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ote Class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의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수업의 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ass Satisfaction between Remote Video Class and Face-to-face Class)

  • 이한샘;서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40-4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국내 대학에서 시행된 비대면 강의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특히 비대면 수업의 여러 유형 중에서도 원격화상수업은 실시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대면 수업을 대체할 수 있는 수업 모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면 수업과 원격화상수업 등 수업운영 형태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2019-2020년도에 운영된 총 8707개 강좌를 대상으로 수업유형 및 수업규모별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원격화상수업의 만족도가 대면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이 병행된 수업이 단일형태의 수업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이는 각 수업형태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수업규모에 따른 수업만족도에서는 대면수업과 원격화상수업 모두 소규모 수업의 만족도가 중형 또는 대형 수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격화상수업이더라도 소규모 수업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대학 수업의 패러다임을 확립해 나갈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나아갈 방향 (The Future Direc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51-57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전면 해제됨에 따라 많은 교육 기관들이 대면 수업으로 다시 전환하는 이 시점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한 대학 교양영어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양영어를 수강한 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대면 수업보다는 비대면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87.8%), 이에 대한 만족의 이유는 수업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 체계적 수업 진행, 학습의 효율성, 편의성으로 나타났다. 대면 수업, 비대면 수업과 혼합 수업, 이 세 가지 수업 형태 중학습자들은 비대면 수업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54.4%) 이에 대한 이유로 공간적 편리성, 학습의 용이성, 집중도와 학습 효과가 나타났다. 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더라고 기존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장점이 병행되고 적극 반영될 수 있는 학습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al State for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 김혜란;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4호
    • /
    • pp.522-532
    • /
    • 2020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o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al state for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he survey was based on responses from 100 teachers who have taught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for COVID-19.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parts: general informations of participants, the operation status of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eachers' perceptions on the operation of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ways to improve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As a result of this study, elementary teachers taught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on the main use of content utilization type. And they had a difficulty in conducting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because of lack of contents, absence of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eaching methods, learner management and heavy workload. Therefore, to improve elementary science online remote class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have to develop and provide high-quality content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subjects, introduce a rent-an-experiment equipment system, and build a science class platform providing frequent real-tim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단위 차시 수업 분석 및 교사 면담을 통한 초등학교 실시간 원격수업 개선 방향 모색 (Researching for Improvement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Real-time Remote Learning Through Unit Class Analysis and Teacher Interviews)

  • 김동진;구덕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355-360
    • /
    • 2021
  • 코로나19는 학교 교육에 커다란 변화를 가지고 왔다. 원격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자 하였으나 대면수업에 비해 원격수업이 가지는 제한점은 뚜렷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격수업이라는 방식은 분리된 시공간을 고려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개별적이고 자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학습 방법임에는 틀림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단계에서 실시간 원격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교사 면담을 통하여 초등학교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사례를 통해 살펴본 초등학교 단위차시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문제점은 첫째, 원격수업이라는 낯선 환경의 불안감으로 인해 교사 활동 비중이 높은 수업이 된다는 점, 둘째, 실시간 쌍방향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개별 활동 점검이나 원활한 피드백 제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기본적인 수업의 단계(도입-전개-정리)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과 적절한 소통과 피드백 제공을 위한 수업 도구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 PDF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방사선과 학생의 만족도 조사 (A Study on Radiotechnologic Students'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 박정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05-413
    • /
    • 2020
  • 최근 대학들이 e-learning으로의 전환이라는 교육흐름에 부응하면서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방사선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적용 시 학생의 만족도와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업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이 47.2%로 가장 많았으며, 강의실 수업이 30.6%, 원격수업이 22.2%의 순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원격 수업의 시청으로 원격강의를 시청하는 장소는 집에서 시청한다가 94.4%로 가장 많았다. 원격수업을 수강하기 위한 매체로는 PC를 이용한다가 72.2%로 가장 많았으며, 원격수업 시청방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셋째, '원격강의와 강의실 강의가 적절하게 이루어 졌다.' 라는 블렌디드 러닝의 적절성이 4.27±0.7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수업 방법에 대하여 성별, 나이에 따른 호응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넷째, '원격 강의 수강 시 기술지원 및 시스템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라는 기술 및 시스템의 지원이 3.41±0.96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원격수업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이 부족하다.'라는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부족은 2.88±1.0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나이에 따른 수업에 대한 개선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를 통해 블렌디드 수업의 방안과 블렌디드 수업을 도입하는 학교의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대형 풍력터빈을 위한 무인 원격감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Unmanned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MW Class Wind Turbines)

  • 박준영;김범주;이재경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12-418
    • /
    • 2011
  • The scale of wind turbines has continuously increased over the last decade. Especially, the rapid growth of the rotor diameter has brought about the increase of the tower height and the load on the rotor blade,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a 5MW class wind turbine with 126m rotor diameter. This trend means the increasing possibility of system failure. In addition to that, it is impossible for human operators to stay and manage all the turbines in the case of a large-scale wind farm. For these reasons,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technology is getting more importanc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unmanned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MW class wind turbines and its application to YeungHeung wind test bed.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대한 대학일반수학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of College General Mathematics according to Face-to-face Classes and Remote Classes)

  • 박윤정;이광호;이헌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24-33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따른 대학생들의 일반수학 교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M대학교 공과대학 3개 학과 1학년 학생 9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A학과 39명과 B학과 36명은 사전 녹화된 수업동영상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으로, C학과 1학년 22명은 대면수업을 진행하였고, 한 명의 교수자에 의해 수업 방식만 달리하여 동일한 교재와 동일한 내용, 동일한 유형의 문제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따른 일반수학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 중 수시전형으로 입학한 A학과 학생 35명, B학과 학생 34명, C학과 학생 17명에 대한 고교내신등급을 수집하여 동질성 검사를 실시한 후, 이 학생들의 2021학년도 1학기 일반수학 교과목에 대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따른 일반수학 교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일반수학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의 수업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Evaluating the Contribution of Spectral Features to Image Classification Using Class Separability

  • Ye, Chul-So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5
    • /
    • 2020
  • Image classification needs the spectral similarity comparison between spectral features of each pixel and the representative spectral features of each class. The spectral similarity is obtained by computing the spectral feature vector distance between the pixel and the class. Each spectral feature contributes differently in the image classification depending on the class separability of the spectral feature, which is computed using a suitable vector distance measure such as the Bhattacharyya distance. We propose a method to determine the weight value of each spectral feature in the computation of feature vector distance for the similarity measurement. The weight value is determined by the ratio between each feature separability value to the total separability values of all the spectral features. We created ten spectral features consisting of seven bands of Landsat-8 OLI image and three indices, NDVI, NDWI and NDBI. For three experimental test sites, we obtained the overall accuracies between 95.0% and 97.5% and the kappa coefficients between 90.43% and 94.47%.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자동화재탐지설비(P형 1급 수신기)의 설계 및 동작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Operation Performance of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P-type One-class Receiver)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이봉섭;곽동걸;정도영;천동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2호
    • /
    • pp.347-353
    • /
    • 2012
  • In this paper, authors will develop the quick and precise remote controller of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P-type one-class receiver)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T). The remote controller detects the fire and disaster in the building automatically and quickly and then activates the facilities to extinguish the fire and disaster, monitoring such situation in a real time through wire-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posed remote controller is applied a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micom. of one-chip type which is small size and lightweight and also has highly sensitive-precise reliabilities. The one-chip type PLD micom. analyzes digital signals from sensors, then activates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for alarm and rapid suppression in a case of fire and disaster. The detected data is also transferred to a remote situation room through wire-wireless network of RS232c and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n the situation room sends an emergency alarm signal.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AFDE) based on IT will minimize the life and wealth loss while prevents fire and disaster.

Class Knowledge-oriented Automatic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Detection

  • Jixian, Zhang;Yu, Zeng;Guijun, Ya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47-49
    • /
    • 2003
  • Automatic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LUCC) detection via remotely sensed imagery has a wide application in the area of LUCC research, nature resource and environment monitoring and protec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one time (T1) data is existed land use and land cover maps, and another time (T2) data is remotely sensed imagery, how to detect change automatically is still an unresolved issue. This paper developed a land use and land cover class knowledge guided method for automatic change detection under this situation. Firstly, the land use and land cover map in T1 and remote sensing images in T2 were registered and superimposed precisely. Secondly, the remotely sensed knowledge database of all land use and land cover classes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unchanged parcels in T1 map. Thirdly, guided by T1 land use and land cover map, feature statistics for each parcel or pixel in RS images were extracted. Finally,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were found and the change class was recognized through the automatic matching between the knowledge database of remote sensing information of land use & land cover classes and the extracted statistics in that parcel or pixel. Experimental results and some actual applications show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