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habitat differences on the genetic diversity of Persicaria thunbergii

  • Nam, Bo Eun;Nam, Jong Min;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2호
    • /
    • pp.84-88
    • /
    • 2016
  •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abitat characteristics on the genetic diversity of Persicaria thunbergii, three sites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water system were surveyed. Site A was the closest to the source of the water system, and there was a dam between sites A and B. Site C is located on the lowest downstream in the water system. Vegetation survey of four quadrats at each site was performed,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or physicochemical analysis.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of ten P. thunbergii individuals at each site was conducted to calculate population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distance among populations. Soil was sterile sand at site A, whereas loamy soil at sites B and C. A pure stand of P. thunbergii appeared at site A, while other species occurred together (such as Humulus japonicus and Phragmites australis) at sites B (Shannon-Wiener index; $H_B=0.309$) and C ($H_C=0.299$). Similar to the species diversity, genetic diversity (Nei's gene diversity; h) within population of site A ($h_A=0.2381$) was relatively lower than sites B ($h_B=0.2761$) and C ($h_C=0.2618$). However, site C was separated from sites A and B in genetic distance rather than the geographical distance (Nei's genetic distance; A~B, 0.0338; B~C, 0.0685; A~C, 0.0833).

수입산 바리과(Family Serranidae) 잡종 어류(Epinephelus moara ♀×E. lanceolatus ♂)의 분자생물학적 판별 (Molecular Biological Species Identification of Imported Groupers(Epinephelus moara ♀×E. lanceolatus ♂))

  • 김용휘;박종연;김재훈;방인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566-571
    • /
    • 2020
  • To classify a presumed hybrid of imported grouper species acquired from the National Fishery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maternal and paternal lines were identified based on partial sequencing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1 (co1) and nuclear recombination activation gene 1 (rag1) genes. The matrilineal species was identified as Epinephleus moara by a partial (760 bp) co1 sequence. Ambiguous sequences with base pairs belonging to E. moara or E. lanceolatus were found in a total of 15 different base pairs in the partial 1,159 bp of the rag1 gene, and the patrilineal species was found to be E. lanceolatus. Therefore, all of the groupers examined in the study were identified to be hybrids of E. moara and E. lanceolatus. In addition, a fast and convenient method using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RAPD) was established for hybrid discrimination. Hybrids between E. moara ♀ and E. lanceolatus ♂ were identified through specific bands of 387 bp and 433 bp in PRIMER 6.

Chinese Cabbage Club root Pathogen, Plasmodiophora brassicae, Is Genetically Stable

  • Heo, Seung-Hwan;Jang, Se-Jeong;Choi, Jin-Soo;Jang, Chang-Soon;Song, Jeong-Young;Kim, Hong-Gi
    • Mycobiology
    • /
    • 제37권3호
    • /
    • pp.225-229
    • /
    • 2009
  • Single spore isolates of Plasmodiophora brassicae e4 and e9 obtained from diseased Chinese cabbage were identified as race 4 and race 9, respectively, by the Williams' differential variety set.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variation in same generation and progeny of a single spore isolate of P. brassica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URP 3, 6 and OPA 7 prime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band type at each part of the gall of Chinese cabbage obtained by inoculation of e4 and e9 and amplification using the URP 3 and 6 primers when the same generation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progeny analysis, which was expanded to the third generation and conducted using the URP 3 and OPA 7 primers, revealed no differences in the band type of the e4 isolat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ngle spore isolate of P. brassicae was genetically stable.

Molecular Epidemiology of Cryptococcus neoformans/Cryptococcus gattii Complex Isolates from Pigeon Droppings in Korea

  • Chang, Kyungs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3-223
    • /
    • 201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molecular diagnosis to differentiate serotypes and mating-types of C. neoformans/C. gattii complex isolates from pigeon droppings in Korea and to elucidate molecular epidemiology of the isolates. Phenotypes and genotypes of C. neoformans/C. gattii complex isolates were identified by biochemical properties and PCR using specific CNLAC1 gene, respectively. To classify serotypes and mating-types of C. neoformans/C. gattii complex isolates, the five reference strains and thirty-three isolates in Korea were investigated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alysis using CNLAC1 gene for varietie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for serotyping, and by PCR using specific primer sets for mating typing. All isolates in Korea were belonged to C. neoformans var. grubii (serotype A) by RFLP and RAPD patterns which showed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refore, RFLP and RFLP were available to differentiate varieties and serotypes of C. neoformans. Amplification patterns of the five reference strains by specific PCR for mating typing were differentiable, and all isolates were classified into $MAT{\alpha}$. All C. neoformans environmental isolates in Korea were Cr. neoformans serotype A and $MAT{\alpha}$ which is a more virulent pathogen. This study suggests that RFLP and RAPD are rapid and correct molecular diagnosis tools for epidemiology of C. neoformans/C. gattii complex isolates.

RAPD 방법을 이용한 국내외 수집 지황(地黃)의 유연 관계 분석 (Intrapecific Relationship of Rehmannia glutinosa Lines Collected from Korea, Japan and China by RAPD Analysis)

  • 김종엽;최선영;추병길;류점호;권태호;오동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66-273
    • /
    • 2000
  • 지황 신품종(新品種) 육성(育成)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 자 RAPD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외(國內外)에서 수집(蒐集)된 지황 12계통의 계통간(系統間) 유연관계(類緣關係)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CR 증폭의 최적 조건은 총(總) 반응용액(反應溶液) $20\;{\mu}l$ 중 template DNA 20 ng, dNTP 250 mM, primer 10 pM, Taq DNA polymerase 1.0 unit, annealing 온도는 $36^{\circ}C$이었다. 20가지의 OPB random primer를 PCR한 결과(結果) 17개의 primer를 선발(選拔)하였으며 다형을 보이는 band수는 107개였다. 선정된 17개의 primer에의해 증폭된 DNA 단편(斷片)들은 $400{\sim}3,200\;bp$ 범위에 속하였으며, primer 당 나타난 band 수는 $1{\sim}10$개 까지였고 평균 6.1개 이었다. Jaccard 와 Nei 상관계수에 따라 지황의 12계통은 가운데에서 나타난 군(群)은 크게 3개군(群)으로 구분되었는 데, 우리나라 지황 수집(蒐集) 계통(系統) 중 정읍, 서천, 진안, 안동 및 단양 재래계통은 계통(系統)간 유연관계(類緣關係)가 $0.27{\sim}0.05$로 가깝게 나타났다. (제1군(群)). 수원 조직배양(組織培養) 계통(系統)과 춘천 재래(在來) 계통(系統)은 $0.29{\sim}0.11$로 유연관계가 가깝게 나타났으며, $F_1$ ( 지황 1 호${\times}$ 서천 재래계통 )과 단양 조직배양(組織培養) 계통(系統), 일본계량(日本改良) 계통도 이들과 계통간(系統間) 유연관계(類緣關係)가 가까운 군(群)에 속(屬)하였다 (제 2군(群)). 지황1호와 일본(日本) 재래(在來) 계통(系統)의 유연관계 는 각각 0.35 와 0.43 으로 우리나라 재래종(在來種)과 원연관계(遠緣關係)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딸기 흰가루병 저항성 계통 선발을 위한 분자마커 개발 (Development of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Marker for Selecting Powdery Mildew-Resistance Line in Strawberry (Fragaria×ananassa Duchesne))

  • 제희정;안재욱;윤혜숙;김민근;류재산;홍광표;이상대;박영훈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722-729
    • /
    • 2015
  • 딸기 흰가루병은 Podosphaera aphanis에 의해 발병되며 수확기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병으로 현재 유황, 농약으로 주로 방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딸기 흰가루병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흰가루병 저항성 특이마커 개발로 내병성 육종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흰가루병 저항성 계통 선발을 위한 분자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아키히메${\times}$설향 집단을 대상으로 자가수분을 통해 후대 양성 후 병저항성을 검정하였다. 마커분석은 RAPD primer 200 세트 중 OPE10 331bp에서부터 흰가루병 저항성 특이 마커 선발하였다. 흰가루병 저항성 특이밴드만 선발하기 위하여 클로닝 후 유전자정보 분석하여 SP1F/R의 Primer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SP1F/R을 이용하여 PCR한 결과 저항성, 감수성간에 다형성이 확인되지 않아 염기서열을 정렬한 후 SNP, In/del의 다형성 유무를 확인한 결과 6개의 SNP를 확인하였다. 이들 PCR 산물을 해당 사이트와 연관된 제한효소로 절단한 결과 그 중 Eae I(Y/GGCCR)의 절단으로 231bp 위치에서 저항성과 감수성간의 다형성을 확인함으로써 흰가루병 저항성 계통선발을 위한 분자마커를 선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딸기 흰가루병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MAS(marker assisted selection) 체계 확립으로 내병성 육종효율 증진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APD 분석을 통한 대황(大黃)과 종대황(種大黃) 감별용 SCAR 유전자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SCAR Markers for the Discrimination of Rhei Radix et Rhizoma and Rhei Undulatai Rhizoma based on the RAPD)

  • 문병철;이영미;천진미;이아영;윤태숙;전명숙;추병길;김호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5-120
    • /
    • 2009
  • Objectives : Due to the morphological similarity and frequent occurrence of intermediate forms as well as morphological variations of aerial part, the correct identification between Rhei Radix et Rhizoma and Rhei Undulatai Rhizoma is very difficult. To develop a reliable method for correct identific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standards of Rhei Radix et Rhizoma and Rhei Undulatai Rhizoma, we analyzed RAPD and developed SCAR marker. Methods : To amplify target DNA at the genomic level, 32 Operon 10-mer random primers were applied with four Rheum species, R. officinale, R. palmatum, R. tanguticum and R. undulatum. The 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and species-specific primers were prepared depending on the species-specific RAPD amplicons after subcloned into the pGEM-Teasy vector. To develop the SCAR markers, species-specific PCR amplification and multiplex-PCR were carried out using the single species-specific primer pairs and combinations of them, respectively. Results : We used RAPD analysis of four Rheum plant species to obtain several species-specific RAPD amplicons. From nucleotide sequences of these RAPD amplicons, we developed two SCAR markers that amplified 314 bp and 390 bp DNA fragments in only R. undulatum but not in R. officinale, R. palmatum, R. tanguticum and R. undulatum, for distinguishing Rhei Undulatai Rhizoma and Rhei Radix et Rhizoma. Furthermore, we established SCAR markers for the simultaneous discrimination of the three species within a single reaction by using multiplex-PCR. Conclusions : These genetic markers can be used for the efficient discrimination of plants species and commercial herbal medicines between Rhei Undulatai Rhizoma and Rhei Radix et Rhizoma, to ultimately prevent indiscriminate distribution and prescription of these herbal medicines.

도라지에서의 RAPD 마커 분석과 Actin 유전자 염기서열에서 유래한 CAPS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a CAPS Marker Derived from the Pg-Actin Gene Sequences and RAPD Markers in Platycodon grandiflorum)

  • 김문휘;정은아;정정수;권순태;전익조;정정학;이제민;염인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48-6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의 품종 구분 및 유전적 다양성 분석에 활용될 수 있는 분자표지 개발을 위하여 RAPD 마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actin유전자 염기서열에서 유래한 분자표지를 제작하였다. 총 30개의 RAPD 분자표지를 활용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나, 재현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DNA 상의 다형성은 확보할 수 없었다. 이에, 도라지 actin (Pg-actin) 유전자에 존재하는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이용하여 품종 간 구분에 활용 가능한 분자마커로의 전환을 탐색하였다. 도라지 genomic DNA에 actin 유래 유전자를 사용하여 2개의 actin homologs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염기서열 분석하여 3.4 kb의 Pg-actin fragment와 Pg-actin과 28.6%의 유사도를 가진 1.4 kb의 actin homologue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Pg-actin은 4개의 exon과 3개의 intron으로 구성된 유전자로, DNA 다형성 탐색을 통해 intron 3의 286 bp 위치에서 SNP (G ↔ A)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활용도 높은 CAPS marker로 전환하여 PgActin-Int3 마커를 개발하였다. Pg-Actin-Int3 마커를 32개의 도라지 유전자원에 적용시켜 본 결과 품종 간의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보된 도라지 DNA 염기서열정보는 도라지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도라지 분자육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된다.

느티만가닥버섯의 재래종과 감마선 돌연변이체들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of local varieties and mutants groups induced by gamma ray in Hypsizigus marmoreus)

  • 김종봉;유동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1-186
    • /
    • 2014
  • 본 연구는 느티만가닥버섯 20품종 버섯, 잿빛만가닥 3품종 버섯, 땅지만가닥 1품종 및 돌연변이 느티만가닥버섯 20종류의 유전적 변이를 RAPD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들은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에서 유래한 것들이다. 느티만가닥버섯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돌연변이체를 만들었다. 본 연구에 이용한 primer들은 40종류였고 이 중 31종류의 primer등이 반응을 나타내었다. RAPD 결과들을 분석한 결과 이 들 품종으로는 7개의 cluster로 나뉘어 졌다. 돌연변이체들은 유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있는 sub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본 실험에 사용한 primer들과 포자의 감마선 조사 등을 버섯의 신품종 개발에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의 균총형태 비교 및 PCR 기법을 이용한 동정 (Identification of Phellinus linteus by Comparison of Colony Shapes and Using PCR techniques)

  • 공원식;김동현;유창현;김영호;김경수;김광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466-477
    • /
    • 1998
  • 진흙버섯류 22개 균주를 균총의 형태와 PCR 기법을 사용하여 종간의 구분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PDA등 4가지 배지에서 균사생장 및 배지의 변색여부 등을 기준으로 특성을 구분할 때 목질진흙버섯의 균총 색깔은 진한 황색으로 균사생장이 늦고 배지를 푸르게 변색시켰다. rDNA 분석 결과 $ITSI{\sim}II$ 부위는 목질진흙버섯이 약 800 bp, 말똥진흙버섯은 약 700 bp였고, IGRI 부위는 목질진흙버섯은 약 700 bp, 말똥진흙버섯은 균주에 따라 약 500, 600, 700, 800 bp에서 4가지 각기 다른 밴드를 보였다. $ITSI{\sim}II$와 IGRI부위의 증폭된 DNA를 6개의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다형성을 비교해 본 결과 $ITSI{\sim}II$의 HaeIII 절단으로 목질진흙버섯과 말똥진흙버섯을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들 밴드를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조사한 결과 목질진흙버섯은 95%의 유사도를 보였으며, 말똥진흙버섯은 89%의 유사도로 complex를 형성하였다. 목질 진흙버섯은 RAPD 분석과 AP-PCR에 의한 밴드양상으로도 확실한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ITSI{\sim}II$ 부위의 HaeIII 제한효소 처리로 나타난 벤드는 이종의 특이적인 marker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