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cision Making Type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Students

공과계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 Lee, Jeongmin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Ewha Womens University) ;
  • Ko, Eunji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Ewha Womens University)
  • 이정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 고은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Received : 2016.10.06
  • Accepted : 2016.11.30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predicti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types(rational type, intuitive type, and dependent type)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ere included as predictors for this study. 249 engineering students in Gyeonggi-do of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231 data analyzed as final sampl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rational and intuitive decision making significantly predicte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lso,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ompletely mediated between these career decision making types(rational and intuitive)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on practice for career education are discussed in the paper.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연.박숙경.이제경. (2015). 대학생 졸업유예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직업교육연구, 34(2), 31-51.
  2. 강승희(2010). 공학정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29(3), 291-307.
  3. 고향자. (1992).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4. 과기인재정책과(2010). 2010 과학기술인력주요통계. 교육과학기술부: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29703
  5. 김민정.김봉환(2014).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의사결정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7(3), 27-45.
  6. 김병숙.김봉환(1994). 고용촉진을 위한 직업정보 활용 방안. 한국기술교육대학 산업기술인력연구소.
  7.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8. 김성남.정철영(2005). 전문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 결정 유형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2), 139-159.
  9. 김승철, 문혜영(2014).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9(3), 1-17.
  10. 김안국(2006).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분석. 노동경제논집, 29(1), 153-184.
  11. 김종운.윤명희.박성실.서희정(2009). 여대생의 성격유형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이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2(4), 195-217.
  12. 남숙경.이자영.박희락.김동현.이미경.이상민(2008). 진로의사 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역할. 한국교육학연구, 14(1), 205-223.
  13. 류혜숙(2007). 이공계, 정말 위기인가? 한국교육개발원.
  14. 박정주.정주영(2010). 고차 잠재성장 모형을 이용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종단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박지은(2005).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16. 서광규.안범준(2012). 공과대학생의 취업과 산학협력 강화를 위한 지역 산업체의 인식 조사. 공학교육연구, 15(6), 3-8.
  17. 서희정.윤명희(2014). 대학생용 진로준비행동검사의 표준화 연구: 4 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교육연구, 33(3), 105-125.
  18. 설재풍(2001).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의식발달과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19. 송현심.홍혜영(2010). 대학상담: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1(3), 1325-1350.
  20. 신선미.오은진(2004). 전문대학의 여성 인적자원개발 현황과 정책 과제: 이공계열을 중심으로. 한국여성개발원.
  21. 엄태영.김교연.한복남(2009).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7(2), 69-85.
  22. 원호섭(2014.10.1). 과학영재마저 의대로 올림피아드 참가학생 5명중 1명은 의대로 진로 바꿔. 매일경제.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265494
  23. 유순화.강승희.윤경미(2004).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수준 및 진로성숙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5(4), 1111-1123.
  24. 유영란.강명희(2014).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2), 225-247.
  25. 이기학.이학주(2000).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26. 이명숙(2002). 대학생의 진로 자기 효능감과 진로장애 지각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 석사학위 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27. 이수영.이영민(2009). 공학인증: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분석. 공학교육연구, 12(3), 73-78.
  28. 이용길, 강경희(201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분석-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2), 60-67.
  29. 이은경.이혜성(2002).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 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09-120.
  30. 이현림.송재영(2004).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5(2), 393-407.
  31. 이현숙(1998).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유형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32. 임언.정윤경.백순근(2003).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3. 임정훈(2015).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 결정유형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34. 장욱희(2007). 대학생의 진로관련 효능감이 직업탐색행동 및 구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35. 장재윤.신현균.김은정.신희천.하재룡.장해미(2004). 대학 4학년생의 구직 행태에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145-165.
  36. 정혜욱(2014). 예비 유아교사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95-115.
  37. 진미석.한상근(2002). 재학생 희망직업조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8. 진성희.성은모(2012).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탐색 자기 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학계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1(1), 1-18.
  39. 진성희.한승우.김태현(2014).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진로탐색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공학교육연구, 17(3), 8-21.
  40. 최동선.정철영(2003).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 요인 및 애착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22(1), 115-143.
  41. 한국진로교육학회(1999).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학사
  42. Arroba, T. (1977). Styles of decision making and their use: An empirical study.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5 (2), 149-158. https://doi.org/10.1080/03069887708258110
  4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44.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1), 47-57.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103
  45. Blustein, D. L. (1987). Decision-making styles and vocational maturity: An alternative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0 (1), 61-71. https://doi.org/10.1016/0001-8791(87)90026-1
  46. Blustein, D. L., & Flum, H. (1999).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of interests and exploration in career development.
  47. Blustein, D. L., & Phillips, S. D. (1988).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in career explo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3 (2), 203-216. https://doi.org/10.1016/0001-8791(88)90056-5
  48. Dinklage, L. B. (1968). Decision strategies of adolescent. Ha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49. Flum, H., & Blustein, D. L. (2000). Reinvigorating the study of vocational exploration: A framework for resear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6 (3), 380-404. https://doi.org/10.1006/jvbe.2000.1721
  50. Gelatt, H. B. (1962). Decision-making: a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9, 240-245. https://doi.org/10.1037/h0046720
  51. Ginzberg, E., Ginsburg, S., Axelrad, S., & Herma, J. (1951).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York: Columbia Univ. Press.
  52. Hackett,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 (3), 326-339.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53.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2), 119-133.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65-4
  54. Krumboltz, J. D., Mitchell, A. M., & Jones, G. B. (Eds.). (1979). Social learning and career decision making. Carroll Press.
  55. Neiles, S. G., Erford, B. T., Hunt, B., & Watts, R. H. (1997).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development in college student.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8 (5), 479-488.
  56. Solberg, V. S., Good, G. E., Fischer, A. R., Brown, S. D., & Nord, D. (1995).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search activities: Relative effect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human agenc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 (4), 448. https://doi.org/10.1037/0022-0167.42.4.448
  57.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