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oval Torque Value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3초

분사처리 후 산부식 표면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골유착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on the osseointegration potential of orthodontic mini-implant)

  • 전미선;강윤구;모성서;이근혜;국윤아;김성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28-33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교정 치료 시 골내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임플랜트의 표면처리 여부가 골유착능에 있어서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제거회전력의 측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교정력 적용의 확장과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분사처리 후 산부식(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 etched, SLA) 표면 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인 C-implant (Cimplant, Seoul, Korea)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같은 디자인이지만 표면 처리를 하지 않은 평활면 C-implant를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2개씩 11마리의 가토 경골에 식립하였고 식립 후 6주에 가토를 희생시켜 제거회전력을 측정하여 t-test를 통하여 두 군의 제거회전력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았으며 조직표본을 만들어 조직소견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제거회전력은 SLA 처리한 C-implant 군이 평활면 C-implant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평활면 C-implant 군의 평균 제거회전력 값은 4.614 Ncm이고, SLA C-implant 군의 평균 제거회전력 값은 6.286 Ncm로, SLA 군이 평활면 군보다 73% 더 높은 제거회전력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SLA표면처리가 C-implant의 골유착능을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표면 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는 기존의 임플랜트에 비해 좀 더 강한 힘에 저항할 수 있으며 탈락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임플란트 고정체의 의원성 동요 후 골 유착 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e-osseointegration of implant fixture after mechanical unscrewing)

  • 장지훈;조진현;이청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9-214
    • /
    • 2010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 유착된 임플란트에 인위적 비틀림을 가한 후 골 유착이 다시 일어나는지, 혹은 일어나지 않는지, 일어난다면 이전의 골유착보다 강화되는지, 약화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상업적으로 순수한 티타늄 (commercial pure titanium 99%)으로 직경 3.75 mm, 길이 4 mm의 표면처리 없는 실험용 임플란트를 제작하였다. 3.0 kg이상의 뉴질랜드산 흰색 암컷 토끼 7마리의 좌우 경골에 제작한 임플란트를 2개씩 식립 후, 6주의 골유착 유도 기간 부여 후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한 경우를 I군으로, 다시 임플란트 고정체를 재위치시키고 봉합하여 4주간의 치유기간을 더 두고 측정한 경우를 II군으로 분류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조직 형태학적 분석을 위하여, 1차 비틀림 제거력 측정 직후 1마리의 토끼를 희생시키고, 2차 비틀림 제거력 측정 직후 2마리의 토끼를 희생시켜 각각 4개, 7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 (${\times}20$) 분석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Bone-Implant contact, BIC, %)비율과 치밀골 부위에 위치하는 임플란트의 나사산 수를 측정하여 CBa (Bone area in the cortical passage)비율을 측정하였다. 비틀림 제거력과 BIC및 CBa비율에서의 I군과 II군의 통계적 유의성 ($\alpha$=.05)을 평가하였다. 결과: 비틀림 제거력 측정에서 I군은 $10.8{\pm}3.6$ NCm로 측정되었으며, II군은 $20.2{\pm}9.7$ NCm로 측정되었으며, I군보다II군의 비틀림 제거력이 평균 98.1% 증가되었다 (P<.05). 조직 형태학적 분석에서 BIC와 CBa 비율은 I군과 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P>.05), RT/BIC와 RT/CBa 값은 I군과 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P<.05). 결론: 임플란트 고정체에 의원성 비틀림 동요가 발생한 경우에 초기 골유착을 얻기 위해 필요로 했던 치유기간보다 짧은 기간 내에 이전보다 견고한 골유착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 EXPERIMENTAL STUDY OF NEWLY DESIGNED IMPLANT WITH RBM SURFACE IN THE RABBIT TIBIA :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AND REMOVAL TORQUE STUDY

  • Won Mi-Kyoung;Park Chan-Jin;Chang Kyoung-Soo;Kim Chang-Whe;Kim Yung-Soo;Isa Zakiahbt Mohd;Ariffin Yusnidar Tajul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20-731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The importance of fixture design and surface treatment. Purpose. The clinical success of dental in plants is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like as degree of osseointegration, the effective load dispersion for the prostheses, and a lot of attempts have been mad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is study, efforts were made to find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cceptance of the dental implants of newly designed surface and resorbable blast media surcace.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two groups of custom-made, screw-shaped implants were prepared. The first with the consisting of Branemark clone design and the other with the new design. These impl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kinds of surface treatment. Four implants($AVANA^{(R)}$, Osstem, Busan, Korea)of each group were installed in twenty rabbits. Group A was consisted of Branemark done implant left as machined, Group B with Branemark clone implants with RBM(Resorbable blast media) surface, Group C with newly designed implants left as machined and Group D with newly designed implants with RBM surface. One of the twenty rabbits died from inflammation and the observation was made for six weeks. Specimens from four groups were observ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ith 40, 100, 1000 magnification power and microsurface structures were measured by white-light scanning interferometry for three dimensional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s(Accura $2000^{(R)}$, Intek-Plus, Korea.). Removal torque was measured in 17 rabbits using digital torque gauge(MGT 12R, Mark-10 corp., NY, U.S.A.) immediately after the sacrifice and two rabbits were used for the histologic preparation(EXAKT $310^{(R)}$, Heraeus Kulzer, wehrheim, Germany) of specimens and observed under light microscope. Resonance frequency measurement($Osstell^{(R)}$) was taken with the 19 rabbits at the beginning of the implant fixation and immediately after the sacrifice. Results. Following results were taken from the experiment. 1. The surface of the RBM implants as seen with SEM had rough and irregular pattern with reticular formation compared to that of fumed specimens showing different surface topographies. 2. The newly designed implant with RBM surface had high removal torque value among four groups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verage removal torque was $49.95{\pm}6.70Ncm$ in Group A, $51.15{\pm}4.40Ncm$ in Group B, $50.78{\pm}9.37Ncm$ in Group C, $51.09{\pm}4.69Ncm$ in Group D. 3. The RFA values were $70.8{\pm}4.3Hz$ in Group A, $71.8{\pm}3.1Hz$ in Group B, $70.9{\pm}2.5Hz$, $72.7{\pm}2.5Hz$ in Group D. Higher values were noted in the groups which had surface treatment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s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 The results from the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showed a mean percentage of bone-to-implant contact of $45{\pm}0.5%$ in Group A, $55{\pm}3%$ in Group B, $49.5{\pm}0.5%$ in Group C, and $55{\pm}3%$ in Group D. Quite amount of newly formed bone were observed at the surface RBM-treated implants in bone marrow space.

전기자극이 성견 골결손부에 매식된 임플란트 주위조직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healing of endo-osseous titanium implants in circumferential defect)

  • 심재창;김영준;정현주;김옥수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177-193
    • /
    • 2004
  • Several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small amounts of electric current to bone stimulated osteogenesis at the site of the cathode and suggested that electrical currents promote osseointegration around dental im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rect microcurrent to endosseous titanium implants placed in bone defects. The right and left 2nd, 3rd and 4th mandibular premolars in ten mongrel dogs (15Kg of weight) were extracted. One monthe later, Ti-machined screw type implants(3.8 mm diameter x 8.5 mm length, $AVANA^{(R)}$, Ostem) were placed in surgically created circumferential defect area(width 5mm, depth 4mm). The impl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ies: Control group- implants without electrical stimulation; Experimental group I- implants with allogenic demineralized freeze dried bone grafting; and Experimental group II-implants allogenic demineralized freeze dried bone grafting and electric stimulation. The animals were sacrificed in the 4th and 8th week after implant placement and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and histometrical evaluation of bone-implant contact ratio (BIC) and bone formation area ratio (BFA) in defect area. Some specimens at 8 weeks after implantation were used for removal torque testing. Histologically, there was connective tissue infiltration in the coronal part of defect area in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I, whereas direct bone contact was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without connective tissue invasion. Average BIC ratios at 4 weeks of healing were 60.1%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47.4% in the experimental group I and 42.7% in the control. Average BIC ratios at 8 weeks after implantation were 67.6%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55.9% in the experimental group I and 54.6% in the control. The average BFA ratio was 84.0%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71.8% in the experimental group I and 58.8% in the control at 4 weeks, and the BFA ratios were 89.6%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81.4% in the experimental group I and 70.5% in the control at 8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experimental group II showed also significantly greater BIC and BFA ratio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I (p<0.05). The removal torque values at 8 weeks after implantation were 56 Ncm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49 Ncm in the experimental group I and 43 Ncm in the contro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ectrical stimulation improve and accelerate bone healing around endosseous titanium implants in bone defect.

임플란트 보철물 나사의 전하중 유지에 나사 표면에 따른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효과 (Effects of anaerobic sealing agents on preload maintenance of 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is with surface of screws)

  • 류승범;허성주;곽재영;김성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03-109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지대주 나사에 혐기성 나사 고정제의 적용 유무와 나사 종류에 따른 풀림 토크 값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외부 육각형 임플란트 고정체를 사용하였고, 동일한 제조사의 지대주와 지대주 나사가 사용되었다. 지대주 나사는 두 종류로 티타늄 재질의 나사(티타늄 나사)와 텅스텐 카바이드 코팅된 나사(Ebony 나사)가 사용되었다. 티타늄 나사에 아무 처리하지 않은 군(TI군)과 티타늄 나사에 나사 고정제를 사용한 군(TI_AS군), Ebony 나사에 아무 처리하지 않은 군(EB군)과 Ebony 나사에 나사 고정제를 사용한 군(EB_AS군)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4가지 군에서 각 10개씩의 임플란트 고정체-지대주 복합체가 사용되었다. 디지털 토크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풀림 토크 값을 측정한 뒤 통계 처리하여 각 군별 비교하였다. 정규성 분포를 만족하여 Two-way ANOVA test (α = .05)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각 군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TI 군은 20.3 ± 1.6 N.cm, TI_AS 군에서 32.4 ± 6.7 N.cm, EB 군은 20.2 ± 1.5 N.cm, EB_AS 군에서 30.4 ± 4.5 N.cm의 풀림 토크 값을 나타냈다. 결론: 혐기성 나사 고정제를 사용한 경우 티타늄 나사와 ebony 나사 모두에서 고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보다 풀림 토크 값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두 나사 군 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임플란트 지대주나사 코팅이 결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Dental Implant Abutment Screw Coating Materials on Joint Stability)

  • 임현필;박영선;방몽숙;양홍서;박상원;윤숙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2호
    • /
    • pp.157-169
    • /
    •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코팅처리의 기계적 성질과 임플란트 지대주나사의 코팅처리가 고정체와의 결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Megagen 임플란트 시스템과 직경 15 mm, 높이 1 mm의 티타늄원판을 사용하였다. 지대주 나사와 원판에 TiN, TiCN, 및 TiC를 코팅하여 실험군으로, 코팅처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지대주나사를 32 Ncm로 체결한 후 풀림회전력과 조임회전각을 측정하고, 10만 번씩 저작 모방 시험을 실시하여 풀림회전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조임회전각은 TiCN, TiC코팅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크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풀림회전력은 TiCN, TiC코팅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저작 모방 시험후 코팅한 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풀림 회전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풀림회전력은 건조상태와 습윤상태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TiC 코팅군은 저작 모방 시험 전에는 풀림회전력이 낮았지만 저작 모방 시험 후에는 낮은 마찰계수로 인한 높은 풀림회전력과 조임회전각을 가져 임플란트 지대주나사의 결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율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양극산화 임플란트 표면에 적용된 골형성단백질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가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Combined effects of rhBMP-2 and rhVEGF coated onto implants on osseointegration: pilot study)

  • 허중보;윤미정;정창모;신상완;전영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82-89
    • /
    • 2013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양극산화 임플란트에 골형성단백질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코팅한 임플란트를 토끼의 경골에 식립하여 골과 임플란트 계면의 골유착 향상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6마리의 토끼 양측 경골에 코팅을 하지 않은 양극 산화 임플란트(대조군)와 골형성단백질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코팅한 임플란트(실험군)을 각각 한쪽에 2개씩 식립하였다, 토끼는 2주, 8주에 각각 3마리씩 희생하였고 전체 식립된 임플란트는 24개이었다. 각 시기별, 그룹별 임플란트 수는 각각 6개씩이었다. 임플란트안정지수(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회전 제거력(Removable torque measurement (RTQ))을 희생 시기에 측정하였다. 독립표본 t-test (SPSS Ver. 15.0, Chicago, USA)을 이용하여 2주, 8주에서 대조군과 실험군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유의수준95%에서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8주에서 우수한 골유착을 보였다. 특히 실험군에서 8주에 ISQ, RTQ 값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값을 나타내었다 (P<.05). 하지만 2주에서는 두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골형성 단백질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임플란트 표면에 코팅하여 식립하는 것은 치유의 후반기에 골유착을 증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즉시 부하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Periotest$^{(R)}$의 유효성 (The validation of Periotest values for the evaluation of orthodontic mini-implants' stability)

  • 차정열;유형석;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7-175
    • /
    • 2010
  • Periotest$^{(R)}$는 보철용 임플랜트 식립 3 - 4개월 후 골유착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요도 측정 기기로 교정용 미니임플랜트 안정성 평가에 적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Periotest$^{(R)}$의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성견 다섯 마리의 상악, 하악 협측골에 교정용 미니임플랜트를 식립하고, 식립 시 식립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고 12주 동안 교정력을 부여한 후, 제거 시 제거 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였다. 동요도 (Periotest$^{(R)}$ value, PTV) 측정은 재현성을 위해 동일 부위에 2회 측정하였다. PTV와 다른 변수와의 상관성 분석을 위해 모든 실험견은 CT 촬영 후 식립 부위의 골밀도와 피질골 두께를 계측하였다. 동요도 측정에 대한 재현성은 0.96의 상관계수를 나타내 매우 높았으며 (p < 0.001) 골밀도와 피질골 두께에 있어 하악골 협측치조골이 상악골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 (p < 0.05). 12주 동안 PTV 값은 -3.2에서 4.8의 범위를 나타내며 모든 임플랜트는 임상적으로 안정적이었다. 식립 시 PTV 값은 하악에서 식립 토오크(-0.51), 골밀도(-0.48), 피질골 두께(-0.42)와 상관성이 있었으나 (p < 0.05), 상악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제거 시 PTV 값은 하악에서 제거 토오크(-0.66)와 상관성이 있었으며(p < 0.05), 상악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Periotest$^{(R)}$를 이용하여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골밀도가 높고 피질골이 두꺼운 부위에서 제한적으로 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tability of the prosthetic screws of three types of craniofacial prostheses retention systems

  • Lanata-Flores, Antonio Gabriel;Sigua-Rodriguez, Eder Alberto;Goulart, Douglas Rangel;Bomfim-Azevedo, Veber Luiz;Olate, Sergio;de Albergaria-Barbosa, Jose Ricard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6호
    • /
    • pp.352-35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prosthetic screws from three types of craniofacial prostheses retention systems (bar-clip, ball/O-ring, and magnet) when submitted to mechanical cycling.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models of acrylic resin were used with implants placed 20 mm from each other and separated into three groups: (1) bar-clip (Sistema INP, São Paulo, Brazil), (2) ball/O-ring (Sistema INP), and (3) magnet (Metalmag, São Paulo, Brazil), with four samples in each group. Each sample underwent a mechanical cycling removal and insertion test (f=0.5 Hz) to determine the torque and the detorque values of the retention screws. A servo-hydraulic MTS machine (810-Flextest 40; MTS Systems, Eden Prairie, MN, USA) was used to perform the cycling with 2.5 mm and a displacement of 10 mm/s. The screws of the retention systems received an initial torque of 30 Ncm and the torque values required for loosening the screw values were obtained in three cycles (1,080, 2,160, and 3,240). The screws were retorqued to 30 Ncm before each new cycle. Results: The sample was composed of 24 screws grouped as follows: bar-clip (n=8), ball/O-ring (n=8), and magnet (n=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ith greater detorque values observed in the ball/O-ring group when compared to the bar-clip and magnet groups for the first cycle. However, the detorque value was greater in the bar-clip group for the second cycl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ll prosthetic screws will loosen slightly after an initial tightening torque, also the bar-clip retention system demonstrated greater loosening of the screws when compared with ball/O-ring and magnet retention systems.

수종 임플랜트의 표면 거칠기와 초기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Roughness and Initial Stability of Various Dental Implants)

  • 조동훈;임주환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3호
    • /
    • pp.197-210
    • /
    • 2000
  • Surface roughness is one of implant surface topography and it's found that surface roughness characterizations, such as surface energy, oxide layer thicknes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are closely correlated if the roughness is changed. Several studies showed the importance of analyzing surface structure so the surface structure of thread implant was analyzed to measure the implant quality exactly. In this study, surface roughness of 4 implants - MK $II^{(R)}$(Nobel Biocare), $RBM^{(R)}$(Life-Core, USA), $Osseotite^{(R)}$(3i, USA), $TPS^{(R)}$(Life-Core, USA) - were measured using $Accura^{(R)}$ and 40 implants were installed into 4 sets of ten bovine ribs based on the parameters from the measurements. From this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for the initial stability were drawn by measuring and comparing RFA, Periotest Value (PTV), Removal Torgue Value (RTV). 1. $R_a$ value in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was increasing by the order of $MKII^{(R)}$, $Osseotite^{(R)}$, $RBM^{(R)}$, $TPS^{(R)}$ and $R_q$ value was the same order. 2. $R_q$ value in each section was observed to increase by the order of $MKII^{(R)}$, $Osseotite^{(R)}$, $RBM^{(R)}$, $TPS^{(R)}$ in top and $MKII^{(R)}$, $RBM^{(R)}$, $Osseotite^{(R)}$, $TPS^{(R)}$ in mid-section but the value of $MKII^{(R)}$ bottom was the lowest, followed by $Osseotite^{(R)}$, $RBM^{(R)}$ and $TPS^{(R)}$. 3. RFA increased by the order of $RBM^{(R)}$(7042Hz), $MKII^{(R)}$(7047Hz), $Osseotite^{(R)}$(7076Hz), $TPS^{(R)}$(7168Hz)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each group. 4. PTV was increasing by the order of $MKII^{(R)}$(-1.62), $TPS^{(R)}$(-1.92), $Osseotite^{(R)}$ & $RBM^{(R)}$(-2.08)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either. 5. Removal torque in RTV measurement showed the increasing order of $MKII^{(R)}(5.31kgf{\cdot}cm)$, $Oeeotite^{(R)}(5.71kgf{\cdot}cm)$, $TPS^{(R)}(5.92kgf{\cdot}cm)$ and $RBM^{(R)}(7.24kgf{\cdot}cm)$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among groups. Above observations explains that surface roughness does not make any impact on the initial stability of implants instal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