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ised Curriculum

검색결과 1,262건 처리시간 0.025초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팀-멘토링 개발 (Development of Team-Mentoring for growth of whole person in adolescent)

  • 박종운;박성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50-160
    • /
    • 2007
  • The school system of fisheries high school was proper to specialist objective school system in order to training for expert human resource development.Training a field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rom fisheries high school is fallow; fisheries production, seamen's training, ship engine and refrigerator, marine electronic tele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fisheries foods production and fisheries food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ishery fisheries self-management, marine distribution,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marine environment, safety and marine prevention of disasters, apparatus of marine development, under water area development.A new department opening and each department was revised toward to department name and department character. The unit-lesson hour of curriculum according to specialist objective school system of fisheries and marine highschool was revised. professional subject 98 unit-lesson hour(52%), normality subject 90 unit-lesson hour(48%), and educational activity of professional subject 10unit-lesson hour, total training activity 10 unit-lesson hour. And the special objective school system need to revise curriculum of 208 total unit-lesson hour.

중학교 수학 교과서 문제의 인지적 영역 분석 (Cognitive Domain of Problems in Korea Mathematics Textbooks)

  • 이지혜;허유진;신민경;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51-465
    • /
    • 2019
  • Textbooks are official materials so that these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teaching materials in school. The teacher constructs the less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o achieve the learning goal. Thus, textbooks play an important role because the quality of the contents in textbooks affects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gnitive domain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knowledge, understanding,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of 'Values and Expression' in the mathematics textbook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reflecting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e also looked at cognitive levels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derstanding was dominant in 'Values and Expression'. Also, although the problem of requiring a higher level of cognition is increasing as the unit finishes, there are still a high percentage of low level of problems.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외적 체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External System of Software Educati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김지윤;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305-306
    • /
    • 2019
  • 2019학년도 초등학교 5-6학년군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전면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검정 교과서 6종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외적 체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단원 체제 분석 결과 모든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대단원명, 대단원 차례, 중단원명, 본문텍스트, 본문삽화, 용어 설명, 단원 마무리 등이 제시되어 있었다. 단원 구성 분석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은 전체 교과서 분량의 18.8~25%까지 교과서별로 다양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후속 연구로는 본 논문에서 다룬 교과서의 외적 체제 뿐 아니라 내적 체제 까지를 포함하여 각 교과서의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을 전체적인 틀에서 비교 분석 할 것이다.

  • PDF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측면에서 아이톡톡의 활용 (The use of iTokTok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김은지;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237-238
    • /
    • 2023
  •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역량을 함양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디지털 대전환에 중점을 두고 지능정보기술 활용과 디지털 학습 환경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 경상남도 교육청에서는 미래교육 환경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AI 플랫폼 아이톡톡을 개발하여 이에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측면에서 아이톡톡의 활용을 살펴보았다.

  • PDF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학교 체육과 성취기준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 이옥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9-16
    • /
    • 2022
  • 본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2015 특수교육교육과정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교육과정 체육과 중학교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 문장수 184개를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 지식 4개차원과 인지과정 6개차원 총 24개 조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교육과정 체육과 중학교 성취기준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기본교육과정 분석과 달리 '절차적 지식-적용하다' 조합이 가장 많았으며 학교급별 위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이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나 장애학생을 위한 체육과 중학교 수업의 중점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하위 교육과정중 공통교육과정의 경우 '기억하다'와 같은 인지과정 차원을 제외하고 비교적 다양하게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이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지식'과 '창안하다'와 같은 고등 지식 및 인지과정 차원도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하위 교육과정 중 기본교육과정의 경우 '절차적 지식-적용하다' 조합이 60.7%로 과도하게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CT 통합에 의한 초·중등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탐색 (A Study of the Restructuring K-12 Curriculum by the Integration of ICT)

  • 서유경;이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3-33
    • /
    • 2004
  •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의 필수적 요소인 ICT가 초 중등교육에 있어서 단순한 도구적 위치가 아닌 초 중등 교육과정 전체 체계 속에서 위상과 역할이 재정비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교육과정과 ICT를 통합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우선적으로 현행 교육과정에 ICT가 어떻게 수용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행 7차 교육과정 개정의 의도와 배경에는 지식기반사회의 관점을 포함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에는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함께 교육과정과 ICT 통합의 의미를 짚어보고, 그 원리를 ICT가 교육과정 구성 변인으로서 갖는 역할에서 찾아보았다. 마지막으로 ICT를 통합할 때에 현행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를 ICT 통합적 관점에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 PDF

과학고등학교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for Science High Schools)

  • 조한희;이화룡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14
    • /
    • 2011
  • This research aims at proposing the space planning and architectural guideline required in designing the Science High School. It investigates specific features of the science high school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high school and analyses the compositional figure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teaching methods and its educ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9. Meanwhile, it explores the administrative systems and facilities of the existing science high schools through both the document survey and on-the-spot interview. Such endeavor results in proposing the space classification, the space composition methods and a classroom managing system, which would be suited to the science high school. Finally it presents the architectural guidelines for planning the special subject learning area that is composed of a special subject classroom, a specified lab, medial space, a project and research room and teacher's room.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the fundamental resources for programming the special purposed high school as well as the science high school building.

  • PDF

주5일 수업제 도입에 따른 학력관과 학교교육의 방향 탐색 (A Discussion of schooling related 5-School-Day Week)

  • 박창언;김회용;차철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79-94
    • /
    • 2012
  • This study is attempted to explore direction for the schooling related 5-school-day week. For this end, first, the soci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meaning for the 5-school-day week were reviewe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5-school-day week and 5-work-day week. And learning by direct and actual experience is emphasized. Seco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chooling were analysed. It was examined the guideline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ime allotment propose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lso, It was checked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qualifications, for example ratio of students to teaching staff, office of education, local government etc. Third, the direction for the schooling for 5-school-day week were discussed. The object of research related to the 5-school-day week was the applicabilities and limits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l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of education office in local to work with the local government.

초등수학에서 곱셈구구 1단 및 0의 곱 문제 상황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roblem Situation of Multiplication Facts (1st and 0th multipl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67-48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ltiplication facts(1st and 0th multipl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udents learn multiplication and multiplication facts in the 2nd grade. Many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organizing the multiplication problem situation in multiplication facts(1st and 0th multiplication).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causes of these difficulties and devise teaching method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d analytic method. In order to compare textbooks, we select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1st curriculum~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six foreig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Taiwan, Japan, Finland, Unites States, Hongkong, Singapore). As a result, the multiplication problem situation and the multiplication model assume the same bundle and bundle model. Also, we must consider the teaching timing of multiplication facts(1st and 0th multiplication) and the use of commutative law.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ultiplication teaching scheme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plication problem situation and teaching model, teaching period and commutative law etc.. to teach multiplication facts(1st and 0th multipl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주제 중심 통합(ITI: Integrated Thematic Instruction)형 가정과 의생활영역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Plan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by Integrated Thematic Instruction(ITI) type)

  • 김남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41-160
    • /
    • 2017
  • 현재 전 세계는 정보화 세계화의 사회로 개방, 협력, 통합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창의적인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국가의 경쟁력은 곧 창의적 인재 양성에 달려 있으며 개인적인 욕망과 성취를 위한 창의적 인재 양성이 아니라 나누고 배려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인류학적 가치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저에 있는 문 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특징을 가정교과에 적용시켜 통합형 창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1차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의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와 2009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기술 가정 교과서의 의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를 추출한 후 전문가 집단이 내용선정 기준에 의해 5가지 주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의생활 영역의 5가지 주제 중 '의복의 선택과 관리' 주제를 중심으로 주제 중심 통합형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이하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과정안은 총 5차시 수업으로 [기초 탐구 - 내용 1 - 내용 2 - 심화탐구 - 적용]으로 구성하였다. 과정안은 교과 내 통합과 교과간 통합을 고려하였으며 통합형 수업의 진행 과정에서 배려와 나눔의 인성요소와 창의성, 문제 해결력 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실제 5차시 수업을 위해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에 가정교과의 교과목표와 주제 중심 통합형 교육 목표를 분리하여 제시하였으며, 수업 진행단계에서 창의적 요소와 인성적인 교육 요소를 표면적으로 드러내어 수업에 적용하였다. 우리나라 교육은 새로운 교육과정이 수시로 개정 및 고시되고 있어 교사가 변화패러다임에 맞추어 수업을 실행하기가 어려웠다. 가정교과는 실제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통합형 주제로 수업을 하기에 적절한 교과이며 다른 교과에서 다루기에 한계가 있는 창의, 인성적 요소까지 학생들에게 통합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과의 교육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주제 중심 통합형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이 새롭게 도입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실시해야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나아가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