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ToL

검색결과 2,453건 처리시간 0.029초

효소제를 달리한 현미 찹쌀 고추장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Glutinous rice Gochujang with different Enzymes)

  • 조하영;홍재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9-5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순창에서 구입한 메주와 Aspergillus kawachii를 접종한 쌀코지, 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한 콩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찹쌀고추장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고자 진행하였다. 효소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고추장을 제조한 뒤 총 20일간의 발효 기간을 거쳤다. 발효 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효소제별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연구를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산도 및 pH, 당도, 수분함량, 색도,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과 미생물학적 특성(생균수 및 유산균 수 측정)을 분석한 결과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효소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왔다. 특히 순창에서 구입한 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찹쌀고추장은 7.1-7.5×107 CFU/mL의 생균수, 1.9-2.2×103 CFU/mL의 유산균수와 48.67-52.30%, 58.57-63.90%의 DPPH 및 ABTS 라디칼소거능이 있어 쌀코지와 콩코지에 비해 기능적으로 우수함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순창에서 구입한 메주의 미생물 및 효소제의 조성은 확인하지 않았으나, A. oryzae, A. kawachii에 비해 영양적, 기능적 특성이 확보된 현미찹쌀고추장이 제조되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냉동마쇄고추를 첨가한 깍두기의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akdugi with Frozen Mashed Red Pepper during Storage)

  • 설민숙;황성연;박소희;이현자;김종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6-443
    • /
    • 2004
  • 냉동마쇄고추를 첨가한 깍두기의 4$^{\circ}C$ 저장기간중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 직후 고춧가루를 첨가한 깍두기 마쇄액이 가장 높았고 마쇄 고추를 첨가한 깍두기액이 가장 낮았으며 숙성이 진행될수록 차이가 감소하여 숙성 5주째에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총산 함량은 전반적으로 마쇄고추 첨가구가 고춧가루 첨가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L값은 깍두기 마쇄액이 깍두기액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고 마쇄고추를 사용하여 담근 것이 고춧가루를 사용한 것보다 높게 나왔으며 전반적으로 숙성 3주부터는 모든 시료에서 L값의 감소를 보였다. a값은 마쇄고추를 사용한 깍두기액이 전 숙성기간동안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마쇄액에서는 숙성초기에 고춧가루 첨가구가 마쇄고추 첨가구보다 높게 나왔으나 숙성 2주가 지나면서 반대로 마쇄 고추를 사용한 것이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b값은 깍두기 마쇄액에서 숙성 2주까지는 고춧가루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3주째부터는 마쇄고추 첨가구가 고춧가루 첨가구보다 약간 높은 값을 보이다가 숙성 2주째에는 서로 일치하였고 숙성 3주째부터는 다시 마쇄고추 첨가구의 값이 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 변화에서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citric, quinic, malic acid는 감소 하였고 lactic과 acetic acid는 증가하였다. 또한 citric, lactic 및 malic acid는 마쇄고추 첨가구가, quinic acid는 고춧가루 첨가구가 더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acetic acid는 숙성 후반기인 4주째부터 마쇄고추 첨가구에서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QDA결과 적색도 및 상큼한 맛에서,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는 종합적인 기호도, 외관 및 맛에서 마쇄고추 첨가구가 고춧가루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마쇄고추 품종인 칠보, 포청천, 부촌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깍두기에 마쇄고추를 사용하면 고춧가루를 사용하는 것보다 특히 적색도와 유기산 함량을 증가시켜 깍두기의 기호도에 더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light colour on female rabbit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the expression of key genes in follicular development

  • Xiaoqing, Pan;Xinglong, Wang;Le, Shao;Jie, Yang;Feng, Qin;Jian, Li;Xia, Zhang;Pin, Zha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3호
    • /
    • pp.432-44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s of light colour on rabbit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the expression of key follicular development genes. Rabbits (n = 1,068, 5 months old, 3.6-4.4 kg live body weight) were divided randomly into four groups, housed individually in wire mesh cages and exposed to red, green, blue, and white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control). The lighting schedule was 16 L : 8 D-15 d / 150 lx / 6:00 am-22:00 pm (3 d preartificial insemination to 12 d postartificial insemination). Red light and white light affected the conception rate and kindling rate and increased the total litter size at birth (p < 0.05). The effects of red light on litter size at weaning, litter weight at weaning, and individual weight at weaning increased compared with the green and blue groups. The effects of red light on live litter size at birth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blue group (p < 0.05). Compared to white light, green and blue light reduced the number of secondary follicles (p < 0.05). Compared to red light, green and blue light reduced the number of tertiary follicles (p < 0.05). Compared with white light, red LED light resulted in greater ovaria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nd luteinizing hormone receptor mRNA expression (p < 0.05). Compared with green and blue LED light, red LED light resulted in greater B-cell lymphom-2 mRNA expression (p < 0.05). Compared with green LED light, red LED light inhibited FOXO1 mRNA expression in rabbit ovaries (p < 0.05). Red light can affect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female rabbits and the expression of key genes for follicular development.

홍화 염색 견직물의 자외선에 의한 성능 변화 연구 (The Changes in Properties of Silk Fabrics Dyed with Safflower under Ultraviolet-Light)

  • 신윤숙;최승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1-6
    • /
    • 2008
  • 견직물에 홍화 황색소와 홍색소로 염색을 한 후 자외선 조사 후 시료들의 염착량 색채변화, 형태변화, 인장강도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라 염착량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최종 자외선 조사 28일 후의 염착량 보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견직물의 경우 홍화 홍색소보다는 황색소가 자외선에 대한 내구력이 더욱 있음을 알수 있다. 2. 색채변화의 경우,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도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고, $b^*$도 감소하였으며, H/VC, ${\Delta}E$ 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홍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은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라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였으며, $b^*$는 증가하였고, H/VC, ${\Delta}E$ 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 28일 후의 색차는 홍화 홍색소보다는 황색소가 훨씬 낮았다. 3.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의 결과, 견직물에 대해서는 홍화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조사 28일 후 모든 시료들에서 심한 손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인장 강도 변화 결과, 모든 종류의 시료에서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른 강도의 손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인장 강도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홍화 염색한 견직물의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염색물 자체의 성능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천염 염색물의 자외선에 의한 변화는 섬유의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색소의 차이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견직물의 경우에는 홍화 황색소가 홍색 소보다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이 더욱 좋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차후 견직물 이외 다른 섬유 종류와 홍화의 두가지 색소가 자외선에 반응하는 연구를 통해 본 연구결과가 보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홍화 염색 나일론 직물의 자외선에 의한 특성 변화 - 색상, 강도 및 표면 특성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Property of Nylon Fabrics Dyed with Safflower Under Ultraviolet-Light(UV) - Focused on the Changes in Color, Strength, and Surface -)

  • 신윤숙;최승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6
    • /
    • 2008
  • 홍화 황색소와 홍색소로 염색을 한 나일론 직물에 자외선을 조사 한 후 시료들의 염착량과 색채변화, 표면 특성 변화와 인장 강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라 염착량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자외선 조사 28일 후의 염착량 보유율이 더욱 낮았다. 2. 색채변화의 경우,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은 $L^*$은 증가하고 $a^*$$b^*$는 감소하였으며, H/VC, ${\Delta}E$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홍색소로 염색한 시료들 도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라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였으며, $b^*$는 증가하였고, H/VC, ${\Delta}E$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그러나 홍색소와 황색 소로 염색한 나일론 직물 시료의 조사 28일 후의 색차는 황색소가 더욱 낮아 나일론 직물에는 황색소가 자외선에 대한 견뢰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보인다. 3.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표면 특성 변화의 결과, 색소의 종류와 상관없이 조사 28일 후 모든 시료들에서 심한 손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인장 강도 변화 결과, 모든 종류의 시료에서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른 강도의 손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홍색소보다는 황 색소로 염색한 나일론 직물 시료들의 인장 강도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잎 적양무가루를 첨가한 우리밀 쿠키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Preparation of Domestics Wheat Cookies by Addition of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Powder)

  • 천춘진;김영호;오종철;김진곤;유현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41-450
    • /
    • 2013
  • 본 연구는 어린잎 적양무가루를 첨가한 과자류 개발을 위해 회전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어린잎 적양무가루, 버터, 설탕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여 우리밀 쿠키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배합비를 구하였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L값(명도)는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고, a값(적색도), b값(황색도), 퍼짐성, 경도는 linear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적 특성인 색, 외관, 조직감, 향, 맛, 전체적 기호도는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외관은 어린잎 적양무가루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조직감은 버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향, 맛, 전체적 기호도는 설탕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심점(40 g) 부근까지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약간씩 증가하였다. 그 외 다른 관능검사 항목에서는 어린잎 적양무가루, 버터, 설탕 첨가량에 의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관능적 기호도 중 맛은 버터 첨가량이 어린잎 적양무가루나 설탕 첨가량 보다 영향이 컸으며, 그 외, 색, 외관, 조직감, 향과 전체적 기호도는 어린잎 적양무가루의 영향이 버터나, 설탕에 대한 영향보다 컸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중 유의성이 있었던 모든 항목의 최대값을 목표범위를 충족시키는 최적의 배합량은 어린잎 적양무가루 5.15 g, 버터 64.84 g, 설탕 47.18 g으로 산출되었다.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Polyethylene Film House 재배시(栽培時) 주요성분(主要成分)에 미치는 Light Quality의 영향 - II. Chlorophyll, Carotenoid 및 Capsaicin 함량(含量) - (The Effect of Light Quality on the Major Components of Hot Pepper Plant(Capsicum annuum L.) Grown in Polyethylene Film House -II. Chlorophyll, Carotenoid and Capsaicin Content-)

  • 김광수;김순동;박정륭;노승문;윤태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0
    • /
    • 1978
  • 고추의 Polyethylene Film house 재배시에 피복 재료로서 White, Blue, Green 및 Red Color의 Film을 사용하여 광질에 따른 실험을 행한 바 있다. White와 Red Film의 처리시에 Chlorophyll, Carotenoid, 및 Capsaicin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總) Chlorophyll의 함량은 White구가 $208.9{\mu}g/g$-F.W., Red구가 $153.0{\mu}g/g$-F.W.으로서 White구에서 그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 Chlorophyll a,b의 비는 White, Red구가 각각 2.15, 2.13으로 비슷하였다. 2. 총(總) Carotenoid는 Red구가 White구의 3.4배에 달하였으며, 특히 $\beta$-carotene은 Red, White구가 각각 $490.6{\mu}g%,\;75.5{\mu}g%$로서 Red구에서 현저히 많았다. 3. Capsaicin의 함량은 Red구가 White구보다 약 20%정도 높았다.

  • PDF

생육시기별 광량조절이 인삼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Transmittance Control on the Root Yield and Quality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Panax ginseng)

  • 천성기;이태수;윤종혁;이성식;목성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196-200
    • /
    • 2004
  • 전 생육기간동안 해가림내의 투광율을 약$8{\%}$로 고정한 대조구와, 생육시기별로 투광율을 $6{\%}$$18{\%}$로 조절한 투광량 조절구의 생육시기별 근 개체중 변화, 근 수량, 수삼 및 홍삼품질, 조 saponin 함량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6년근시 생육시기별 근 개체중 변화를 조사한 결과 생육시기에 따른 광량조절구가 대조구에 비해 생육후기에 $26{\%}$정도 증가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10a당 근 수량은 광량조절구가 대조구에 비해 $40{\%}$정도 증수되었고, 수삼품질은 광량조절구가 1,2등급 비율이 $50.3{\%}$로 대조구의 $12.9{\%}$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는 효과를 얻었다. 또한 생육시기별 근 비중을 조사한 결과 광량조절구가 대조구에 비해 4,6년근시 모두 전엽기, 생육중기 및 후기의 근 동체 비중이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홍삼품질에 있어서 고급홍삼인 천지삼 생출율은 광량조절구가 $46.4{\%}$로 대조구의 $8.0{\%}$에비해 5배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 saponin함량에 있어서도 광량조절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고품질 안전 다수확 재배를 위해서는 저온기(생육초기 및 후기)에 투광율을 증가시키고, 고온기(생육중기)에 투광율을 감소하여 근 비대 및 수삼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인삼 생육시기별로 투광량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Gums 물질을 첨가한 홍삼생면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Red Ginseng Wet Noodles Prepared with Gums)

  • 김은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0-169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wet noodles prepared with additions of carrageenan, xanthan gum, or guar gum.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were estimated in terms of their general composition, color differences, cooking characteristics, textural attributes, sensory qualities, and microbial growth during stor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uar gum added group and ash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rrageenan added group (p<0.05). Lipid, water, and Na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groups. However, water bin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with added xanthan gum. Over 10 weeks of storage, water conten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xanthan gum and guar gum added groups. In all the added gum groups, L- and a-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b- values decreased (p<0.05). In texture profile analyses, chewiness, cohesiveness, hardness, and springi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rrageenan and xanthan gum added groups (p<0.05).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s, surface color, red ginseng flavor, red ginseng taste, soft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considered very good in the xanthan gum and guar gum added groups (p<0.05). Therefore, the red ginseng noodles containing xanthan gum and guar gum were deemed most preferable and presented the safest shelf-life during 10 weeks at -$10^{\circ}C$.

Antioxidant and Oxidative DNA Damage Protection Potential of Methanol Extract of Red Tea Stem

  • Yadav, Anil Kumar;Kang, Sun Chul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2호
    • /
    • pp.101-107
    • /
    • 2013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oxidative DNA damage protect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red tea stem. The extract was subjected to assess their antioxidant potential using various in vitro systems such as $DPPH^{\bullet}$, $ABTS^{{\bullet}+}$, super oxide and nitric oxide free radicals and it exhibited $IC_{50}$ values of $68.88{\pm}1.1$, $12.08{\pm}0.65$, $404.38{\pm}1.6$, $93.6{\pm}2.7{\mu}g/mL$ respectively. Red tea extract also showed ferric reducing ability (FRAP) with 2606.85 mmol Fe (II)/g of extract. Furthermore, Methanol extract of red tea stem showed significant DNA damage protecting activity in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gainst $H_2O_2+UV$ induced photolysis on pUC19 plasmid DNA.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ethanol extract of Red Tea stem has strong antioxidant potential along oxidative DNA damage protecting capacity that would be the significant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 which might be helpful in preventing the progress of various oxidative stress generated diseases. Further study is necessary fo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ctive antioxidants, which may serve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