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ve Accuracy

검색결과 1,301건 처리시간 0.026초

주입선의 설계가 임플란트 보철물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prue Design on the Fitness of Implant Prosthesis)

  • 황성택;안재석;신상완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7-63
    • /
    • 2008
  • Statement of problem: Conventional techniques for implant framework fabrication produce significant error that is inconsistent with passive-fit requirement for osseointegrated implants. One of the etiologic factors which cause the errors is a sprue which may deform the framework during solidification and contraction.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objectively effect of the sprue design on the accuracy of fit of implant prosthesis. Materials and method: Three different designs were considered relative to effect of casting accuracy. The first design had straight sprues and a button of excess alloy at the non-casting end of the sprues. The second was runner bar design(with the button). The last was straight sprues design(without the button). Gold cylinder and laboratory analogue had been used to diminish variables affecting to casting accuracy. Gold alloy and pressure-vacuum casting machine had been used. Marginal gap had been measured by SEM.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had been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first design showed $79.87{\pm}13.95{\mu}m$ marginal gap. The second and third were $40.17{\pm}15.8{\mu}m$ and $35.17{\pm}9.95{\mu}m$ respectively. Conclusion: Straight sprues without button and runner bar designs were more accurate than straight sprues with button design(P<.05).

  • PDF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and cultivation years of Ginseng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Lin, Guo-Lin;Sohn, Mi-Ryeong;Cho, Rae-Kwnag;Hong, Jin-Hwan
    • Near Infrared Analysis
    • /
    • 제1권2호
    • /
    • pp.41-44
    • /
    • 200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iscriminate the geographical origin and cultivation years of ginseng based on the near-infrared(NIR) reflectance spectroscopic analysis. Korea and China ginseng samples were prepared for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4, 5 and 6 years-old ginseng samples from Korea were prepared for discrimination of cultivation years. Used spectrometer were InfraAlyzer 500, InfraAlyzer 400 and Fiber optic. Sample type of ginseng was 3, whole ginseng radix, slide section and powder type. The accuracy was affected by sample types and instruments. The accuracy for discrimination geographical origin was 97% in calibration model using IA 500 and ginseng powder. For discrimination of cultivation years, the model with slide selection using IA500 were relative accurate. The accuracy was 96.7% for 4-year, 91.3% for 5-year and 89.3% for 6-year old ginseng. The study shows that NIR spectroscopic analysis can be used to discriminate the geographical origin and cultivation years of ginseng with acceptable accuracy.

Comparison and optimization of deep learning-based radiosensitivity prediction models using gene expression profiling in National Cancer Institute-60 cancer cell line

  • Kim, Euidam;Chung, Yoons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8호
    • /
    • pp.3027-3033
    • /
    • 2022
  • Background: In this study, various types of deep-learning models for predicting in vitro radiosensitivity from gene-expression profiling were compared. Methods: The clonogenic surviving fractions at 2 Gy from previous publications and microarray gene-expression data from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60 cell lines were used to measure the radiosensitivity. Seven different prediction models including three distinct multi-layered perceptrons (MLP), four differen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 were compared. Folded cross-validation was applied to train and evaluate model performance. The criteria for correct prediction were absolute error < 0.02 or relative error < 10%. The models were compared in terms of prediction accuracy, training time per epoch, training fluctuations, and required calculation resources. Results: The strength of MLP-based models was their fast initial convergence and short training time per epoch. They represented significantly different prediction accuracy depending on the model configuration. The CNN-based models showed relatively high prediction accuracy, low training fluctuations, and a relatively small increase in the memory requirement as the model deepen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 CNN-based model with moderate depth would be appropriate when the prediction accuracy is important, and a shallow MLP-based model can be recommended when either the training resources or time are limited.

시군구 실업자 총계 추정을 위한 설계기반 간접추정법 (Design-Based Small Area Estimation for the Korea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 정연수;이계오;이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16권1호
    • /
    • pp.1-1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현행 경제활동인구조사 체계에 근거하여 대영역 내의 시군구 단위 행정자치구역들에 대한 실업통계들을 생산할 수 있는 소지역 추정법이 제안된다. 고려된 소지역 추정량들은 합성 추정량, 복합추정량과 같은 설계기반 간접 추정량들이며 이러한 추정량들에 대한 평균제곱오차 추정식이 경제활동인구조사 체계 하에서 산정되어 시군구 단위 소지역 추정값들에 대한 정확도의 측도로써 활용된다. 2000년 12월 충북지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로부터 이 지역 내의 10개 시군구 단위 행정자치구역들에 대한 실업자 총계 및 잭나이프 평균제곱오차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추정절차에 의해 추정된다. 시군구 단위 실업자 총계 추정값들의 신뢰성은 이들 추정값들의 상대편향(Relative Bias)과 상대오차제곱근(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에 의해 평가된다. 현행 한국 경제활동인구조사체계 하에서 복합추정량이 다른 추정량들에 비해 매우 안정적임을 밝힌다.

Studying the Ephemeris Effect on Position Accuracy Based on Criteria Applied to Baseline Lengths by New MATLAB Program (NMP)

  • Shimaa Farouk;Mahmoud El-Nokrashy;Ahmed Abd-Elhay;Nasr Saba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40권3호
    • /
    • pp.113-122
    • /
    • 2023
  • Although the Relativ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positioning technique provides high accuracy, it has several drawbacks. The scarcity of control points, the long baselines, and using of ultra-rabid and rabid products increased position errors. This study has designed a New MATLAB Program that helps users automatically select suitable IGS stations related to the baseline lengths and the azimuth between GNSS points and IGS stations. This study presented criteria for the length of the baselines used in Egypt and an advanced estimated accuracy before starting the project. The experimental test studies the performance of the position accuracy related to the relation between three factors: observation session, final, rabid, and ultrarabid products, and the baseline lengths. Ground control point mediates Egypt was selected as a test point. Nine surrounding IGS stations were selected as reference stations, and the coordinates of the tested point were calculated based on them. Baselines between the tested point and the IGS stations were classified regarding proposal criteria. The coordinates of the tested point were obtained in different observation sessions (0.5, 1, 2, 4, 5, 6, 7, 7.5 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ngths of the baseline in Egypt were classified short (less than 600 km), medium (600-1,200 km), and long (greater than 1,200 km) and required a minimum observation time of 4, 5, and 7 h to obtain accuracy 10, 19, 48 mm sequentially. The position accuracy was superior for the rapid and the final than the ultra-rapid products by 16%. A short baseline was at the best case; there was a performance in position accuracy with a 57% deduction in observation time compared with the long baseline.

실내 환경에서 래터레이션을 이용한 위치 측위 기법 (Accurate Localization Scheme using Lateration in Indoor Environments)

  • 임유진;박재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3호
    • /
    • pp.251-258
    • /
    • 2010
  • 래터레이션 기법을 사용한 실내 위치 측위 기법은 단말기의 위치 예측을 위하여 RSS(Received Signal Strength)를 기반으로 예측된 단말기와 AP(Anchor Point)사이의 거리와 AP의 위치 정보를 사용한다. 따라서 단말기와 AP사이의 거리 예측 정확도가 단말기 위치 예측 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무선 전파 환경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가장 높은 RSS 측정 값이 거리 예측에 가장 적합한 RSS 값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AP들이 사용되었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AP의 사용은 오히려 위치 측위 대상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단말기 위치 예측 정확도를 악화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치 측위 대상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위치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한 AP들로 구성된 다각형의 무게중심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예측하였다. 일단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가 예측되면 단말기에서 지리적으로 가장 근접한 AP를 단말기 위치 예측을 위한 기준 AP로 선택함으로써 측위 대상 다각형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실내 측위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위치 예측 정확도 측면에서의 제안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외부표준법을 적용한 토양시료의TXRF 정량분석 정확도 개선 (Improvement of accuracy in quantitative TXRF analysis of soil sample by applying external standard method)

  • 박진규;박난희;한선호;임상호;이치규;송규석
    • 분석과학
    • /
    • 제29권6호
    • /
    • pp.261-268
    • /
    • 2016
  • TXRF는 시료전처리 없이 분말상 시료의 정량분석이 가능하여 토양시료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기존의 내부표준법을 이용한 분석법은 매질 효과 및 형광신호의 겹침으로 인한 간섭 효과로 인해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외부표준법을 적용하여 용액화한 토양시료와 분말상 토양시료를 분석하였다. 용액화한 토양시료의 경우 개별표준물질로 만든 표준용액으로 작성한 검량선으로 분석하였는데, 내부 및 외부표준법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분말상 토양시료로 부유용액을 만들어 검량선을 작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분말상 토양시료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외부표준법을 적용한 결과가 내부표준법의 그것에 비해 정확도가 높았다. 두 가지 표준토양시료로 교차검증한 결과, Al, Fe, K, Ca, Ti, Ba, Mn, Sr, Rb, Cu 등 10개의 원소들에 대해 ${\pm}20%$ 내외의 상대오차가 측정되었다.

GPS 코드파 관측에 의한 항공삼각측량의 외부표정요소의 결정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Determination of Aerial Photogrammetry by GPS Code Phases Measurement)

  • 박운용;이동락;신상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7-164
    • /
    • 1997
  • 본 연구는 해안 및 습지지역의 측량에 있어서 지상측량의 대체 기법으로 신속한 자료의 획득과 분석이 가능한 관측기법인 C/A-code수신에 의한 GPS-항공삼각측량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안지역의 지형도 제작에 결합블럭조정 기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고, 재래식 블럭조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재래식 블록 조정 기법에서는 기준점의 수와 배치 형태에 따라 정확도가 민감하게 변화하였으며, 모든 기준점을 이용하였을 경우 수평, 수직위치의 정확도는 $\pm{2cm}$ 정도였으며, 정오차의 효과적인 소거를 위한 부가변수의 적용은 정확도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기준점의 수가 적고 배치형태가 안정성이 없을 때는 오히려 나쁜 결과를 초래하였다. 블록 조정에 GPS 관측을 부가로 이용하였으나 C/A-code 수신의 낮은 정확도로 인하여 블럭의 정확도 향상에는 큰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높은 정확도의 획득을 위해서는 반송파에 의한 상대측위 기법이 요청되며, 수신기의 빠른 개량과 관측기법의 향상으로 코드파 측정에 의한 GPS 항측이 앞으로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수학적 모형화 기법이 GPS 기준점 측량 정확도 표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athematical Modeling Schemes into Accuracy Representation of GPS Control Surveying)

  • 이흥규;서완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45-458
    • /
    • 2012
  • GPS 기준점 측량은 관측과 데이터 처리를 통해 측지계에 대한 물리적인 표지의 위치를 목표 정확도 범위 이내로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며, 이러한 이유로 측량 정확도를 실제와 유사하게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망조정을 통해 산정되는 기준점 성과의 정확도는 사용되는 수학적 모형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추정좌표의 분산-공분산 행렬에 의해 정량적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는 GPS 망조정에 사용되는 함수모형과 통계모형이 기준점 위치 추정과 정확도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향후 정확도 표현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일기선해석 다중세션 망조정 이론과 절차와 방법을 실제 관측데이터 처리를 통한 수치적 분석을 병행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그 결과 절대정확도와 상대정확도를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하여 표현하기 위해서는 잔존하는 관측오차의 모형화가 가능한 경험적 통계모형을 사용하는 다점가중제약조정이 GPS 기준점 성과산정을 위한 수학적 모형으로 보다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기하학적 검정과 정확도 평가 (Geometric Calibration and Accuracy Evaluation of Smartphone Camera)

  • 김진수;진청길;이성규;이선구;최철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5-125
    • /
    • 2011
  • 최근 이슈가 되어온 스마트폰에는 고해상도 카메라, Assisted GPS,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그리고 자기 계측 센서와 같이 측량에 직접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이 탑재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검정하고 그 정확도를 평가함으로써, 사진측량에 스마트폰 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먼저, 스마트폰 카메라의 정확도 평가에 앞서 각 카메라의 렌즈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카메라 검정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광속조정에 의해 계산된 영상 좌표 및 대상물 좌표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3차원 위치 결정에 있어 렌즈 왜곡 계수의 고려 유무에 따른 결과 분석이 이루어졌고, 최종적으로 측량용 카메라에 대한 스마트폰 카메라의 상대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카메라의 왜곡 보정에 있어 고차항의 방사 왜곡 계수도 고려되어야 하며, 측량용 카메라에 의한 결과와 미소한 차이를 나타내어 사진측량에 스마트폰 영상의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