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us coreanus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초

복분자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유옥경;김지은;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92-797
    • /
    • 2008
  • 복분자 젤리의 최적 레시피를 개발하고자 복분자 추출액, 복분자 향, 설탕, 물엿의 함량을 달리한 시료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texture, 색도, 관능평가 등과 같은 품질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반성분은 수분이 19.0%, 조단백질이 0.8% 이었으며, 조지방 및 조회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복분자 젤리의 texture는 복분자 추출액 양이 적은 제품이 복분자 추출액 양이 많은 제품보다 경도, 검성, 탄력성, 응집성 및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L값은 복분자 추출액의 양이 적은 제품과 설탕 함량이 많은 제품이 복분자 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은 제품과 설탕 첨가량이 적은 제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b값은 복분자 추출액 또는 설탕의 첨가량이 많은 제품이 적은 제품보다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항목 중 향미, 색도, 당도, 경도(씹는 느낌), 끈적임, 전체적인 기호도를 모두 충족시키는 최적의 레시피는 물 240 g, 설탕 120g, 물엿 110 g, 한천 4 g, 복분자 추출액 20 g, 복분자 향 0.3 g으로 제조하는 B 제품으로 사료된다.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로부터 Helicobacter pylori Urease Inhibitor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licobacter pylori Urease Inhibitor from Rubus coreanus Miquel)

  • 양성우;호진녕;이유현;신동훈;홍범식;조홍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69-777
    • /
    • 2004
  • 위염과 위궤양의 일차적 발병 인자로 알려진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을 억제하고 urease 산물인 암모니아의 축적에 의한 위점막 손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복분자로부터 H. pylori urease저해물질을 분리정제하고 소재화와 관련된 일부 성질을 규명하였다. 양념 채소류, 차류, 죽류, 건강채소류등의 식용식물, 약용식물, 허브 및 해조류, 총 173종으로부터 극성도에 따라 계통추출한 수용성인 냉수추출물(Fr, 1), methanol 추출물(Fr.4), 열수추출물(Fr.5) 519점을 대상으로 H. pylori urease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1차 및 2차 저해활성 검색 결과 복분자의 70% acetone추출물이 약 24%의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추출물을 ethyl acetate와 butanol을 사용하여 ethyl acetate/DW layer(RCE/RCWl)와 butanol/DW layer(RCB/RCW2)로 순차 분획한 후 활성획분인 RCW2 내의 활성 본체를 확인할 목적으로 periodate oxidation과 pronase digestion을 실시한 결과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성 물질로 판명되었다. 저해활성 물질은 DEAE-Toyopearl 650C, Butyl-Toyopearl 650M 및 Sephadex LH-20순의 column chromatography에 의 해 분리 정제되었다. 분리 urease 저해물질, RCW2-IIIc $\alpha$는 HPLC의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비교적 순도 높은 분자량 약 13 kDa의 단일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저해활성물질은 열에 안정성을 보이 는 내열성 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고 위내 단백분해효소인 pepsin에도 가수분해 저항성을 나타냄으로써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높은 소재화 적성을 보였다.

특용작물:복분자의 화학적 특성 및 복분자 부위별 (잎, 열매, 줄기) 추출물을 이용한 농업해충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한 살충효과 연구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s (Leaves, Fruits and Stems) against Three Agricultural Insect Pests, Myzus persicae, Plutella xylostella and Spodoptera litura)

  • 이희권;이회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49-857
    • /
    • 2016
  • 복분자 딸기의 숙기별 단계를 미숙기(개화 후 10일), 등숙기(개화 후 25일)로 나누고 복분자 과실 성숙단계별 화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총 페놀함량은 미숙기 복분자 딸기4.00-7.56%, 등숙기 복분자 딸기 3.38-5.57%였다. 복분자 딸기의 유기산으로는 미숙기와 등 숙기 복분자 딸기에 모두 mal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및 oxalic acid를 함유하고 있으며, 복분자 과실의 성숙단계별 총 유기산 함량은 미숙기 복분자 딸기 16.4 mg/100 g, 등숙기 복분자 딸기 28.82 mg/100 g으로 조사되었다. 복분자 과실에 함유된 유기산 중 citric acid 함량은 8.76-15.47 mg/100 g으로 다른 유기산 함량(1.23-5.54 mg/100 g)에 비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복분자 미숙딸기와 완숙딸기에서의 가용성 당 함량은 과실의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등숙기 복분자 딸기의 총 가용성 당은 21.54%로 미숙기의 복분자 딸기 11.07%보다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이는 복분자 과실의 숙기단계별 화학적 특징 비교에 근거하여 총 페놀, 유기산 및 가용성 당 함량이 완숙상태에서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복분자 잎, 열매, 줄기 등 부위별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한 농업해충 3종(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한 살충활성을 본 결과, 복분자 잎추출물이 배추좀나방에 대해 가장 우수한 살충효과의 잠재성을 나타내었다. 앞으로 이들의 구성성분을 이용한 바이오소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LC-DM을 이용한 Rubus속 4종 식물의 Triterpenoid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riterpenoid Contents of the Four Rubus Plants in Korea Using TLC-DM)

  • 남정환;정현주;최종원;김원배;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38권2호통권149호
    • /
    • pp.187-191
    • /
    • 2007
  • The extraction yield of the methanolic extracts and 19${\alpha}$-hydroxyursane-type triterpenoid (19${\alpha}$-HUT) frac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unripe and ripe fruits and the leaves of the four Rubus plants (Rubus coreanus, R. crataegifolius, R. phoenicolasius, R. pungens var. oldhami) to develop the biomaterial 19${\alpha}$-HUT mixture as functional foods. Thin layer chromatogaphy-Densitometer (TLC-DM) was used to analyze the individual quantity of 19${\alpha}$-HUTs using standard compounds (euscaphic acid, tormentic acid, 23-hydroxytormentic acid, kaji-ichigoside F$_1$, rosamultin, niga-ichigoside F$_1$). The content of methanolic extract of the fruits were higher in the ripe stage than in the unripe stage whereas the content of 19${\alpha}$-HUT mixture varied with each Rubus species. The Rubus plants containing the highest amount of 19${\alpha}$-HUTs in the leaves were R. coreanus, R. phoenicolasius and R. pungens var. oldhami while only R. cratagefolius showed the highest content in the ripe fruits. The mean of total genin content of 19${\alpha}$-HUTs was 0.94 mg/g; that of the glycosides was 0.60 mg/g. The genin quantity was found in the order of 23-hydroxytormentic acid> euscaphic acid> tormentic acid; the glycoside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niga-ichig-oside F$_1$> kaji-ichigoside F$_1$> rosmaultin, by which the biosynthetic pathway of 23-hydroxytormentic acid and its glucoside niga-ichigoside F$_1$ via the intermediates tormentic acid and/or rosamultin was presumed.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ripe fruits of R. crataegifolius will be desirable to use as functional foods rather than unripe fruits.

Rubus속 식물에 존재하는 $19{\alpha}-Hydroxyursane-type$ Triterpenoid의 특성과 이용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Utilization of $19{\alpha}-Hydroxyursane-type$ Triterpenoids in Rubus species)

  • 정현주;남정환;임상철;김원배;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63-572
    • /
    • 2006
  • The plant Rubus species (Rosaceae) mainly contains $19{\alpha}-hydroxyurane-type$ triterpenoids $(19{\alpha}-HUT)$ as bioactive components. Available functional food includes blackberry (the fruit of thornless Rubus sp.), red raspberry (R. idaeus) and black raspberry (R. occidentalis). However, the fruit of R. coreanus, which is used in Korea as a functional food, substitutes black raspberry. Rubi Fructus,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n oriental medicinal drug, designates only unripe fruit of R. coreanus but not its ripe fruit which indicates that it needs high content of $19{\alpha}-HUT$ as a crude drug. Throughout our experiment, we found that ripe fruits contain very little amount of $19{\alpha}-HUT$ when compared to unripe fruits. In addition, various and rich $19{\alpha}-HUT$ has been reported from Rubus species. The most common structure of $19{\alpha}-HUT$ of Rubus species, euscaphic acid or tormentic acid with $3{\alpha}-OH$ or $3{\beta}-OH$, respectively, can be glycosylated or oxidized to produce a number of $19{\alpha}-HUTs $as euscaphic acid and tormentic acid derivatives and even esterified to form dimeric triterpenoids. In this review, the bioactivity and biosynthetic pathway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19{\alpha}-HUTs$ found in Rubus species are discussed.

나노 입자화 한 복분자 저온 추출물의 면역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Immuno Modulatory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s by Nano-encapsulation Process)

  • 한재건;권민철;하지혜;정향숙;김영;정명훈;김진철;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4-60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immune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by encapsulation of nanoparticles. Immuno-activities of R. coreanus were investigated through aqueous extracts associated with process of water at $60^{\circ}C$. It showed high promotion of human B and T cells growth about 50%, compared to the case of other conditions. The secretion of IL-6 and TNF-${\alpha}$ was also enhanced as $2.44{\times}10^{-4}$pg/cell and $1.94{\times}10^{-4}$pg/cell, results by adding nano samples. NK cell activation was improved up to 29%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extraction process. The secretion of NO from macrophage showed 14.9 ${\mu}M$ on the nano-encapsulation process extracts, which was higher than others. The size of nanoparticles was in the range of 50${\sim}$300 nm, which can effect the penetration into the cells. It was clearly observed by real time confocal microscope.

건조방법에 따른 복분자 분말의 갈변 및 흡습 특성 (Browning and Moisture Sorption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Prepar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정헌식;성종환;이영근;김한수;이주백;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97-803
    • /
    • 2009
  • 건조방법이 복분자 분말의 갈변 및 흡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신선 복분자를 천일, 적외선 및 동결 건조한 다음 분쇄하고 이 분말의 색도와 수분활성도 ($a_w$) 0.11-0.90 범위에서 평형수분함량(EMC)을 각각 측정하였다. 갈변지표인 $L^*$값과 $a^*$값은 동결 건조한 복분자 분말이 다른 방법으로 건조한 분말보다 높고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황색도인 $b^*$값은 동결 건조 분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EMC는 $a_w$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0.75 $a_w$ 이상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동일한 $a_w$에서 분말의 EMC는 동결건조품이 천일과 적외선 건조품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 분말의 흡습곡선은 전형적인 sigmoid 형태를 보였고, 천일건조 분말은 Halsey model, 적외선 건조 분말은 Kuhn model, 그리고 동결 건조 분말은 Oswin model이 적합도가 가장 높았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GAB 방정식으로 설명 할 수 있었으며, 적외선 건조 분말에서 0.005 g $H_2O/g$ dry solid, 천일 및 동결 건조 분말에서 0.019 g $H_2O/g$ dry solid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로써 건조방법은 복분자 분말의 갈변과 흡습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 복분자주와 버섯 추줄물을 함유한 복분자주의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Wines With and Without Mushroom Extracts)

  • 신현재;남형근;임익재;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10-413
    • /
    • 2006
  • 복분자주의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국내에서 생산되는 복분자주 (시료 A)와 버섯 추출물 첨가 복분자주 (시료 B)의 일반성분 분석과 향기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 성분분석의 결과, 복분자주 시료 A와 복분자주 시료 B 중의 용해성 고형분은 10.5%, 7.4%로 분석되었고, 산도는 1.36%, 0.54%로 측정되었다. 수분은 83.27%, 87.62% 조회분은 0.45%, 0.31% 조 단백질은 0.05%, 0.22%였으며 조지방과 조섬유는 검출되지 않았다. 향기 성분의 확인을 위하여 두 시료의 향기 성분을 ethylether로 추출하고 methanol에 녹여 GC/FID와 GC/MS로 분석, 동정하였다. 두 시료에서 모두 1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에서 alcohol류가 6종, ketone류가 3종, ester/acid/anhydride류가 각각 1종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는 2,3-butanediol, 2,5-furanedione, phenylethyl alcohol, butanedioic acid 등이 있었으며, 이들 성분이 복분자주의 전체적 향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자외선이 조사된 인간피부섬유아세포에 복분자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ubus coreanus Extracts on Ultraviolet-A Irradiated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s)

  • 정향숙;하지혜;김영;오성호;김승섭;정명훈;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21-327
    • /
    • 2009
  • Sunlight, and in particular its UV component, is the major environmental trigger that underlies the major signs of human skin and skin cancer in general.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V protection effects of R. coreanus. R. coreanus was extracted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at 500 MPa and $30^{\circ}C$ for 5 and 15 minutes. The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extracted by ultra high pressure process on human dermal fibroblast cell CCD-986sk, human kidney normal cell HEK293, and human lung normal cell HEL299 was measured as 17.5%, 16.5% and 14.0%, respectively in adding $1.0\;mg/m{\ell}$ of the samples, which was much lower than that from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method at $100^{\circ}C$ as 23.2%, 22.5%, 21.2%. The secretion of $NO^-$ from macrophage showed $15.9\;{\mu}M$ on the R. coreanus extract from this process, which was higher than others.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from UV-induced human skin cells was also greatly decreased down to $510\;pg/m{\ell}$, compared to the control. From the results, we considered that the extracts from R. coreanus could be potent natural materials for skin anti-inflammation agent, and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anti-aging for the photo-damaged skin.

Estrogenic Activity of Sanguiin H-6 through Activation of Estrogen Receptor α Coactivator-binding Site

  • Trinh, Tuy An;Park, Eun-Ji;Lee, Dahae;Song, Ji Hoon;Lee, Hye Lim;Kim, Ki Hyun;Kim, Younghoon;Jung, Kiwon;Kang, Ki Sung;Yoo, Jeong-E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5권1호
    • /
    • pp.28-33
    • /
    • 2019
  • A popular approach for the study of estrogen receptor ${\alpha}$ inhibition is to investigate the protein-protein interaction between the estrogen receptor (ER) and the coactivator surface. In our study, we investigated phytochemicals from Rubus coreanus that were able to disrupt $ER{\alpha}$ and coactivator interaction with an $ER{\alpha}$ antagonist. The E-screen assay and molecular docking analysi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estrogenic activity of R. coreanus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on the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At $100{\mu}g/mL$, R. coreanus extract significantly stimulated cell proliferation ($574.57{\pm}8.56%$). Sanguiin H6, which was isolated from R. coreanus, demonstrated the strongest affinity for the $ER{\alpha}$ coactivator-binding site in molecular docking analysis, with a binding energy of -250.149. The initial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sanguiin H6 contributed to the estrogenic activity of R. coreanus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ER{\alpha}$ coactivator-binding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