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nsing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9초

인위적 중금속 오염 토양 제조과정에서 최종 세척과정이 중금속 토양 농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Water-Thoroughly-Rinsing in the Artificially Metal-Contaminated Soil Preparation on Final Soil Metal Concentrations)

  • 허정현;정승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70-676
    • /
    • 2011
  • 인위적 중금속 오염 토양은 중금속용액과 토양 간 흡착평형, 여과 또는 원심분리, 건조과정을 거쳐 완성되어 토양세척 및 토양독성 실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문헌에서 실험에 사용한 오염토양이 건조과정 이후 충분한 세척을 마친 후 사용되었는지 불분명하다. 본 연구는 중금속 오염 토양 제조 과정에서 최종 세척과정이 중금속 오염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3가지 대표적 중금속 오염 토양 제조방법(슬러리 건조법, 평형 후 건조법, 여과 후 건조법)에 의한 중금속(Cd, Pb) 오염 농도 차이를 파악하고 이후 최종 세척과정이 제조 중금속 오염 토양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중금속용액과 토양을 흡착평형 시킨 후 건조과정만을 거쳐 제조한 오염토양 내 중금속은 이후 단순 세척과정에서 50% 이상 용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용액과 토양 간 흡착평형을 거쳐 중금속 오염 토양을 제조한 경우 실험 전 충분한 세척을 거치지 않는다면 이후 토양세척 및 토양독성 실험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제조오염토양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초기 중금속 농도 결정 시점을 중금속 흡착 완료 단계가 아닌, 흡착 후 충분한 세척이 완료된 이후 초기 토양중금속 농도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잇솔질 후 헹굼 횟수에 따른 구강 잔여 세치제의 양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amount of remaining toothpaste in the mou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rinse after brushing)

  • 김승연;안다은;양정인;원미경;이정현;장정연;강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93-39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잇솔질 후 헹굼 횟수에 따른 흡광도 및 pH 변화를 조사하여 구강 내 잔여 치약의 양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 헹굼 횟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 K대학 대학생 중 일생생활에 지장이 없는 건강한 신체를 가진 학생 총 14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잇솔질 후 0회부터 12회까지 40ml의 물로 입울 헹구었다. 각 헹굼액은 수거하여 흡광도 및 pH를 측정하였다. 헹굼액의 흡광도 값을 측정한 결과, 잇솔질 후 6 ~ 7회의 헹굼액부터 흡광도 값이 일정한 수치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5). 1g, 1.5g, 2g으로 달리한 치약의 양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치제 사용에 관한 교육과 구강 내 잔여 세치제가 구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쌀가루 제분용 백미 내 잠재적 위해 세균에 대한 살균 및 세척 효과 (Antibacterial and Rinsing Activities Against Potentially Harmful Bacteria in Rice during Rice Flour Production)

  • 한재광;차민희;김민주;김근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7-122
    • /
    • 2014
  • 습식 쌀가루의 제분과정 중에서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에 사용되는 물에 천연살균제인 쌀뜨물발효액 혹은 화학살균제인 chlorine dioxide (CD)와 sodium benzoate (SB)를 각각 첨가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 중 쌀에 잔류 미생물의 증식억제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원료 쌀의 잔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지공정 전과 후 세척 횟수별 잔류 미생물의 제거 정도를 파악하였다. 쌀뜨물발효액, CD, 혹은 SB는 백미 내 잔류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위해 세균들로 선정된 S. typhimurium, E. coli, 그리고 B. cereus 표준균주들에 대하여 액체배양액 내에서 각각 첨가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이들 살균제들의 항균력이 비교적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쌀뜨물발효액이나 SB와 비교하였을 때 CD가 액체배양액 내에서 가장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쌀뜨물발효액, CD, 혹은 SB는 침지과정 중에 각각 첨가된 농도가 증가하면서 백미 내 잔류세균에 대하여 이들 살균제들의 항균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위에서 언급한 S. typhimurium, E. coli, 그리고 B. cereus 표준균주들에 대하여 액체배양액 내에서 이들 천연살균제와 화학살균제들이 나타낸 항균력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편 백미 검체의 침지 전과 후 세척 횟수에 따른 백미 잔류 세균의 제거효과는 백미 검체를 침지하지 않고 세척하였을 때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세척을 한 후 침지를 시켰을 때는 세척 횟수가 증가하여도 잔류 세균의 수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결론적으로 백미의 살균 및 제균 방법으로는 살균제에 의한 살균방법보다는 물 등으로 세척하여 잔류 세균을 제거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양치용액이 복합레진의 색조 안정성과 표면미세경도 및 표면조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al Rinsing Solution on the Color Stability, Surface Microhardness and Surface Roughness Change of Composite Resin)

  • 이혜진;김민영;양달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59-167
    • /
    • 2019
  • 본 연구는 구강양치용액이 복합레진의 색조 안정성과 표면미세경도 및 표면조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실험실 연구로 Filtek P60과 Filtek Z250의 두 종류의 복합레진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편은 10개씩 8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전 모든 시편을 colorimater를 이용하여 색조($L^*$, $a^*$, $b^*$)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증류수, 실험군으로 무색소, 녹색 및 보라색을 띄는 시판 구강양치용액을 사용하여 14일간 색변화, 표면미세경도, 표면조도 등을 측정하여 수집된 자료들 분석하였다. 녹색 및 보라색을 띄는 구강양치용액에서 눈에 띄는 색변화를 보였고, 모든 구강양치 용액군에서 표면미세경도는 감소하고 표면조도는 거칠어진 양상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구강양치용액을 2주 이상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복합레진 표면에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짧은 기간 사용을 권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현상공정에서 표면장력에 의한 극미세 3 차원 구조물의 변형거동 분석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into De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Microstructures via Surface Tension of a Rinsing Material During a Developing Process)

  • 박상후;양동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2권4호
    • /
    • pp.303-309
    • /
    • 2008
  • Dense and fine polymer patterns often collapse, as the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ir protruding tips. Resist pattern collapse depends on the aspect ratio of patterns and the surface tension of rinsing materials. The pattern collapse is a very serious problem in microfabrication, because it is one of the factors which limit the device dimensions. The reasons for the pattern collapse are known as the surface tension of rinse liquid, centrifugal force and rinse liquid flow produced in the developing process. In this work, we tried to evaluate the pattern collapse of three-dimensional microstructures that were fabricated by two-photon induced photopolymerization, and showed the way how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microstructures.

Fouling and cleaning of a tubular ultrafiltration ceramic membrane

  • Siddiqui, Farrukh Arsalan;Field, Robert W.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7권5호
    • /
    • pp.433-449
    • /
    • 2016
  •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cleaning protocols is vital for optimized filtration processes. A series of experiments with an ultrafiltration ceramic tubular membrane were carried out for the foulants dextran and carboxymethyl cellulose. Firstly, the impact on fouling of concentration changes was investigated with the increase in resistance being used as the key parameter. In the second phase, removal of reversible fouling was also investigated by employing intermittent rinsing consisting of a cold water rinse followed by a hot one. A comparative analysis for both foulants is reported. Across a range of concentrations and for both foulants, the reduction in resistance due to rinsing was found to depend upon concentration (C); it changed as $C^n$ where n was found to be 0.3. A plausible semi-theoretical explanation is given. Thirdly, for both foulants, the application of a combination of strong alkaline solutions with oxidizing agent (mainly sodium hypochlorite) followed by acid was found to be appropriate for cleaning of the ceramic membrane. The effect of increased temperature for cleaning agents followed by a warm water rinse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 cleaning capability.

고려인삼이 벼의 생장 및 수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on Growth and Harvest of the Rice Plant)

  • 주충노;임수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66-76
    • /
    • 1987
  • 벼씨를 고려인삼차(영수삼차, 고려인삼제품(주)제품) 수용액(100배 희석)으로 28시간 불린 다음 파종하면 벼의 초기발육에 좋고 특히 파종직후 인삼차수용액(30배 희석)로 철포(10l/a)하면 그 효과가 더욱 좋았으며 병충해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였다. 수확면으로 보면 무처리군에 비하며 벼씨만 인삼차수용액으로 처리한 것이 9.4% 증산, 인삼차수용액으로 처리한 것이 9.4% 증산, 인삼차수용액으로 처리한 벼씨를 파종한 직후 다시 진한 인삼차수용액을 철포한 것이 17.7% 증산의 성적을 보였다.

  • PDF

시판 세탁후처리제(대전방지 및 유연처리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ftertreating(Antistatic and Softening) Agents in Laundering)

  • 이양헌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7-34
    • /
    • 1985
  • Cotton, P/C and polyester fabrics were laundered and treated with 4 kinds of aftertreating agent(antistatic and softening agents) on marketing. Some treating condition:. which include agent concenteration, treating time and rinsing extent after laundering, were varied. And then the effects of agents with each treating condition-handle value, charged voltage and half-life, and crease recovery etc.-were determined and discussed about their change. The improvement of handle and antistatic properties by treatment were indicated remarkably for cotton fabric and P/C and polyester fabrics respectively. Generally, the handle value of cotton was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again, and the charged voltage and half-life of P/C and polyester fabrics were decreased with increase of concenteration of agents. The effect of antistatic improvement for P/C fabric was larger than polyester fabric at even lower concenteration of agents. The effects were increased with treating time and rinsing extent. In particular, those of short time(1 minute) treatment were very small.

  • PDF

오존수를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 연마 후 지용성 왁스 및 오염입자 제거의 영향 (Effect of Organic wax residues and particles removal by DIO3 (ozonated DI water) after Silicon Wafer batch Polishing Process)

  • 이재환;이승호;김태곤;박진구;이건호;배소익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8
    • /
    • pp.558-559
    • /
    • 2007
  • A commercially de-waxer which kinds of solvent after was used to remove a thick organic wax film after polishing process and several steps of SC-1 cleanings were followed for the removal of organic wax residues and particles which requires long process time and high cost of ownership (COO). DIO3 was used to remove organic wax residues too achieve low COO. In this study, 0103 rinsing could use instead of 01 water rinsing. The process time and chemical consumption were reduced by using DIO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