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in Properties of Silk Fabrics Dyed with Safflower under Ultraviolet-Light

홍화 염색 견직물의 자외선에 의한 성능 변화 연구

  • Shin, Youn-Sook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Seung-You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useum)
  • 신윤숙 (전남대학교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
  • 최승연 (전남대학교 박물관)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roperties of silk fabrics dyed with safflower red and yellow colorants under Ultraviolet(UV)-light. Silk fabrics dyed with safflower red and yellow coloran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fter uv-light exposure in terms of K/S value, color changes(${\Delta}E$), morphology, and strength retention. The K/S value rapidly decreased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for samples of both colorants, but the extent of decrease was less for the sample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 than that of the sample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 Regarding the color changes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L^*$ and $b^*$ increased, $a^*$ decreased, and thereby ${\Delta}E$ increased in the red-dyed samples, whereas $L^*$ increased, $a^*$ and $b^*$ decreased, and so ${\Delta}E$ increased in the yellow-dyed samples, indicating that the UV-light induced fading and changes of hue, value and chroma value. However, the color change of the yellow-dyed samples was less than that of the red-dyed samples. SEM images showed a severe degradation by UV-exposure for both colorant samples. Tensile strength slowly decreased until 14 days, but rapidly decreased thereafter. Strength retention of the yellow-dyed samples was higher than that of red-dyed samples.

견직물에 홍화 황색소와 홍색소로 염색을 한 후 자외선 조사 후 시료들의 염착량 색채변화, 형태변화, 인장강도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라 염착량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최종 자외선 조사 28일 후의 염착량 보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견직물의 경우 홍화 홍색소보다는 황색소가 자외선에 대한 내구력이 더욱 있음을 알수 있다. 2. 색채변화의 경우,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도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고, $b^*$도 감소하였으며, H/VC, ${\Delta}E$ 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홍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은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라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였으며, $b^*$는 증가하였고, H/VC, ${\Delta}E$ 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 28일 후의 색차는 홍화 홍색소보다는 황색소가 훨씬 낮았다. 3.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의 결과, 견직물에 대해서는 홍화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조사 28일 후 모든 시료들에서 심한 손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인장 강도 변화 결과, 모든 종류의 시료에서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른 강도의 손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인장 강도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홍화 염색한 견직물의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염색물 자체의 성능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천염 염색물의 자외선에 의한 변화는 섬유의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색소의 차이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견직물의 경우에는 홍화 황색소가 홍색 소보다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이 더욱 좋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차후 견직물 이외 다른 섬유 종류와 홍화의 두가지 색소가 자외선에 반응하는 연구를 통해 본 연구결과가 보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희, 송화순(2002). 금불초로 염색한 견직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 대한가정학회지, 40(8), 99-105
  2. 김상률(2004). 치자 청색소를 이용한 견직물의 염색.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6), 778-784
  3. 김상률, 임종환(2003). 자색 고구마를 이용한 견직물의 염색.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4), 399-407
  4. 나영주, 김춘정(2000). 견직물의 물리적 자극에 따른 태와 역학적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24(3), 429-439
  5. 배상경(1991). 빛에 의한 견직물의 물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논문집, 9, 373-383
  6. 배상경(2004). 출토복식에 사용된 직물들의 특성에 관한 연구. 논문집, 22, 557-565
  7. 배순이, 박병기(2003). 실리콘 수지에 의한 견직물의 발수가공. 공학연구. 34, 71-80
  8. 송경헌, 유혜자, 이혜자, 김정희, 이전숙, 안춘순 외(2003). 의류재료학. 서울: 형설출판사
  9. 오화자(1998). 콩즙을 이용한 견직물의 염색에 관한 고찰. 연구논문집, 15(3), 881-890
  10. 이영숙, 장정대(2003). 갓 추출물의 견직물에 대한 염색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5(4), 389-394
  11. 이종남(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천연 염색. 서울: 현암사
  12. 유혜자, 이혜자, 김정희(2003). 자외선 조사가 견직물의 내구성과 색상에 미치는 영향. 응용과학연구, 12(1), 217-225
  13. 윤인주, 이정숙(1991). 차지법-드라이 클리닝에 의한 견직물의 세척성. 기초과학 연구보, 7, 119-127
  14. 조원주(2005). 숯을 이용한 견직물의 염색. 한국의류학회지, 29(2), 279-285
  15. Daniela, C., & Gerard, V.(2006). Improving light fastness of natural dyes on cotton yarn. Dyes and Pigments, 70, 238-245 https://doi.org/10.1016/j.dyepig.2005.03.006
  16. Giles, C. H., & Makay, R. B.(1963). The lightfastness of dyes : a review. Textile Research Journal. 33(7), 528-577 https://doi.org/10.1177/004051756303300707
  17. Tsutomu, K., & Koshi, S.(2001). Stability of carthamin and safflor yellow b on silk powders under continuous irradiation of fluorescent or uv-c light. Lebensmittel-Wissenschaftund-Technologie. 34, 55-59 https://doi.org/10.1006/fstl.2000.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