13 major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rice paddies and fields, monoculture and diverse crops, dirt roads, windbreak trees, accent planting, dum-bung(small pond), natural small river, natural waterways, plastic film houses, one-storied houses, and pavilion. As a result, Farm land was formed in a square shape, concentrated in an independent space, planted companion plants around the crop, and covered with plants to manage the borders. As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aspart road system circulating through the village, the evergreen broad-leaved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ultivated land, and the accent plant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were suitable. The hydrological environment consists of Round small pond made of stone in an open space, natural rivers around the village, and natural channels around the farmland, and The Major facilities are suitable for greenhouses that are shielded by plants in independent regions, and wooden duck houses located inside the cultivation area are suitable and The settlement facilities were analyzed to be suitable for single-story brick houses located in independent residential areas, pavilion located with greenery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and educational spaces shielded with wood from arable land. If supplementary evaluation criteria suitable for the management of organic farming landscape are additionally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landscape value of ecologically superior organic farming.

농촌중심마을의 공간적 입지-배분 모형의 개발(I) - 모형의 개발 및 검증 - (Development of a Spatial Location-Allocation Model of Center Villages (I) -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Model -)

  • 김대식;정하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2-121
    • /
    • 2001
  • In this study, a spatial location-allocation model of center villages (SLAMCV) was developed for selecting spatial center villages and allocating their rear villages. In SLAMCV, rural space was considered as a network with villages for nodes and roads for connecting lines. For quantification of residents’ accessibilities in the network, a disutility index (DUI) was developed and used, which is dependent upon travelling distance between the center and its hinter villages, design vehicle speed in connecting road and population of hinter villages. SLAMCV was verified to Christaller’s hexagonal hierachical settlement system to test the theoretical reasonability and computing algorithm of the model.

  • PDF

지오콤을 이용한 사면녹화공법의 현장적용 사례 (Case Study of Slope Protection Method using GeoComb)

  • 오영인;김성환;유중조;심진섭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974-97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egetation on the cutting slope applied by vegetation system in the whole land.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lop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face mapping and physical tests. From the statistical methods, a relationship between a geologic stratum and degree of covering was independent. Therefore, the afforestation of slope was affected more by condition of vegetation as direction and opening of joints, and a topsoil state than by conventional classification of layer. It was concluded that the adjustable vegetation on the slope considering condition of geometric shape of slope, joint data and spontaneous type could make useful early afforestation.

  • PDF

귀농인들의 정착 과정을 위한 스마트팜 메타버스 게임 (Smart Farm Metabus game for Settlement Process of Returning Farmers)

  • 이고은;김윤섭;문영성;임효택;박성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93-10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예비 청년귀농인들이 귀농을 희망하지만 여러 가지 현실의 벽에 부딪혀 자신의 꿈을 진행시키지 못하는 이들이 더 없도록 하기 위해 게임으로 귀농의 과정을 녹여내고 안정적으로 귀농생활에 정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임에는 농사 시스템으로 밭, 비닐하우스, 자동화 시스템, 스마트팜의 순서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이 원하는 작물을 초반 레벨에서도 키울 수 있도록 설계했으며, 공동체 시스템을 넣어 농촌은 개인주의 생활이 아닌 공동체 생활이라는 점을 부각하였다. 공동체 시스템에 실제 지자체나 정부에서 제공하는 지원 혜택이나 정보를 넣어 예비 귀농인들이 자연스럽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전통마을 여가공간의 보행동선 분석 - 외암민속마을을 사례로 - (Visitor Circulation in Leisure Spaces using Space Syntax - Focusing on Ouam Traditional Folk Village -)

  • 송나균;여정태;고동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09
  • 여가공간에서의 경험은 이용객들이 움직이는 동안 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형성된다. 이용객의 움직임은 획득하는 지식과 정보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이용객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동선은 시설이용을 용이하게 하여 쾌적하고 활력적인 공간을 조성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합리적인 동선계획은 공간의 이용 및 활성화,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궁극적으로 공간의 이용가치를 증대시키는 수단이고, 무질서한 동선체계는 길찾기(wayfinding)의 어려움으로 인해 부정적 경험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여가공간의 공간구조 지표와 보행량의 상관관계, 방문객의 움직임 등 보행동선 체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인 외암마을은 민속마을로 지정되어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전통마을로 정주공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연구 결과, 외암마을의 보행동선 구조는 전형적인 트리(tree)구조를 지니고 있어 자연스러운 동선을 형성하고 있지만, 여가공간의 측면에서는 공간의 인지도가 낮아 방문객들이 공간체험 시 길을 잃을 위험이 많고, 경제적인 관람을 유도하기가 어려운 구조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정주공간인 전통마을이 여가공간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는 추가적으로 보행체계의 조정과 보충이 필요하다. 또한, 공간구문론은 다른 유형의 여가공간에서 공간구조 및 보행체계 분석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한국 행정구역체계의 문제점과 개편의 방향 (Problems of administrative area system in Korea and reforming direction)

  • 임석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5-83
    • /
    • 1994
  • 현행 행정구역체계의 기본골격은 조선시대와 일제초기에 만들어질 것으로 그간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및 교통, 통신의 발달에 제대로 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 편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현행 행정구역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을 전체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의 합리적인 개편의 기본원칙과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현행 행정구역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주민에 의해 자생적으로 형성된 실질적 공간체계와 관련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질적 공간체계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국토공간계획의 차원에 서 지역적 형평과 균형의 원리와 함께 중심도시와 배후지의 통합, 생활권의 계층체계와 행 정계층의 일치, 생활권의 범위와 행정구역의 일치 등을 원칙으로 한 행정구역개편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PDF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gro-healing in Korea)

  • 김경미;문지혜;정순진;이상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909-936
    • /
    • 2013
  • 이 연구는 최근 네덜란드와 벨기에 등 농업분야 선진국에서 관심과 투자가 증대되고 있는 치유농업(Agro-healing)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우리나라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을 통해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치유농업 선진국의 정책과 제도, 조직, 관련 법, 인력 등에 대한 문헌분석(내용분석)을 하였으며, 농업, 건강, 교육, 원예 및 동물 매개치료, 민간, 농업정책 집행 분야별 전공 교수, 연구원, 대표 및 담당자 9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치유농업 분야 종사자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치유농업의 개념은 '농업 농촌자원(식물, 동물, 농촌환경, 농촌문화) 또는 이와 관련된 활동 및 산출물을 통하여 모든 국민의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인지적 건강을 도모하는 산업 및 활동'으로 정의하였으며 정립된 개념과 연계하여 치유농업의 목적, 자원, 대상을 설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치유농업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공공성 회복을 통한 지방 소도시 구도심재생 연구 - 역사, 문화, 생태 도시 완주군 고산을 사례로 - (Urban Regeneration of Old Town in the Rural City by the Recovery of Publicness - Focused on the Example of the History, Culture, Eco City, Gosan, Wanjoo -)

  • 윤성훈;윤희진
    • KIEAE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83-92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the urban regeneration by constructing contemporary publicness. Beginning with researching on the theoretical fundamentals about publicness and urban regeneration, it introduces the example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ness in the contemporary urban architecture, and finally simulates a model for the formation of space through a real work. Method: The study is partially based on the Executive Urban Project, 'Masterplan to make New Taekrigi : Gosan', which was planned in 2013 to suggest a strategic settlement layout for urban regeneration. Making architectural ideas permeated into the model of urban planing,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of initially pursued concepts to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we could encounter a new type of formation of urban space, coinciding with the historical, cultural ecological contexts. Result: The expected result of the study intends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public space and urban structure, also ultimately to produce a urban system as 'space generator' to fulfill the social needs and its requirements.

Interaction assessment and optimal design of composite action of plastered typha strawbale

  • Olatokunbo, Ofuyatan;Adeola, Adedeji;Maxwell, Omeje;Simon, Olawale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221-231
    • /
    • 2017
  • The concept design of the typha strawbale masonry came up as a result of the urgent demand for a means of constructing sustainable buildings, both in rural and urban settlement, not only suitable for dwellers but for keeping farm products by structures that will respond to the environmental eco-system, coupled with the fact that such structures are also affordable, durable and easy to maintain during their service period. The effects of contact between plaster and the stacked strawbale of a masonry needs to be established and design optimization for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masonry be obtained. The assessment will involve the application of plaster materials (cement and natural earth) to the wall specimen panels. Past works have shown that plastered strawbale walls have adequate resistance against the appropriate vertical loads, and further showed that the earth plaster can bear higher stress than the cement plastered straw bale. There is the implication that the collapse or response of the earth-strawbale wall i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at of cement-strawbale from other straw-based masonries. Therefore the allowable stresses of plastered typha strawbale shall be predicted for their optimum values using SAP2000. The stress stability of each masonry is obtained by analytical model using the best fit variables for the wall height and thick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