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1.324

A Comparative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of College General Mathematics according to Face-to-face Classes and Remote Classes  

Park, Yoon Jung (목포대학교)
Lee, Kwang-Ho (목포대학교)
Lee, Heon-Soo (목포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in college general mathematics between face-to-face classes and remote classes. For this study, we selected 97 first-year students from three departments of an engineering college at M University. Among the subjects of the study, 39 students in Department A and 36 students in Department B took remote classes using pre-recorded class videos, and 22 students in Department C took face-to-face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valuated by one professor as the same type of problem with the same content for the same textbook. Among the subjects of the study, 35 students in department A, 34 students in department B, and 17 students in department C who entered through rolling admissions were collected and homogeneity tests were conducted. And then we analyzed the scores of these students' midterm and final exams for general mathematic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lso,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of general mathematics subjects for face-to-face classes and remote classes for all study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mathematics between face-to-face classes and remote classes.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between face-to-face classes and non- face-to-face remote classes.
Keywords
COVID19; Face-to-face Classes; Remote Classes; Academic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미용, 배영권, "스마트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스마트교육 모형 개발,"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77-92, 2012
2 김홍겸,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수학과 원격수업의 만족도 및 수학학습과의 연관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제35권, 제3호, pp.341-358, 2021.
3 이동주, 김미숙,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제23권, 제3호, pp.359-377, 2020.
4 이헌수,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3권, 제3호, pp.377-395, 2020.   DOI
5 김은혜, 이정미,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학습참여활동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분석: A대학교 Smart Class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제34권, 제6호, pp.1-21, 2020.   DOI
6 임수현, 정은선, "코로나19 기점으로 나타난 초등학교 4, 6학년 수학 학업성취도 변화 분석," 한국초등교육, 제32권, 제3호, pp.249-266, 2021.   DOI
7 조성일, "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학업 성취도 비교," 상업교육연구, 제34권, 제6호, pp.23-39, 2020.   DOI
8 이시철, 김선영, 박상훈, "대학의 코로나-19 초기 대응과 수업만족도 평가: 경북대학교의 비대면 학기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20호, pp.993-1019, 2020.
9 이한샘, 서은희, "대학의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수업의 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7호, pp.440-447, 2021.   DOI
10 오동주, 황홍섭, "COVID-19가 교육에 미친 인식, 행동, 가치 및 태도의 변화 양상," 사회과교육, 제59권, 제3호, pp.223-250, 2020.
11 홍성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 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교양 교육 연구, 제14권, 제6호, pp.283-298, 2020.
12 김미량, "웹활용 수업사례에 기초한 사이버 교수-학습 운영의 기본 전략 및 향후 과제," 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1호, pp.48-58, 2000.
13 김혜숙, 원격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향 탐색 연구, 교육부 2020-07, 2020.
14 박동철,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러닝 속성에 관한 연구 -몰입(Flow)과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제34권, 제5호, pp.127-148, 2015.
15 임진형, 고선영,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5232-5239, 2015.   DOI
16 교육부,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 기준, 고등교육법 14조 2항, 2018.
17 최병수, 유상미,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러닝 적용 효과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49-60, 2013.   DOI
18 최영림, "K-MOOC 강좌 개발과 학습자 만족도 분석-어패럴패턴캐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제44권, 제2호, pp.369-383, 2020.   DOI
19 J. Austine and M. Skidmore, "A Small Sample Study of Traditional and Online Courses with Sample Selection," The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Vol.36, No.2, pp.107-127, 2005.
20 정순모, 박혜연, 김응환, "EBSmath의 활용이 농촌학생들의 수학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8권, 제1호, pp.123-148, 2015.
21 T. Anderson, L. Rourke, D. R. Garrison, and W. Archer,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ing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Vol.5, No.2, pp.1-17, 2001.
22 이상수, "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상호작용 설계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2호, pp.225-250, 2007.
23 B. W. Brown and C. E. Liedholm, "Can Web Courses Replace the Classroom in Principles of Microeconomic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92, No.2, pp.444-448, 2002.   DOI
24 문혜성, 박경모, "대학교육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요구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175-19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