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ional decision-making typ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공과계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cision Making Type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Students)

  • 이정민;고은지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6호
    • /
    • pp.20-3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predicti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types(rational type, intuitive type, and dependent type)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ere included as predictors for this study. 249 engineering students in Gyeonggi-do of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231 data analyzed as final sampl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rational and intuitive decision making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lso,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ompletely mediated between these career decision making types(rational and intuitiv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on practice for career education are discussed in the paper.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진로 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 및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Typ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Satisfaction of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 이재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21-23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뷰티 전공 대학생의 진로 의사결정 유형을 확인하고,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진로 준비 행동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2021년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하였고, 질문지는 총 48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빈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진로 의사결정 유형이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 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리적 진로 의사결정 유형은 의존 및 직관적 유형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진로 준비 행동으로 시간 노력, 능력 활동, 정보수집의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 만족으로 수업 만족, 교과 만족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진로 의사결정 유형 중 합리형과 의존형이 진로 준비 행동의 하위요인인 능력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진로결정수준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Making Types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Nursing Students)

  • 김수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0-21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guidance for nursing students by examining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decision leve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decision level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a sample of 469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means, Kruskal-Walli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Results: Career decision level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decision-making styles. Self-efficacy (${\beta}=.143$, p<.001), type of decision-making styles rational type (${\beta}=.180$, p<.001), intuitive type (${\beta}=.137$, p<.001), dependent type (${\beta}=-.236$, p<.001) and sex (${\beta}=-.086$, p=.023), school grades (${\beta}=.086$, p=.033), and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beta}=.209$,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decision level.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career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type of decision-making styles, sex, school grades, motivation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the nursing major.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의사결정유형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Decision Making Type on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 김명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1-451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decision making type on th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36 nursing students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and extraversion (r=.50, p<.001), agreeableness (r=.22, p<.001), conscientiousness (r=.60, p<.001), openness to experience (r=.36, p<.001), and rational style (r=.47, p<.001).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dependent style was significantly negative (r=-.11, p=.044). Conscientiousness (${\beta}$=.60, p<.001), extraversion (${\beta}$=.28, p<.001), and rational style (${\beta}$=.21, p<.001), openness to experience (${\beta}$=.18, p<.001), and degree of leadership level (${\beta}$=.10, p=.020)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50.0%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67.52,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ffective self-leadership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including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부모의 양육태도와 중학생 자녀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유형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Type of Middle School Students)

  • 박영생;변상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17-331
    • /
    • 2016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6년부터 자유학기제를 맞는 중학생들의 진로 탐색을 자원하기 위해 가정과 학교에서 공동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조사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북에 위치한 A 중학교 학생 345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응답을 제외한 335부를 SPSS v.22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분석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종교와 수입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중 민주적 양육태도가 중학생 자녀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가장 큰 영향을 발휘했으며 익애적 양육태도는 중학생 자녀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권위주의적 양육태도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 자녀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민주적 양육태도에서만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생 자녀의 합리적 의사결정 유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부모교육과 함께 자기효능감 이외의 변인이 개입되어야 할 필요성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욕구인식과 인지적 노력에 근거한 의류상품 비계획구매 의사결정과정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Unplanned Purchases of Clothing Based on Need Recognition and Cognitive Efforts)

  • 진현정;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01-1610
    • /
    • 2009
  • Unplanned purchase is an unexpected buying behavior affected by product or marketing stimuli. Unplanned purchase does not follow the order of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process.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unplanned purchase of clothing and examined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need recognition level of consumers prior to stimuli) show three types of unplanned purchase of clothing products that are classified as: the need-manifesting type, the need-embodying type, and the need-reminding type. In addition, each type is reclassified into the high-cognition type and the low-cognition type according to the cognitive effort level of consumers during the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The need-manifesting type recognized a buying need after exposure to stimuli and then engaged in unplanned purchases. The need-embodying type recognized a problem, but the purchase intention was not concrete. The need-reminding type recognized a desire to buy clothing products, but temporarily forgot it, and then later remembered the problem recognition from the past after experiencing the stimuli.

간호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자기조절, 셀프리더십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areer Decision Making Type, Career Self Regulation, Self Leadership on Career Adapt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 박소영;조옥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281-28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자기조절, 셀프리더십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소재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 215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적응력은 진로자기조절, 셀프리더십, 합리적 의사결정유형, 직관적 의사결정유형 간에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셀프리더십, 전공만족도, 진로자기조절, 의존적 의사결정유형, 합리적 의사결정유형, 직관적 의사결정유형이 확인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 진로자기조절 정도를 향상시키고,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Typ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 정영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709-172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J도 소재 3,4학년 간호대학생 198명으로, 2021년 6월 14일부터 6월 27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정체감 2.79점(범위 1~4), 합리적 유형 3.78점(범위 1~5), 직관적 유형 3.38점(범위 1~5), 의존적 유형 3.01점(범위 1~5), 진로준비행동 3.51점(범위 1~5)이었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정체감(r=.40, p<.001), 합리적 유형(r=.50, p<.001), 직관적 유형(r=.22, p=.002)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존적 유형(r=-.20, p=.004)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정체감(β=.23, p=.001), 합리적 유형(β=.31, p<.001), 직관적 유형(β=.27, p<.001), 의존적 유형(β=-.20, p=.002)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은 진로준비행동을 24.6%p 설명하였다(F=11.93,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진로정체감 확립과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진로지도를 포함시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안한다.

이성적 자극과 감성적 자극에 따른 인지처리 기능 및 재인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fMRI 분석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Cognitive Process and Brain Activation Study on the Rational/Emotional Advertising Appeals: Emphasis on fMRI Experiments)

  • 최도영;이건창
    • 인지과학
    • /
    • 제27권1호
    • /
    • pp.61-99
    • /
    • 2016
  • 본 논문은 이성적 정보와 감성적 정보에 대해 어떠한 정보 유형이 광고소구의 관점에서 더 효과적인가를 반응시간과 재인 측면에서 검증함과 동시에, 정보의 유형별로 뇌 기능 상의 관계를 fMRI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정보유형별 인지처리 상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첫 번째 실험은 두 종류의 자극 유형에 해당하는 광고카피 - 이성에 소구하는 자극과 감성에 소구하는 자극 - 에 대해 어떠한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피실험자가 결정하게 하는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으며, 자극의 제시로부터 소구 형태를 판단하기까지 소요되는 반응시간의 측정을 통해 각 자극 유형별 효과를 측정하고, 이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분석하여 인지처리 상의 기능을 비교하였다. 두번째 실험은 자극 유형별로 재인효과를 측정하고, 이 때 활성화되는 뇌 기능 영역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재인 시의 인지처리 상의 기능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실험연구를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시간의 측면에서 감성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이성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보다 빠르게 이루어 졌고, 재인 측면에서는 이성적 자극에 대한 기억의 효과가 감성적 자극에 대한 기억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fMRI를 이용한 뇌 기능상의 특징을 보면 이성적 자극의 경우 상대적으로 활성화의 수준이 높은 뇌 영역들은 행동 조정 혹은 작업 기억과 연계된 곳이었다. 반면, 감성적 자극의 경우 상대적으로 활성화의 수준이 높은 뇌 영역은 언어처리와 연계된 곳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성적 자극과 감성적 자극의 소구 효과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각 소구 형태별로 뇌 기능상의 인지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사상체질(四象體質)과 의사결정유형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Decision Making Styl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 최민기;유준상;정명숙;한동윤;윤지영;송학수;윤우영;허재범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6-66
    • /
    • 2008
  • 1. Objective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decision making style. Subjects were 69 men and 45 women. Decision making style score, physical measurements and resul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2. Results Soeumi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 score in rational score compared with those of Soyangin. Soyangi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 score in intuitive score compared with those of Soeumin. Soeumi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 score in dependent score compared with those of Taeeumin. According to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decision making style score, Sasang constitution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and ORs of Taeeumin were significantly higer than those of Soyangin in rational score, ORs of Soyangin were significantly higer than those of Soeumin in intuitive score, and ORs of Soeumin were significantly higer than those of Taeeumin in dependent Score. 3. Conclusions Soyangin had significantly high score in intuitive score. Soeumin had significantly high score in dependent score. We found many evidences that Soyangin is intuitive style and Soeumin dependent style in the text of ${\ulcorner}$Dongyi Suse Bowon${\lrcorner}$ and other research. But as far as Taeeumin was concerned, the result of Taeeurnin’s was not coincident with other research. More cases and research were needed to confirm the personality and phychological type of Taeeumin. This study result will be an important method that classify Sasang Costitution and consultation of student career decision making and studying attitu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