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Seabream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taurine supplementation in low fish meal diets for red seabream (Pagrus major) in low water temperature season

  • Gunathilaka, G.L.B.E.;Kim, Min-Gi;Lee, Chorong;Shin, Jaehyeong;Lee, Bong-Joo;Lee, Kyeong-J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10호
    • /
    • pp.23.1-23.10
    • /
    • 2019
  • Background: Taurine is a conditional essential amino acid for fish.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ensating effect of supplemental taurine in diets for red seabream (Pagrus major) on impaired growth performance by fish meal (FM) replacement with soybean meal (SM) at low water temperature (14.15 ± 1.95 ℃). Methods: A FM-based diet was considered as a high FM diet and three other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replace FM with SM by 20, 35, or 50% (HFM, SM20, SM35, or SM50, respectively) without taurine and other four diets were formulated by adding 1% taurine to the diets (HFM-T, SM20-T, SM35-T, or SM50-T, respectively). Triplicate groups of fish (108.9 ± 1.58 g/fish) were distributed into 24 polyvinyl circular tanks (215 L) with 20 fish per tank and fed one of the diets to satiation for 20 weeks. Results: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of red seabrea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dietary taurine supplementation. SM20-T and SM35-T diets increased fish growth that are comparable to HFM diet.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SM20-T and SM35-T die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HFM group. Dietary taurine supplementation in each FM replaced group numerically increased innate immunity of the fish. Lysozym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fish fed SM35, SM50, and SM50-T diets compared to those of fish fed HFM diet while they were not significantly lower in SM20, SM20-T, SM35, and SM35-T groups.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fish group fed SM50 diet while SM50-T group did not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at of HFM group.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 of hepatic IGF-1 mRNA was improved in fish fed taurine-supplemented diets compared to their respective SM diets. Conclusions: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of red seabream can be accelerated or restored by 1% taurine supplementation when they are fed high level of SM up to 35% in diets during low water temperature season.

사료 내 단백질과 지방 수준이 참돔(Pagrus major) 치어의 성장, 사료효율 및 비특이적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on the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and Innate Immunity of Juvenile Red Seabream Pagrus major)

  • 김성삼;오대한;최세민;김강웅;김경덕;이봉주;한현섭;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08-313
    • /
    • 2015
  • A $3{\times}3$ factori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on the growth, feed utilization and innate immunity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Nine diets consisting of three protein levels (42%, 46% and 50% crude protein) and three lipid levels (10%, 14% and 18% crude lipid) were formulated. Triplicate groups of red seabream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to apparent satiation (5-6 times a day, from 08:00 to 18:00 h at 2-h intervals) for 10 weeks.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th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of fish fed P46L14 (46% protein and 14% lipid), P50L10 (50% protein and 10% lipid) and P50L14 (50% protein and 14% lipid)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P42L18 (42% protein and 18% lipid). The feed conversion ratios (FCR) of the fish were affected by dietary lipid levels (P<0.039), but not dietary protein levels. The FCR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dietary lipid levels from 10% to 18% with the 46% and 50% protein levels. The weight gain, protein efficiency ratio, specific growth rate, feed intake and survival of fish were not affected by either dietary protein or lipid levels. Myeloperoxidase activity in the group fed P50L14 (50% protein and 14% lipi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group fed P42L10 (42% protein and 10% lipid) or P50L18 (50% protein and 18% lipid). However, the myeloperoxidase activity of fish was not affected by either dietary protein or lipid level. The fish fed P46L14 (46% protein and 14% lipid) and P46L18 (46% protein and 18% lipi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than did the fish fed P46L10 (46% protein and 10% lipid), P50L10 (50% protein and 10% lipid) of P50L18 (50% protein and 18% lipid). In conclusion, the optimum protein and lipid levels for the growth and feed utilization of juvenile red seabream were 46% and 14%, respectively, and the optimum dietary protein to energy ratio was 27.4 g/MJ.

저산소에 노출된 참돔(Pagrus major)의 개체 크기에 따른 내성 비교 (Comparison of tolerance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exposed to hypoxia with body size)

  • 한지도;김흥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79-388
    • /
    • 2023
  • 본 연구는 수온 24℃에서 체중 0.6-786 g 범위의 참돔 52개체의 SMR을 측정한 후 점진적인 저산소 조건에 노출시켜서 Scrit를 측정하여 개체 크기에 따른 저산소 내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SMR (mg O2 kg-1hr-1)은 SMR=351.59·W-0.195 (r2=0.934, p<0.001)의 관계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고, 체중(W)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참돔의 체중과 Scrit 사이에는 Scrit (%)=2.316·logW+17.805 (r2=0.682, p<0.001)의 회귀직선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고, 체중 0.6-786 g인 개체의 Scrit는 17.3-24.4% 범위에서 개체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여 작은 개체가 저산소 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에 대한 참돔 Pagrus major의 행동 및 생리학적 반응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Juvenile Red Seabream Pagrus major exposed to Ethanol Seawater)

  • 박진우;장영진;김기태;권준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7-58
    • /
    • 2012
  • 에탄올 0.6% 해수에 5시간 동안 침지한 참돔 치어는 유영행동을 멈추었으며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는 상태에 도달하였다. 이 농도구에서 생존율은 100%였으며 RBC, hematocrit, Hb 수치는 다른 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 코티졸 농도 또한 0.6% 에탄올 농도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0.8% 이상의 에탄올 해수에 침지한 실험어는 심한 스트레스 반응과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참돔 치어를 0.6%의 에탄올 해수에 침지시키고 매시간 산소소비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해수에 침지된 실험어는 실험개시 2시간 후부터 종료 시까지 지속적으로 일반해수에 침지된 실험어보다 적은 산소를 소비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에탄올에 의해 유도된 취기효과가 마취제의 마취효과와 비슷하였으며, 5시간 침지 시 혈액성상, 행동반응, 생존율, 산소소비율 등을 종합하여 볼 때, 0.6% 이하의 에탄올 농도가 참돔치어에게 안전한 농도이며, 0.8% 이상에서는 독성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료 내 Prebiotic과 Probiotics의 첨가가 참돔(Pagrus major)의 성장, 면역력, 항산화력, 장내 미생물 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ebiotics and Probiotics on Growth, Immune Response, Anti-oxidant Capacity and Some Intestinal Bacterial Groups of the Red Seabream Pagrus major)

  • 임종호;엄건호;노충환;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9-98
    • /
    • 2023
  • We evaluated the effects of prebiotic (mannan oligosaccharides, Mos) and probiotic diet supplements on growth performance, innate immunity, antioxidant activity, and intestinal changes in the microbial flora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A basal diet (Con) was formulated to meet the nutrient requirement of red seabream. The dietary starch in Con was replaced with 0.6% Mos,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B. licheniformis and probiotic mixture (labeled as Mos, Pro-LP, Pro-BS, Pro-BL and Pro-Mix, respectively). We stocked 450 fish in 18 polypropylene tanks (400 L) in triplicate groups per dietary treatment. The fish were fed one of the diets twice (08:30, 18:30 h) a day for 63 days. Lysozyme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he supplemented groups than that of the Con group. The immunoglobulin level of Pro-Mix, anti-protease activity of Pro-BL, and glutathione per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of Pro-BS, Pro-BL and Pro-Mix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 group. The ratio of total Vibrio/heterotrophic marine bacteria counts was significantly lower in Pro-LP, Pro-BL and Pro-Mix groups than that of the Con group. Therefore, dietary supplementation of Mos and probiotics to improves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inhibits Vibrio bacteria in the intestine.

급이 및 비급이 참돔의 색, 맛 및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Muscle Color, Taste and Nutrition Components Between Red Seabreams Cultured by Feeding and Starving)

  • 신길만;안유성;신동명;김혜숙;김형준;윤민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42-1147
    • /
    • 2008
  • 참돔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 급이 및 비급이 참돔의 색조, 맛 및 영양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비급이 참돔의 일반성분은 수분의 경우 72.7%, 조단백질의 경우 21.1%, 조지방의 경우 3.7% 및 조회분의 경우 1.4%로, 급이 참돔의 일반성분에 비하여 수분의 경우 약 3%가 높았고, 조지방의 경우 약 3%가 낮았으며, 조단백질 하량과 조회분 함량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비급이 양식산 참돔 근육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 및 색차는 각각 37.52, -1.47, 0.71 및 59.33으로, 급이 양식산 참돔 근육의 헌터 색조에 비하여 명도의 경우 미미한 정도에 높았던 반면 기타 적색도, 황색도 및 색차의 경우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TCA 가용성 질소 함량은 비급이 참돔이 403.8 mg/100 g으로, 급이 참돔 보다 높았다. Taste value로 살펴 본 급이 및 비급이 참돔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두 종 모두가 glutamic acid, alanine, lysine 및 histidine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비급이 참돔이 21.2 g/100 g으로, 급이 참돔보다 약간 높았다. 주요 구성 아미노산으로는 급이 유무에 관계없이 두 종의 참돔이 모두 glutamic acid(약 14.0%), aspartic acid(약 10%) 및 lysine(약 10%) 등으로 차이가 없었다. 비급이 참돔이 급이 참돔에 비하여 칼륨의 경우 높았고, 마그네슘의 경우 낮았으나, 기타 철 및 칼슘 함량의 경우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비급이 참돔이 급이 참돔에 비하여 색조 및 냄새의 경우 차이가 없었으나, 맛 및 조직감의 경우 우수하다고 평가되었다.

물리 및 효소화학적 방법에 의한 참돔, Pagrus major의 품질판정 지표 설정 (Indices for Quality Evaluation by Physicochemical and Chemoenzymatic Method in Red seabream, Pagrus major)

  • 심길보;배진한;정호진;여해경;김태진;조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8-232
    • /
    • 2004
  • 수분, 지질, 콜라겐함량 및 파괴강도의 상관관계 살펴본 결과, 파괴강도는 수분함량 및 치질함량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상관계수는 각각 0.5998, -0.5648로 나타났다(P<0.05). 이를 통하여 파괴강도(Y), 수분함량(X$_1$) 그리고 지질함량(X$_2$)간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Y= -2.53539+0.05544X$_1$-0.00161X$_2$,와 같은 파괴강도 방정식을 얻었다. 파괴강도 방정식의 확인을 위하여, 무작위로 선택된 참돔 13마리에 대하여 수분함량, 지질함량 그리고 파괴강도를 측정하였다 Rheo meter를 이용하여 파괴강도를 측정한 값과 파괴강도 방정식에 수분함량과 지질함량을 대입하여 얻어진 파괴강도를 비교했을 때, 측정된 파괴강도의 편차를 감안하면 파괴강도 방정식에서 얻어진 파괴강도와 비슷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즉 참돔의 수분함량과 지질함량을 통해서 파괴강도 방정식에 대입하여 계산된 파괴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건강상태의 지표인 AEC수치는 몇 마리의 개체를 제외하고 건강은 양호한 상태였다. 양식산 참돔에 있어서 파괴강도에 의한 등급은 1.4 kg이상은 상급. 1.2∼l.4 kg은 중급, 1.2 kg이하를 하급으로 선정하며, AEC 수치는 1.0∼0.8는 상급, 0.8이하를 중급으로 선정하여 등급화 하였다.

효소 화학적 방법에 의한 참돔, Pagrus major의 품질판정 (Quality Evaluation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by Chemoenzymatic Method)

  • 배진한;김태진;정호진;여해경;심길보;조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7-172
    • /
    • 2004
  • 운동 사육구와 비운동 사육구에서의 참돔육에 대한 ATP관련 화합물의 변화를 살펴보면 운동 사육구에서는 ATP함량이 약간의 감소를 보이지만 ADP함량은 ATP의 소모만큼 약간의 증가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비운동 사육구에서 운동 사육구와 대초적으로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ATP함량이 큰 변화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AEC수치는 운동 사육구에서 0.88$\pm$0.04으로 나타났고 비운동 사육구에서는 0.89$\pm$0.02으로 나타났으며 외관상으로 참돔의 건강상태는 양호하였다. 참돔의 근원섬유에 있어서 $Mg^{2+}$(+Ca$^{2+}$)-Arpase 활성의 변화는 운동 사육구의 Arpase 활성이 증가하여 운동 20일에는 0.42$\mu$mo1 Pi/min$.$m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비운동 사육구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Mg^{2+}$(+Ca$^{2+}$)-ATPase활성은 운동시키 전에는 각각 0.10 $\mu$mol Pi/min$.$mg, 0.14 $\mu$mol Pi/min$.$mg으로 나타나 비운동 사육구가 운동 사육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사육기간 동안 활성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2+}$-ATPase 활성 또한 사육기간 동안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운동 횟수에 따른 차이에서는 1회/일 운동시켰을 때에는 ATP관련 화합물의 함량은 2회/일 운동시킨 것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운동휫수에 따른 ARC수치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