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Visitor Circulation in Leisure Spaces using Space Syntax - Focusing on Ouam Traditional Folk Village -  

Song, Na-Guen (Korea Rural Community and Agriculture Corporation)
Yeo, Jeong-Tae (Dept. of Tourism and Hospitality,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Ko, Dong-Wan (Dept. of Tourism and Recreation, Kyonggi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7, no.1, 2009 , pp. 1-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User move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the acquir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space contexts. A reasonable circulation plan affects the spatial usage, space revitalization, and activity satisfaction, and is ultimately a means to increase spatial usefulness. On the other hand, a disorderly circulation system causes negative experiences due to difficulties in wayfinding.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a pedestrian circulation system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index and pedestrian movement, and visitors' movement in the leisure space by using Space Syntax. The research area, Ouam-ri, where numerous guests visit this designated folk village, is a typical case in which a settlement space is used as a leisure space. There was a great deal of risk that visitors would get lost while wandering through the space. Also, it is difficult to induce visitors to tour economically even though the pedestrian circulation configuration of Ouam-ri forms the natural moving line because of its typical tree structure. Additionally adjusting and to supplementing the pedestrian system is required in order for the traditional village, a settlement space, to be used as a leisure space.
Keywords
Spatial Configuration; Circulation System; Settlement Space; Tree Structure; Wayfind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원, 이규목(1997) 공원계획과 설계. 조경연구회
2 김형국(1997) 한국공간구조론. 서울대학교출판부
3 신행우(2003)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 공간구조 분석. 대한건축학회지 23(2): 767-770
4 이규인(1993) 공동주택단지 공간구조의 분석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임현식, 김영욱(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보행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1): 551-554
6 최재필, 이기완(2002)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범죄 취약공간 해석에 관한 연구 -아파트단지 주호 절도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8(3): 53-61
7 Down, R and D. Stea(1973) Cognitive Maps and Cognitive Maps: Press and Product. In Roger eds. Image and Environment: Cognitive Maps and Cognitive Maps. Aldine
8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9 Werner, R.(1984) Orientation in the built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Systems 13(4): 291-301
10 양승정, 박용환(2005) 길의 구조로 본 한국전통마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7): 39-48
11 유신영(1996) 건축 평면 구조가 건물 이용자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2(6): 105-112
12 이규인, 이광노(1993) 공동주택단지 공동공간의 공간구조 분석 및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9(2): 107-114
13 Berg, Mary and Elliott A. Medrich(1980) Children in four neighborhoods-The physical environment and its effect on play and play pattern, Environment and Behavior 12(3): 320-348   DOI   ScienceOn
14 박인환, 정보광, 장갑수(2007) 공간구문론과 ERAM 모델을 활용한 대학 캠퍼스 내 '소로'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5(4): 32-39
15 안은희, 강석진(2002) 대규모 지하 상업공간에서의 보행자의 움직임과 경로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9): 21-28
16 강성래(2002) 공간구문론에 의한 가로배치 형태와 상업분포패턴의 상관성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권영환(2001) 도시의 공간구조와 움직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1(1): 431-434
18 장동국, 박강철(2000) 공간구문모델에 의한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조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6(1): 33-43
19 윤용우(2005) 공간형태와 공간인식: 공간인식에서 공간깊이와 물리적인 거리의 역할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Gold, Seymour M.(1980), Recreation Planning and Design, McGraw-Hill
21 이규인(1995) 공동주택단지 동선의 사회적 특성과 통행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학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1(1): 113-121
22 Hillier, B., A. Hanson, J. Grajewski T., and J. Xu(1992) Natural movement: or, configuration and attraction in urban pedestrian movement.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0: 29-66   DOI
23 이규목(1987) 도시속의 길. 공간
24 김승재(1988) Space Syntax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4(3): 149-156
25 권영환, 최윤경(2003) 도시공간구조의 보행자 움직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9(1): 89-96
26 이규인(1996)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동선체계 합리화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27 Passini, R.(1984) Wayfinding in Architecture. New York NY: Van Noatrand Reinhold
28 김영욱(2000) 공간형태와 공간인식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6(10): 37-44
29 김찬주(2002) 옥외공간의 공간구성 연계성에 따른 아파트 거주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최윤경, 민병호(1998). 공간 구조와 학습이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 53-60
31 김지은(2003) 공간구문과 이용자 움직임을 고려한 지하 복합상업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Hillier, B. and J. Hanson(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 Press
33 이중구(1998) '여가문화와 놀이'. 대경
34 Hillier, B.(1996)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35 김영욱(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구조속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 38(4):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